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5
동양화란 어떤 그림인가
1 요즈음 한국화와 서양화의 구분이 어렵다는데 = 15
2 재료만으로 한국화와 서양화를 구분할 수 없을 경우에는 = 19
3 동양화와 한국화는 서로 다른가 = 22
4 한국화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생겼나 = 26
5 먹으로만 그리면 수묵화이고 색깔을 사용하면 채색화인가 = 29
6 수묵화와 채색화는 각각...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5
동양화란 어떤 그림인가
1 요즈음 한국화와 서양화의 구분이 어렵다는데 = 15
2 재료만으로 한국화와 서양화를 구분할 수 없을 경우에는 = 19
3 동양화와 한국화는 서로 다른가 = 22
4 한국화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생겼나 = 26
5 먹으로만 그리면 수묵화이고 색깔을 사용하면 채색화인가 = 29
6 수묵화와 채색화는 각각 어떤 스타일의 그림인가 = 31
7 수묵화와 채색화의 표현원리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면 = 34
8 남화가 북화보다 오히려 북쪽 지방의 그림이라는데 = 37
9 남종화, 북종화라는 말은 당나라 때 생겼나 = 39
10 남종화와 북종화의 양식적 특색은 어떠한가 = 40
11 문인화와 남종화는 같은 그림인가 = 43
12 문인화의 화풍은 인품과 같다는데 = 46
13 선비는 왜 사군자화를 많이 그렸을까 = 48
14 일본화라는 양식은 따로 있나 = 53
15 일본화는 그리는가, 만드는가 = 55
16 일본화의 회화적 특성은 어떠한가 = 58
17 민화에는 왜 낙관이 없을까 = 60
18 민화가 정말 우리의 그림이라 말하는데 = 62
19 다른 나라에도 민화가 있었을까 = 65
동양화의 여러 형식들
20 산수화를 풍경화라고 할 수 있을까 = 69
21 산수화와 풍경화의 표현방법상의 차이는 = 71
22 산수화는 언제부터 동양회화의 중심 양식으로 발전했나 = 74
23 화조화는 단순 감상용 그림인가 = 76
24 화조화는 언제부터 어떻게 그려졌나 = 80
25 사군자화는 언제부터 그리기 시작했나 = 83
26 사군자화는 서예인가, 그림인가 = 86
27 사군자화는 언제부터 서예 부문에 포함시켰나 = 89
28 미인도는 초상화인가 = 91
29 미인도는 언제부터 그렸으며, 누가 잘 그렸나 = 93
30 미인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미인은 어떤 모습인가 = 95
31 기명절지도는 어떤 그림인가 = 99
32 기명절지도는 정물화인가 = 102
33 문자도는 서예인가, 그림인가 = 105
34 문자도에는 어떤 그림들이 그려져 있나 = 108
동양화, 선(線)의 예술 여백의 미
35 동양의 그림을 선의 예술이라 한다는데 = 113
36 동양 그림에서 선은 어떤 형태로 표현되나 = 115
37 동양의 그림은 왜 선의 표현을 많이 했을까 = 116
38 동양 그림의 여백은 다 그리고 난 나머지로서의 여백인가 = 120
39 동양 그림의 여백은 동양사상과 관계가 있는가 = 123
40 여백의 표현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 125
41 동양화의 구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130
42 서양화적 구도 개념으로 본 동양화의 구도는 어떠한가 = 132
43 준법이란 지질학적 특징을 표현한 것인가 = 135
44 준법은 언제부터 생겼으며, 그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 = 137
45 동양화에서 준법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 140
46 옛 그림에는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들이 많이 보이는데 = 143
47 옛 그림에는 왜 불합리한 표현이 나타나는가 = 146
48 동양화에도 추상적 표현이 많이 등장하는데 = 151
49 추상화는 동양에서 먼저 시작했을까 = 155
50 음양오행설이 동양인의 색채관에 영향을 주었다는데 = 158
51 음양오행사상은 어떤 것인가 = 159
52 음양오행사상은 동양회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 161
문방사우(文房四友)
53 채륜이 만든 종이는 닥나무 종이였을까 = 167
54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한지를 만들어 사용했을까 = 169
55 한지는 어떻게 만드나 = 172
56 한자는 닥나무로만 만들 수 있나 = 176
57 과연 몽염이 붓을 최초로 만들었을까 = 179
58 붓은 어떤 짐승의 털로 만드는가 = 181
59 어떤 붓이 좋은 붓인가 = 182
60 붓은 알콜에 빠는 것이 제일 좋다는데 = 185
61 동양의 붓은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다는데 = 187
62 옛날에도 먹은 그을음으로 만들었을까 = 190
63 먹은 그을음만으로 만드나 = 192
64 이십오 년 묵은 먹이 가장 좋다는데 = 195
65 먹은 왜 즉석에서 갈아 써야 하나 = 197
66 먹은 왜 천천히 오래 갈아야 하는가 = 199
67 공자는 벼루를 사용한 적이 없다는데 = 201
68 벼루는 어떤 돌로 만드나 = 203
69 우리나라의 벼루는 주로 어느 지방에서 생산되나 = 206
70 좋은 벼루는 어떤 것인가 = 207
71 옛날에는 물감을 어떻게 만들어 썼을까 = 210
72 어디에서 무슨 색을 얻을 수 있었을까 = 212
73 낙관인을 새기는 것도 예술인가 = 215
74 낙관인은 어떻게 새기는가 = 217
75 표구용 풀은 몇 년간 푹 썩힌 것을 쓴다는데 = 221
76 풀은 어떻게 삭히는가 = 224
그 밖의 동양화 이야기
77 화제는 문인화에만 쓰는가 = 229
78 화제는 주로 어떤 내용인가 = 233
79 현대 한국화에서도 화제를 꼭 써야 하나 = 236
80 동양화는 읽는 그림이라는데 = 238
81 동양화는 어떤 식으로 읽는가 = 240
82 동양화는 모두 읽는 그림인가 = 245
83 동양화와 서양화는 느낌상 어떻게 다른가 = 248
84 재료나 기법의 차이로 인한 동·서양화의 느낌은 = 251
85 옛 그림에는 길상적인 소재가 많다는데 = 255
86 옛 그림에서 읽을 수 있는 길상적 내용은 어떤 것인가 = 259
87 햇빛과 습기가 한국화 훼손의 주범이라는데 = 261
88 한국화는 어떻게 보존해야 하나 = 263
89 한국화의 크기구분은 어떻게 하는가 = 266
90 호수법으로 말하는 것은 잘못인가 = 268
91 내 그림의 변·퇴색을 미리 알 수는 없을까 = 271
92 변·퇴색이 심한 한국화 물감은 어떤 것일까 = 273
93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그림은 어떤 것이 있나 = 276
94 색을 사용한 그림으로 가장 오래 된 것은 = 279
95 종이에 그려진 그림으로 가장 오래 된 것은 = 283
96 덧붙여진 여러 장의 그림을 손상 없이 분리해낼 수 있을까 = 287
97 한 장의 그림을 두 장으로 만들 수도 있다는데 = 290
98 화가는 반드시 호가 필요한가 = 292
99 호는 어떻게 짓는가 = 294
100 화가들의 재미있는 아호에 대하여 = 296
현대 한국화가들의 아호에 얽힌 이야기 = 301
참고문헌 = 3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