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목차
1. 임상영양관리의 개요 (Introduction to Medical Nutrition Therapy) = 1
성인영양
2. 영양판정 (Nutrition Assessment) = 11
2-1 영양검색과 영양판정 = 12
2-2 영양판정을 위한 정보수집 = 14
2-3 영양불량의 진단 = 40
2-4 영양소 필요량 산정 및 영...
더보기
목차 전체
<pre>
목차
1. 임상영양관리의 개요 (Introduction to Medical Nutrition Therapy) = 1
성인영양
2. 영양판정 (Nutrition Assessment) = 11
2-1 영양검색과 영양판정 = 12
2-2 영양판정을 위한 정보수집 = 14
2-3 영양불량의 진단 = 40
2-4 영양소 필요량 산정 및 영양관리 = 42
2-5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 54
3. 생애주기영양 (Life Span Nutrition) = 58
3-1 임신 = 58
3-2 수유 = 71
3-3 노인영양 = 75
4. 식단작성지침 (Guidelines for Menu Planing) = 87
4-1 영양권장량 = 87
4-2 식사구성안 = 90
4-3 식품교환표 = 93
4-4 한국인을 위한 식사지침 = 94
4-5 심장 질환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 = 95
4-6 암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 = 95
5. 일반적인 환자식 (Hospital Diet Progressions) = 97
5-1 일반식 = 97
5-2 연식 = 98
5-3 기계적 연식 = 100
5-4 퓨레식 = 100
5-5 일반 유동식 = 101
5-6 맑은 유동식 = 103
5-7 수술 전·후의 식사 = 104
5-8 구강외과식 = 105
5-9 찬 유동식 = 106
6. 영양지원 (Nutrition Support) = 107
6-1 경장영양 = 108
6-2 정맥영양 = 132
7. 심혈관계 질환 (Cardiovascular Diseases) = 151
7-1 고혈압 = 151
7-2 고지혈증 = 159
7-3 울혈성 심부전 = 173
7-4 심근경색 = 175
7-5 심장 수술 = 176
8. 내분비계 질환 (Endocrine Diseases) = 180
8-1 당뇨병 = 180
8-2 비만 = 217
8-3 골다공증 = 239
9. 식사장애 (Eating Disorder) = 247
9-1 신경성 식욕부진 = 248
9-2 신경성 탐식 = 254
9-3 강박성 과식 = 259
10. 연하곤란식 (Dysphagia Diet) = 264
11. 위장질환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Disorder) = 275
11-1 소화성 궤양 = 275
11-2 식도 역류 = 279
11-3 위배출의 지연 = 282
11-4 유당불내성 = 286
11-5 지방 흡수 불량 = 289
11-6 만성 염증성 장질환 = 292
11-7 섬유소 및 잔사량 조절식 = 302
11-8 위절제후식 = 309
11-9 글루텐 제한식 = 311
12. 간질환 (Liver Diseases) = 317
12-1 지방간 = 318
12-2 간염 = 321
12-3 간경변 = 324
12-4 간성뇌증 = 328
12-5 알코올성 간질환 = 331
12-6 윌슨씨 병 = 335
13. 신장 질환 (Renal Diseases) = 338
13-1 급성 신부전 = 339
13-2 만성 신부전 = 341
13-3 당뇨병성 신증 = 345
13-4 혈액투석 = 346
13-5 복막투석 = 352
13-6 신증후군식 = 356
13-7 칼륨 조절식 = 358
13-8 요석증 = 373
14. 혈액 종양질환 (Oncologic and Hematologic Diseases) = 385
15. 장기 이식 (Organ Transplantation) = 399
15-1 이식시의 영양관리 = 399
15-2 신장 이식 = 404
15-3 췌장이식과 췌장-신장이식 = 407
15-4 간이식 = 410
15-5 흉부이식 = 412
15-6 골수이식 = 415
16.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과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 421
소아영양
17. 소아영양판정 (Pediatric Nutrition Assessment) = 434
18. 소아일반영양 (Pediatric Normal Nutrition) = 447
18-1 영아 = 447
18-2 미취학 아동과 취학 아동 = 464
18-3 청소년 = 467
19. 영양적 고려가 필요한 경우 (Other Nutritional Consideration in Pediatrics) = 477
19-1 발달장애 = 447
19-2 성장부전 = 485
19-3 저출생체중아 = 490
19-4 질병에 걸린 영아, 아동, 청소년 = 498
20. 소아 대사이상 (Inborn-Error of Metabolism) = 503
20-1 당원병 = 503
20-2 갈락토오즈혈증 = 512
20-3 유전적 과당 불내증 = 517
20-4 페닐케톤뇨증 = 521
20-5 단풍당뇨증 = 537
20-6 부신백질이영양증 = 552
21. 소아 영양지원 (Nutrition Support in Pediatrics) = 558
21-1 소아 경장영양 = 558
21-2 소아 정맥영양 = 572
22. 소아 심혈관계 질환 (Pediatric Cardiovascular Diseases) = 593
22-1 고혈압 = 593
22-2 고지혈증 = 596
22-3 심장 수술 = 600
23. 소아 당뇨병 (Pediatric Disables Mellitus) = 602
24. 소아 비만 (Childhood Obsity) = 610
25. 소아 위장질환 (Pediatric Gastrointestinal Diseases) = 618
25-1 변비와 분변실금 = 618
25-2 설사 = 621
26. 소아 신장질환 (Pediatric Renal Diseases) = 627
26-1 만성부전 = 627
26-2 혈액투석 = 631
26-3 복막투석 = 635
27. 소아암 (Oncologic Diseases in Childhood) = 638
28. 화상 (Burn) = 650
29. 식품 알레르기 (Food Allergy) = 657
29-1 우유 과민반응 = 661
29-2 계란 알레르기 = 663
29-3 어패류 알레르기 = 664
29-4 땅콩 및 대두 알레르기 = 665
29-5 살리실산 및 타트라진 제외식 = 665
29-6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불내성 = 668
29-7 페니실린과 곰팡이 조절 식사 = 668
29-8 이스트 제한식사 = 670
30. 케톤식 (Ketogenic Diet) = 673
31. 약물과 영양소의 상호작용 (Drug and Nutrition Interactions) = 694
31-1 약물과 관련된 영양문제 = 695
31-2 약물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과 음료 = 710
31-3 약물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과 음표 = 711
31-4 약물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 비타민, 무기질, 기타 보충제 = 712
31-5 약물 부작용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식사 및 기타 제안 = 713
32. 검사식 (Test Diets) = 716
32-1 레닌검사식 = 716
32-2 400mg 칼슘검사식 = 717
32-3 당내응력 검사식 = 717
32-4 지방변 검사식 = 718
32-5 5-HIAA 검사 = 720
32-6 위배출 검사식 = 720
32-7 요오드 제한식 = 722
성인부록
1. 경장영양액 성분 = 726
2. 정맥영양액 성분 = 743
3. 복합비타민제제 = 750
4. mg을 mEq로 환산하는 법 = 752
5. 미터측량법으로 또는 미터측량법으로부터 환산하는 법 = 753
6. Caffein 함유량/외식의 칼로리/간식,인스턴트 및 과자의 칼로리 = 755
7. 술, 유제품, 음료수의 칼로리 = 757
8. 한국 상용식품의 지방산 조성표 = 758
9. 일상식품의 섬유소 함량 = 764
10. 식품중의 무기질 함량 = 766
11. 혈액 검사의 참고치 = 776
12. 처방식사별 영양기준량 및 식품구성의 예 = 778
소아부록
1. 시판 조제분유와 보충식품의 성분 = 784
2. 한국 소아정상 발육치 = 792
3. 한국 소아정상 발육곡선 = 793
4. 한국 소아의 신장별 체중 백분위수 = 797
5. Baldwin-Wood 표 = 799
6.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동의 성장도표 = 801
7. 미숙아 발육곡선 = 809
8. 어린이를 위한 신체 계측 도표 = 810
색인
한글색인 = 811
영문색인 = 835
</pre>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