목차 일부
목차
서문 = 5
Summary = 7
제1부 우리나라의 목칠공예
삼국 및 통일신라기의 木漆器 = 17
1. 삼국시대 목칠공예의 의의 = 17
2. 고구려와 백제의 목칠 = 18
3. 古新羅 고분의 각종 칠기 = 21
4. 고대 칠기 문양의 신흥 양식 = 26
5. 통일신라기의 칠기 자료 = 28
6. 맺음말 = 3...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5
Summary = 7
제1부 우리나라의 목칠공예
삼국 및 통일신라기의 木漆器 = 17
1. 삼국시대 목칠공예의 의의 = 17
2. 고구려와 백제의 목칠 = 18
3. 古新羅 고분의 각종 칠기 = 21
4. 고대 칠기 문양의 신흥 양식 = 26
5. 통일신라기의 칠기 자료 = 28
6. 맺음말 = 35
통일신라기의 平脫 = 36
1. 평탈 연구의 의의 = 36
2. 평탈 기법 = 37
3. 전래하는 평탈 유물 = 39
4. 안압지 평탈 유물 = 45
5. 맺음말 = 49
고려시대의 나전칠기 = 50
1. 나전칠기의 생성 = 50
2. 나전칠기 기법의 개요 = 52
3. 나전칠공예의 전개와 변천 = 54
朝鮮漆의 한 특징에 관하여 = 62
1. 황칠이란 = 62
2. 황칠의 기록 = 62
3. 주요 재배지 = 63
4. 황칠과 옻칠 = 65
5. 황칠의 특성 = 67
목공예 = 70
1. 머리말 = 70
2. 삼국시대 목가구의 여러 문제 = 71
3. 무령왕릉 출토의 목물 = 77
4. 통일신라기의 목칠 관계 典署 = 81
5. 고려 목공의 盛裝 풍조 = 85
6. 조선시대의 粗品化와 새 격조 = 92
제2부 전통공예의 小考
전승공예의 民庶的 성격 = 105
1. 민가에 전하는 집기 = 105
2. 미술사에서의 공예가 아닌 민속공예 = 106
3. 민속 공예품과 공예의 범주 = 108
4. 자연의 미, 실용의 미 = 110
5. 조선 사회의 공예 = 113
6. 공예의 쇠퇴와 재정립 = 117
석공예와 석재 = 119
1. 머리말 = 119
2. 민구와 민예품 = 119
3. 문헌에 나타난 석재의 산지 = 121
4. 옥석과 일반 石類 = 126
5. 석공예 기술의 발달과 쇠퇴 = 129
화문석 = 132
1. 머리말 = 132
2. 주거 양식의 필수품으로 출발한 화문석 = 132
3. 토산품화한 조선시대의 화문석 = 135
4. 화문석의 주재료 = 139
5. 왕골 = 142
6. 맺음말 = 144
전통자수 = 145
1. 자수의 역사와 중국 자수 = 145
2. 미미한 한국의 자수 유물 = 146
피죽채상 = 148
1. 머리말 = 148
2. 피죽채상의 명칭 = 149
3. 피죽채상의 예 = 151
4. 맺음말 = 154
유기 = 156
1. 머리말 = 156
2. 유기의 종류 = 158
3. 문헌으로 본 유기 제작법 = 160
4. 유기의 제작 = 162
종이 = 165
1. 한자의 유래 = 165
2. 우리나라의 종이 = 167
3. 종이의 제작 = 170
갓 = 173
1. 개설 = 173
2. 갓의 역사와 衣冠의 관습 = 174
3. 갓의 종류와 재료 = 175
4. 제작 공정 = 180
솜씨 = 186
1. 솜씨의 개념 = 186
2. 의식주로 본 솜씨의 풍토성 = 187
3. 자급자족 체제의 솜씨와 수련 = 190
4. 귀족적인 것과 대중적인 것 = 192
5. 재량 많은 한민족의 솜씨 = 195
6. 전통적인 솜씨의 단절 문제 = 199
제3부 조선 장인의 작업세계
전승공예 기술과 장인 = 203
1. 공예 기술의 분류 = 203
2. 공예 기술 보존의 필요성 = 204
3. 전통 공예품의 지역 분포 = 206
4. 전승공예 기술의 지정종목 = 210
장인의 고장, 통영의 木物 소목장 천상원 = 212
명성의 그늘에서 천직을 지켜온 풍물장 악기장 김광주 = 220
신분의 애환이 담긴 꽃신 꽃신장 황영수 = 226
탁월한 대륙계 角弓의 전통 궁장 김장환, 시장 박상준 = 234
비법을 잃고 장신구화된 粧力 장도장 박용기 = 243
담뱃대에 조상의 입김을 형상화 백통연죽장 추옥판 = 251
조선조 공예품 만들던 '쪼이'명인 금은조각장 김정섭 = 256
'손끝 재주' 키워 '천 년 예술' 생생히 나전칠기장 김봉용 = 261
'불질' 터득에 사십오 년 걸린 셈 기와장 한형준 = 266
"내가 만든 북은 소리로 알죠" 고장 박균석 = 271
베틀노래 벗삼아 길쌈 육십 년 곡성 돌실낳이 김점순 = 275
제4부 조상의 얼굴
白磁俑, 소박한 표현 속에 담긴 한국인의 심성 = 283
돌장승의 풍부한 표정 = 290
하회탈, 영남 미인의 두 얼굴 = 298
토속미가 구수한 石人들 = 303
우두커니 선 조선의 무인 = 307
신라인의 청신한 미소 = 312
土偶 속의 희로애락 = 317
가장 비천해진 승려의 변신들 = 322
풍요함을 비는 원시인들 = 327
희귀하나 청순한 童子像 = 332
더 인간다운 羅漢 = 337
북쪽에서 유랑해 온 광대의 형상 = 342
註 = 349
收錄文獻 目錄 = 35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