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art Ⅰ 입문
1장 발달정신병리 = 17
1. 아동 정신병리의 역사적 사건들 = 18
1) 아동에 대한 인식 변화 = 18
2) 임상심리와 발달심리 = 21
2. 정신병리에서 성인과 아동의 차이 = 23
1) 진단과 평가 = 24
2) 치료 = 26
3. 정상발달과 이상발달 = 27
1)발달과 병리 = 29
4...
더보기
목차 전체
Part Ⅰ 입문
1장 발달정신병리 = 17
1. 아동 정신병리의 역사적 사건들 = 18
1) 아동에 대한 인식 변화 = 18
2) 임상심리와 발달심리 = 21
2. 정신병리에서 성인과 아동의 차이 = 23
1) 진단과 평가 = 24
2) 치료 = 26
3. 정상발달과 이상발달 = 27
1)발달과 병리 = 29
4. 발달정신병리란 무엇인가 = 31
1) 다양한 발달 궤도 = 34
2) 미래의 전망 = 37
2장 심리평가 및 진단 = 43
1. 심리평가의 목적 = 45
2. 아동심리평가 = 47
1) 임상면접 = 48
3. 심리평가 = 52
1) 인지평가 = 52
2) 투사검사 = 59
3) 행동평가 = 65
4. 신경심리평가 = 71
5. 진단분류 = 75
Part Ⅱ장애별 접근
3장 애착장애 = 85
1. 정의 및 임상특성 = 87
1) 정의 = 87
2) 진단기준 = 87
3) 임상특성 = 89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90
1) 원인과 역학 = 90
2) 발달경과 = 92
3. 애착장애 진단에 유용한 평가 = 94
1) 낯선상황절차의 A,B,C,D 유형 평가 = 95
2) 성인애착면접 = 97
3) 인형놀이를 통한 이야기서술 접근법 = 99
4) 애착유형에 따른 아동 그림 분석 = 100
4. 애착장애 영유아·아동 치료적 접근 = 101
4장 자폐장애 = 115
1. 서론 = 116
1) 정의 = 116
2) 임상특성 = 117
3) 원인 = 123
4) 역학 및 예후 = 125
5) 추적 연구 = 127
2. 자폐장애의 진단과 평가 = 129
1) 진단기준 = 129
2) 자폐장애 진단·평가도구 = 131
3) 자폐아동 행동발달 평가 = 139
3. 처치 프로그램 = 140
1) 응용행동분석 프로그램 = 140
2) TEACCH 프로그램 = 143
3)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치료 접근 = 145
4) 약물치료 = 148
5) 기타 치료 접근 = 149
4. 전망과 과제 = 150
1) 조기진단 = 150
2) 조기개입 = 151
3) 청소년·성인연구 = 152
5장 의사소통장애 = 163
1. 정의 및 임상특성 = 164
1) 정의 = 164
2) 임상적 유형 및 특성 = 166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170
1) 언어발달지체 및 장애 = 170
2) 조음/음운장애 = 172
3) 유창성장애 = 173
4) 음성장애 = 174
5) 신경관련장애 = 174
3. 평가 = 175
1) 평가목적 및 기본 원리 = 1775
2) 평가 내용 = 176
3) 평가방법 및 도구 = 177
4. 치료적 접근 = 185
1) 치료과정 개요 = 185
2) 장애유형별 치료적 접근 = 187
3) 의사소통장애 임상전문가 및 다학문적 접근 = 200
6장 정신지체 = 211
1. 정의 및 특성 = 212
1) 정의 = 212
2) 정신지체의 분류 및 진단기준 = 216
3) 특성 = 221
2. 역학과 발달과정 = 225
1) 역학 = 225
2) 원인 = 226
3) 발달 경과 = 232
3. 평가 = 238
4. 치료적 접근 = 244
1) 약물치료 = 244
2) 심리치료 = 245
3) 행동치료 = 245
4) 특수교육 = 246
5) 가족 중재 = 247
6) 예방 = 247
7장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 255
1. 역사적 배경, 정의 및 임상특성 = 257
1) 역사적 배경 = 257
2) 정의 및 진단기준 = 259
3) 임상특성 = 262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267
1) 원인 = 267
2) 역학 = 275
3) 발달 경과와 예후 = 278
3. 평가 = 282
1) 주의력 결핍 및 과이행동 장애와 감별해야 할 경우 = 283
2) 의학적 질환 및 검사 = 284
3) 면담 및 행동관찰 = 284
4) 행동평가 척도 = 285
5) 연속수행과제 검사 = 291
6) 기타 심리검사 = 293
4. 치료적 접근 = 297
1) 약물치료 = 298
2) 심리·사회적 치료 = 300
8장 우울장애 = 319
1. 정의 및 임상특성 = 320
1) 진단기준 = 322
2) 임상특성 = 324
3) 합병의 패턴 = 326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27
1) 기능의 손상 = 327
2) 발달 경과 = 329
3. 역학과 원인론 = 330
1) 역학 = 330
2) 원인론 = 332
4. 평가 및 치료적 접근 = 341
1) 평가 시 고려할 점 = 341
2) 평가도구 = 344
3) 치료적 접근 = 347
9장 불안장애 = 355
1. 분리불안장애 = 358
1) 정의 및 임상특성 = 359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62
2. 특정 공포증 = 365
1) 정의 및 임상특성 = 365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69
3. 사회공포증 = 371
1) 정의 및 임상특성 = 372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76
4. 일반화된 불안장애 = 378
1) 정의 및 임상특성 = 379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82
5. 공황장애 = 384
1) 정의 및 임상특성 = 385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86
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388
1) 정의 및 임상특성 = 389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393
7. 강박장애 = 396
1) 정의 및 임상특성 = 396
2) 발달과정과 그 결과 = 400
8. 불안장애의 평가 = 402
1) 임상적 면접 = 404
2) 행동평가 = 406
3) 자기 감찰 = 410
4) 자기 보고 질문지 = 411
5) 생리적 측정법 = 417
6) 심리학적 평가 = 417
9. 불안장애의 치료적 접근 = 418
1) 심리치료 = 419
2) 놀이치료 = 428
3) 가족개입 = 428
4) 약물치료 = 428
10장 학교부적응 = 441
1. 학교부적응의 정의 및 임상특성 = 442
1) 정의 = 442
2) 진단기준 = 444
3) 임상특성 = 446
2. 원인과 그 발달과정 = 466
1) 개인적 발달의 문제 = 468
2) 부모 및 가정 = 470
3) 학교 = 472
4) 또래 집단 = 474
3. 평가 = 474
1) 지능과 적성 = 475
2) 성격, 사회, 정서 및 행동 = 475
4. 치료적 접근 = 479
11장 청소년과 물질관련 장애 = 485
1. 현황 및 실태 = 486
2. 정의, 진단, 종류 및 임상특성 = 488
1) 정의 = 488
2) 진단 = 489
3) 물질의 종류 및 임상특성 = 492
3. 청소년과 물질사용장애 = 501
1) 물질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501
2) 물질사용장애의 원인 = 503
3) 청소년 물질남용의 동기 = 505
4) 물질의존의 진행단계 = 506
5) 청소년 물질남용의 특징 = 507
6) 청소년 물질사용의 위험요인 = 508
7) 청소년 물질사용의 징후들 = 509
4. 평가 및 치료 = 510
1) 평가내용 = 510
2) 선별도구를 통한 평가 = 514
3) 치료 = 515
5. 물질남용에 대한 통합적 접근 = 518
1) 청소년의 역할 = 518
2) 가족의 역할 = 519
3) 학교의 역할 = 520
4) 지역사회의 역할 = 520
Part Ⅲ 전망과 미래
12장 예방적 접근 = 525
1. 예방의 중요성 = 525
2. 예방 모델 = 528
3.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의 특징 = 531
1) 예방 접근 = 531
2) 예방 개입 시기 = 532
3) 예방 실시 기간 = 533
4) 예방 효과 = 534
5) 예방 프로그램의 참가자의 참여도 = 535
4. 안정애착을 위한 예방 부모교육 = 536
1) 안정애착 형성을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 536
2) 안정애착 형성을 위한 예방 경로 = 537
3) 안정애착을 위한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 = 540
5. 품행장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 541
1) 품행장애 예방의 필요성 = 541
2) 품행장애의 예방 접근 = 542
부록 = 555
찾아보기 = 58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