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권> 일반론 상
목차
1권
중국역대화론을 번역하며 = 3
일러두기 = 5
출판설명 = 13
서문 = 15
권두언 = 17
유검화 소전 = 23
제1장 戰國·漢·魏晉南北朝 논어론화(論語論畵) 春秋 『論語』 = 27
고공기기화(考工記記畵) 春秋 『考工記』 = 29
장자론화(莊子論畵) 戰國 莊周 撰 = 31
한비자론화(韓非子論畵) ...
더보기
목차 전체
<1권> 일반론 상
목차
1권
중국역대화론을 번역하며 = 3
일러두기 = 5
출판설명 = 13
서문 = 15
권두언 = 17
유검화 소전 = 23
제1장 戰國·漢·魏晉南北朝 논어론화(論語論畵) 春秋 『論語』 = 27
고공기기화(考工記記畵) 春秋 『考工記』 = 29
장자론화(莊子論畵) 戰國 莊周 撰 = 31
한비자론화(韓非子論畵) 戰國 韓非 撰 = 33
회남자론화(淮南子論畵) 前漢 劉安 撰 = 36
복파론화(伏波論畵) 後漢 馬援 撰 = 40
논형론화(論衡論畵) 後漢 王充 撰 = 41
평자론화(平子論畵) 後漢 張衡 撰 = 43
문고부화(文考賦畵) 後漢 王延壽 撰 = 44
위장론화(偉長論畵) 魏 徐幹 撰 = 47
화찬서(畵贊序) 魏 曹植 撰 = 48
사형론화(士衡論畵) 西晉 陸機 撰 = 50
평남론화(平南論畵) 東晉 王이 撰 = 52
안씨가훈론화(顔氏家訓論畵) 北齊 顔之推 撰 = 54
제2장 唐·宋 정관공사화록서(貞觀公私畵錄序) 唐 裵孝源 撰 = 59
평사십칠소화벽(評四十七所畵壁) = 61
문통론화(文通論畵) 唐 張璪 撰 = 66
관장원외화송석서(觀張員外畵松石序) 唐 符載 撰 = 68
당조명화록서(唐朝名畵錄序) 唐 朱景玄 撰 = 72
화기(畵記) 唐 白居易 撰 = 78
화송시(畵松詩) 唐 元진 撰 = 81
역대명화기서론(歷代名畵記敍論) 唐 張彦遠 撰 = 83
서화지원류(書畵之源流) = 83
서화지흥폐(敍畵之興廢) = 94
논화육법(論畵六法) = 112
서사자전수(敍師資傳授) = 117
논고육장오용필(論顧陸張吳用筆) = 123
논화체(論畵體) = 128
치규론화(稚圭論畵) 宋 韓琦 撰 = 135
육일발화(六一跋畵) 宋 歐陽修 撰 = 137
제발(題跋) = 137
시필(試筆) = 138
몽계필담론화(夢溪筆談論畵) 宋 沈括 撰 = 139
도화가(圖畵歌) 宋 沈括 撰 = 142
동파론화(東坡論畵) 宋 蘇載 撰 = 148
정인원화기(淨因院畵記) = 148
보회당기(寶繪堂記) = 150
서주상선화후(書朱象先畵後) = 153
서황노직화발후삼수(書黃魯直畵跋後三首) = 155
논화시(論畵詩) = 158
도화견문지서론(圖畵見聞志敍論) 宋 郭若虛 撰 = 161
서(序) = 161
서제가문자(敍諸家文字) = 164
서국조구방(敍國朝求訪) = 165
서자고규감(敍自古規鑒) = 168
논제작해모(論製作楷模) = 173
논기운비사(論氣韻非師) = 178
논용필삼병(論用筆三病) = 180
논조오체법(論曹吳體法) = 181
논오생설색(論吳生設色) = 183
논고금우열(論古今優劣) = 183
후산담총론화(後山談叢論畵) 宋 陳師道 撰 = 189
논형의(論形意) 宋 晁說之 撰 = 193
논정간(論精簡) 宋 葛守昌 撰 = 195
논화공용(論畵功用) 宋 張敦禮 撰 = 196
논정건염립본우열(論鄭虔閻立本優劣) 宋 鄭剛中 撰 = 197
논형신(論形神) 宋 袁文 撰 = 199
기은사화벽(記隱士畵壁) 宋 康與之 撰 = 201
방시한거사소고론화(方是閒居士小稿論畵) 宋 劉學箕 撰 = 205
화계잡설(畵繼雜說) 宋 鄧椿 撰 = 208
논원(論遠) = 208
논근(論近) = 221
자언론화(子言論畵) 宋 錢聞詩 撰 = 223
문슬신화론화(문蝨新話論畵) 宋 陳善 撰 = 234
동천청록집고화변(洞天淸祿集古畵辨) 宋 趙希鵠 撰 = 236
논척화(論滌畵) 宋 何원 撰 = 243
논화품(論畵品) 宋 趙孟濚 撰 = 245
제3장 元·明·淸 삽천옹론화(삽川翁論畵) 元 錢選 撰 = 249
송설론화(松雪論畵) 元 趙孟부 撰 = 251
도회보감서(圖繪寶鑑序) 元 楊維禎 撰 = 254
화원(畵原) 明 宋濂 撰 = 258
부부집론화(覆부集論畵) 明 朱同 撰 = 263
자녕론화(子寧論畵) 明 練安 撰 = 266
서화전습록론화(書畵傳習錄論畵) 明 王불 撰(傳) = 268
증류초창화(贈劉草窓畵) 明 杜瓊 撰 = 277
포옹론화(匏翁論畵) 明 吳寬 撰 = 281
육여론화(六如論畵) 明 唐寅 撰 = 286
사우재화론(四友齋畵論) 明 何良俊 撰 = 288
승암론화(升庵論畵) 明 楊愼 撰 = 303
예원치언론화(藝苑치言論畵) 明 王世貞 撰 = 305
화인(畵引) 明 顧凝遠 撰 = 315
논흥치(論興致) = 315
논기운(論氣韻) = 315
논필묵(論筆墨) = 316
논생졸(論生拙) = 317
논고윤(論枯潤) = 318
논취세(論取勢) = 319
논화수(論畵水) = 320
연한청상전론화(燕閒淸賞箋論畵) 明 高濂 撰 = 321
홍교론화(虹橋論畵) 明 蔣乾 撰 = 334
수료관론화(輸蓼館論畵) 明 范允臨 撰 = 335
오잡조론화(五雜俎論畵) 明 謝肇제 撰 = 338
병화재론화(甁花齋論畵) 明 袁宏道 撰 = 342
죽란론화(竹란論畵) 明 李日華 撰 = 346
적독론화(赤牘論畵) 明 李式玉 撰 = 360
논화(論畵) 明 文震亨 撰 = 362
노련론화(老蓮論畵) 明 陳洪綬 撰 = 365
자제무주장사화(自題撫周長史畵) = 365
논화(論畵) = 366
대풍론화(大風論畵) 明 張風 撰 = 370
산호망론화(珊瑚網論畵) 明 汪珂玉 撰 = 373
회사명목(繪事名目) = 373
화칙(畵則) = 373
고금묘법(古今描法) = 374
준수법(준樹法) = 379
수지사등(樹枝四等) = 379
수엽이십칠등(樹葉二十七等) = 380
준석법(준石法) = 380
사석이십육종(寫石二十六種) = 381
소촌론화(邵村論畵) 淸 方咸亨 撰 = 383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 明遺民 釋原濟 撰 = 387
일획장 제일(一劃章弟一) = 387
요법장 제이(了法章弟二) = 390
변화장 제삼(變化章弟三) = 392
존수장 제사(尊受章弟四) = 395
필묵장 제오(筆墨章弟五) = 396
운완장 제육(運腕章弟六) = 399
인온장 제칠(絪縕章弟七) = 402
산천장 제팔(山川章弟八) = 404
준법장 제구(준法章弟九) = 408
경계장 제십(境界章弟十) = 414
혜경장 제십일(蹊徑章第十一) = 417
임목장 제십이(林木章弟十二) = 419
해도장 제십삼(海濤章弟十三) = 422
사시장 제십사(四時章弟十四) = 424
원진장 제십오(遠塵章弟十五) = 426
탈속장 제십육(脫俗章弟十六) = 427
겸자장 제십칠(兼字章弟十七) = 428
자임장 제십팔(資任章弟十八) = 430
석도론화(石濤論畵) 明遺民 釋原濟 撰 = 447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67
2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7
제4장 淸 우창만필(雨창漫筆) / 王原祁 撰[淸] = 13
논화십칙(論畵十則) = 13
학화천설(學畵淺說) / 王慨 撰 ; 王蓍 撰 ; 王얼 撰[淸] = 55
육법(六法) = 59
육요육장(六要六長) = 60
삼병(三病) = 61
12기(十二忌) = 62
삼품(三品) = 63
분종(分宗) = 64
중품(重品) = 70
성가(成家) = 74
능변(能變) = 79
계준(計준) = 81
석명(釋名) = 83
용필(用筆) = 85
용묵(用墨) = 94
중윤선염(重潤渲染) = 96
천지위치(天地位置) = 101
파사(破邪) = 104
거속(去俗) = 109
동장론화(東莊論畵) / 王昱 撰[淸] = 118
화학심법문답(畵學心法問答) / 布顔圖 撰[淸] = 133
문답소인(問答小引) = 133
문인시승문산수화가남북이종(門人時乘問山水畵家南北二宗) = 137
문포치지법(問佈置之法) = 153
문묵유흑백농담건습육채(問墨有黑白濃淡乾濕六彩) = 155
문필유근골피육사세(問筆有筋骨皮肉四勢) = 157
문무묵구염일법(問無墨求染一法) = 158
문육법중지경영위치(問六法中之經營位置) = 159
문부자상교문인숙련피마준(問夫子嘗敎門人熟練波麻준) = 162
문필법(問筆法) = 164
문용묵지법(問用墨之法) = 166
문연필법(問練筆法) = 167
문화수법(問畵樹法) = 168
문생지법병생근법(問生枝法竝生根法) = 172
문화엽법(問畵葉法) = 175
문산수입묘재유법무법지간(問山水入妙在有法無法之間) = 175
문인문왈영부자지교순순이기운생동위주(門人問曰聆夫子之敎諄諄以氣韻生動爲主) = 179
문용의법(問用意法) = 182
문주산환포법(問主山環抱法) = 184
문화중필묵정경하자위선(問畵中筆墨情景何者爲先) = 187
문정경하능입묘(問情景何能入妙) = 187
문화중경계무궁(問畵中境界無窮) = 188
문화학오득칭선(問畵學烏得稱禪) = 194
문소위화선자기지도도상전이이호(問所謂畵禪者豈止道道相傳而已乎) = 195
문화가기유의발(問畵家旣有衣鉢) = 196
문관동사형호화법유이이호(問關仝師荊浩畵法有以異乎) = 196
문거연사북원화법유이이호(問巨然師北苑畵法有以異乎) = 199
문거연유도사화법유이이호(問巨然劉道士畵法有以異乎) = 199
문이성범관화법유이이호(問李成范寬畵法有以異乎) = 202
문연문귀허도녕화법유이이호(問燕文貴許道寧畵法有以異乎) = 205
문원대황왕예오사가화법유이이호(問元代黃王倪吳四家畵法有以異乎) = 207
문부자매교화성지후불가선염(問夫子每敎畵成之後不可渲染) = 211
문착색법(問著色法)= 214
문수착색사계동호이호(問樹著色四季同乎異乎) = 216
문벽삽구재법(問僻삽求才法) = 222
문부자상론화산수(問夫子常論畵山水) = 226
문당송화무관(問唐宋畵無款) = 233
문부자휘만상어흉회(問夫子彙萬象於胸懷) = 236
포산론화(浦山論畵) / 張庚 撰[淸] = 245
논필(論筆) = 257
논묵(論墨) = 259
논품격(論品格) = 259
논기운(論氣韻) = 262
논성정(論性) = 263
논공부(論工夫) = 267
논입문(論人門) = 268
논취자(論取資) = 269
산정거화론(山靜居畵論) / 方薰 撰[淸] = 277
이원화학(履園畵學) / 錢泳 撰[淸] = 338
산남론화(山南論畵) / 王學浩 撰[淸] = 345
양소거화학구심(養素居畵學鉤深) / 菫棨 撰[淸] = 356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 = 375
3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17
제5장 淸 계산와유록(谿山臥遊錄) / 盛大士 撰[淸] = 11
소봉래각화감(小蓬萊閣畵鑑) / 李修易 撰[淸] = 69
학화잡론(學畵雜論) / 蔣和 撰[淸] = 118
입의(立意) = 118
장법(章法) = 118
전재(剪裁) = 120
수방(收放) = 121
의도리도(意到理到) = 121
분별토석(分別土石) = 122
용고(用稿) = 122
일영(日影) = 123
운(雲) = 124
석(石) = 125
취승(取勝) = 125
수석허실(樹石虛實) = 126
명목(名目) = 127
수촌도(水村圖) = 128
화유불가용의자(畵有不可用意者) = 129
임목과석(林木과石) = 129
화경우록론화(畵耕偶錄論畵) / 邵梅臣 撰[淸] = 135
남종결비(南宗抉비) / 華琳 撰[淸] = 151
화담(畵譚) / 張式 撰[淸] = 196
화설(畵設) / 華翼綸 撰[淸] = 216
독화기문(讀畵紀聞) / 蔣驥 撰[淸] = 271
용필용묵(用筆用墨) = 272
준법(준法) = 272
장법(章法) = 275
포치수죽(佈置樹竹) = 276
농담(濃淡) = 277
송(松) = 277
고수(枯樹) = 278
인물옥우(人物屋宇) = 278
풍우(風雨) = 280
설월(雪月) = 281
태(苔) = 282
신녀론(神女論) = 283
품격론(品格論) = 284
의문(衣紋) = 285
사조포경(寫照佈景) = 285
이원론화(이園論畵) / 松年 撰[淸] = 288
지두화설(指頭畵說) / 高秉 撰[淸] = 341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71
<2권> 일반론 중
목차
1권
중국역대화론을 번역하며 = 3
일러두기 = 5
출판설명 = 13
서문 = 15
권두언 = 17
유검화 소전 = 23
제1장 戰國·漢·魏晉南北朝 논어론화(論語論畵) 春秋 『論語』 = 27
고공기기화(考工記記畵) 春秋 『考工記』 = 29
장자론화(莊子論畵) 戰國 莊周 撰 = 31
한비자론화(韓非子論畵) 戰國 韓非 撰 = 33
회남자론화(淮南子論畵) 前漢 劉安 撰 = 36
복파론화(伏波論畵) 後漢 馬援 撰 = 40
논형론화(論衡論畵) 後漢 王充 撰 = 41
평자론화(平子論畵) 後漢 張衡 撰 = 43
문고부화(文考賦畵) 後漢 王延壽 撰 = 44
위장론화(偉長論畵) 魏 徐幹 撰 = 47
화찬서(畵贊序) 魏 曹植 撰 = 48
사형론화(士衡論畵) 西晉 陸機 撰 = 50
평남론화(平南論畵) 東晉 王이 撰 = 52
안씨가훈론화(顔氏家訓論畵) 北齊 顔之推 撰 = 54
제2장 唐·宋 정관공사화록서(貞觀公私畵錄序) 唐 裵孝源 撰 = 59
평사십칠소화벽(評四十七所畵壁) = 61
문통론화(文通論畵) 唐 張璪 撰 = 66
관장원외화송석서(觀張員外畵松石序) 唐 符載 撰 = 68
당조명화록서(唐朝名畵錄序) 唐 朱景玄 撰 = 72
화기(畵記) 唐 白居易 撰 = 78
화송시(畵松詩) 唐 元진 撰 = 81
역대명화기서론(歷代名畵記敍論) 唐 張彦遠 撰 = 83
서화지원류(書畵之源流) = 83
서화지흥폐(敍畵之興廢) = 94
논화육법(論畵六法) = 112
서사자전수(敍師資傳授) = 117
논고육장오용필(論顧陸張吳用筆) = 123
논화체(論畵體) = 128
치규론화(稚圭論畵) 宋 韓琦 撰 = 135
육일발화(六一跋畵) 宋 歐陽修 撰 = 137
제발(題跋) = 137
시필(試筆) = 138
몽계필담론화(夢溪筆談論畵) 宋 沈括 撰 = 139
도화가(圖畵歌) 宋 沈括 撰 = 142
동파론화(東坡論畵) 宋 蘇載 撰 = 148
정인원화기(淨因院畵記) = 148
보회당기(寶繪堂記) = 150
서주상선화후(書朱象先畵後) = 153
서황노직화발후삼수(書黃魯直畵跋後三首) = 155
논화시(論畵詩) = 158
도화견문지서론(圖畵見聞志敍論) 宋 郭若虛 撰 = 161
서(序) = 161
서제가문자(敍諸家文字) = 164
서국조구방(敍國朝求訪) = 165
서자고규감(敍自古規鑒) = 168
논제작해모(論製作楷模) = 173
논기운비사(論氣韻非師) = 178
논용필삼병(論用筆三病) = 180
논조오체법(論曹吳體法) = 181
논오생설색(論吳生設色) = 183
논고금우열(論古今優劣) = 183
후산담총론화(後山談叢論畵) 宋 陳師道 撰 = 189
논형의(論形意) 宋 晁說之 撰 = 193
논정간(論精簡) 宋 葛守昌 撰 = 195
논화공용(論畵功用) 宋 張敦禮 撰 = 196
논정건염립본우열(論鄭虔閻立本優劣) 宋 鄭剛中 撰 = 197
논형신(論形神) 宋 袁文 撰 = 199
기은사화벽(記隱士畵壁) 宋 康與之 撰 = 201
방시한거사소고론화(方是閒居士小稿論畵) 宋 劉學箕 撰 = 205
화계잡설(畵繼雜說) 宋 鄧椿 撰 = 208
논원(論遠) = 208
논근(論近) = 221
자언론화(子言論畵) 宋 錢聞詩 撰 = 223
문슬신화론화(문蝨新話論畵) 宋 陳善 撰 = 234
동천청록집고화변(洞天淸祿集古畵辨) 宋 趙希鵠 撰 = 236
논척화(論滌畵) 宋 何원 撰 = 243
논화품(論畵品) 宋 趙孟濚 撰 = 245
제3장 元·明·淸 삽천옹론화(삽川翁論畵) 元 錢選 撰 = 249
송설론화(松雪論畵) 元 趙孟부 撰 = 251
도회보감서(圖繪寶鑑序) 元 楊維禎 撰 = 254
화원(畵原) 明 宋濂 撰 = 258
부부집론화(覆부集論畵) 明 朱同 撰 = 263
자녕론화(子寧論畵) 明 練安 撰 = 266
서화전습록론화(書畵傳習錄論畵) 明 王불 撰(傳) = 268
증류초창화(贈劉草窓畵) 明 杜瓊 撰 = 277
포옹론화(匏翁論畵) 明 吳寬 撰 = 281
육여론화(六如論畵) 明 唐寅 撰 = 286
사우재화론(四友齋畵論) 明 何良俊 撰 = 288
승암론화(升庵論畵) 明 楊愼 撰 = 303
예원치언론화(藝苑치言論畵) 明 王世貞 撰 = 305
화인(畵引) 明 顧凝遠 撰 = 315
논흥치(論興致) = 315
논기운(論氣韻) = 315
논필묵(論筆墨) = 316
논생졸(論生拙) = 317
논고윤(論枯潤) = 318
논취세(論取勢) = 319
논화수(論畵水) = 320
연한청상전론화(燕閒淸賞箋論畵) 明 高濂 撰 = 321
홍교론화(虹橋論畵) 明 蔣乾 撰 = 334
수료관론화(輸蓼館論畵) 明 范允臨 撰 = 335
오잡조론화(五雜俎論畵) 明 謝肇제 撰 = 338
병화재론화(甁花齋論畵) 明 袁宏道 撰 = 342
죽란론화(竹란論畵) 明 李日華 撰 = 346
적독론화(赤牘論畵) 明 李式玉 撰 = 360
논화(論畵) 明 文震亨 撰 = 362
노련론화(老蓮論畵) 明 陳洪綬 撰 = 365
자제무주장사화(自題撫周長史畵) = 365
논화(論畵) = 366
대풍론화(大風論畵) 明 張風 撰 = 370
산호망론화(珊瑚網論畵) 明 汪珂玉 撰 = 373
회사명목(繪事名目) = 373
화칙(畵則) = 373
고금묘법(古今描法) = 374
준수법(준樹法) = 379
수지사등(樹枝四等) = 379
수엽이십칠등(樹葉二十七等) = 380
준석법(준石法) = 380
사석이십육종(寫石二十六種) = 381
소촌론화(邵村論畵) 淸 方咸亨 撰 = 383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 明遺民 釋原濟 撰 = 387
일획장 제일(一劃章弟一) = 387
요법장 제이(了法章弟二) = 390
변화장 제삼(變化章弟三) = 392
존수장 제사(尊受章弟四) = 395
필묵장 제오(筆墨章弟五) = 396
운완장 제육(運腕章弟六) = 399
인온장 제칠(絪縕章弟七) = 402
산천장 제팔(山川章弟八) = 404
준법장 제구(준法章弟九) = 408
경계장 제십(境界章弟十) = 414
혜경장 제십일(蹊徑章第十一) = 417
임목장 제십이(林木章弟十二) = 419
해도장 제십삼(海濤章弟十三) = 422
사시장 제십사(四時章弟十四) = 424
원진장 제십오(遠塵章弟十五) = 426
탈속장 제십육(脫俗章弟十六) = 427
겸자장 제십칠(兼字章弟十七) = 428
자임장 제십팔(資任章弟十八) = 430
석도론화(石濤論畵) 明遺民 釋原濟 撰 = 447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67
2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7
제4장 淸 우창만필(雨창漫筆) / 王原祁 撰[淸] = 13
논화십칙(論畵十則) = 13
학화천설(學畵淺說) / 王慨 撰 ; 王蓍 撰 ; 王얼 撰[淸] = 55
육법(六法) = 59
육요육장(六要六長) = 60
삼병(三病) = 61
12기(十二忌) = 62
삼품(三品) = 63
분종(分宗) = 64
중품(重品) = 70
성가(成家) = 74
능변(能變) = 79
계준(計준) = 81
석명(釋名) = 83
용필(用筆) = 85
용묵(用墨) = 94
중윤선염(重潤渲染) = 96
천지위치(天地位置) = 101
파사(破邪) = 104
거속(去俗) = 109
동장론화(東莊論畵) / 王昱 撰[淸] = 118
화학심법문답(畵學心法問答) / 布顔圖 撰[淸] = 133
문답소인(問答小引) = 133
문인시승문산수화가남북이종(門人時乘問山水畵家南北二宗) = 137
문포치지법(問佈置之法) = 153
문묵유흑백농담건습육채(問墨有黑白濃淡乾濕六彩) = 155
문필유근골피육사세(問筆有筋骨皮肉四勢) = 157
문무묵구염일법(問無墨求染一法) = 158
문육법중지경영위치(問六法中之經營位置) = 159
문부자상교문인숙련피마준(問夫子嘗敎門人熟練波麻준) = 162
문필법(問筆法) = 164
문용묵지법(問用墨之法) = 166
문연필법(問練筆法) = 167
문화수법(問畵樹法) = 168
문생지법병생근법(問生枝法竝生根法) = 172
문화엽법(問畵葉法) = 175
문산수입묘재유법무법지간(問山水入妙在有法無法之間) = 175
문인문왈영부자지교순순이기운생동위주(門人問曰聆夫子之敎諄諄以氣韻生動爲主) = 179
문용의법(問用意法) = 182
문주산환포법(問主山環抱法) = 184
문화중필묵정경하자위선(問畵中筆墨情景何者爲先) = 187
문정경하능입묘(問情景何能入妙) = 187
문화중경계무궁(問畵中境界無窮) = 188
문화학오득칭선(問畵學烏得稱禪) = 194
문소위화선자기지도도상전이이호(問所謂畵禪者豈止道道相傳而已乎) = 195
문화가기유의발(問畵家旣有衣鉢) = 196
문관동사형호화법유이이호(問關仝師荊浩畵法有以異乎) = 196
문거연사북원화법유이이호(問巨然師北苑畵法有以異乎) = 199
문거연유도사화법유이이호(問巨然劉道士畵法有以異乎) = 199
문이성범관화법유이이호(問李成范寬畵法有以異乎) = 202
문연문귀허도녕화법유이이호(問燕文貴許道寧畵法有以異乎) = 205
문원대황왕예오사가화법유이이호(問元代黃王倪吳四家畵法有以異乎) = 207
문부자매교화성지후불가선염(問夫子每敎畵成之後不可渲染) = 211
문착색법(問著色法)= 214
문수착색사계동호이호(問樹著色四季同乎異乎) = 216
문벽삽구재법(問僻삽求才法) = 222
문부자상론화산수(問夫子常論畵山水) = 226
문당송화무관(問唐宋畵無款) = 233
문부자휘만상어흉회(問夫子彙萬象於胸懷) = 236
포산론화(浦山論畵) / 張庚 撰[淸] = 245
논필(論筆) = 257
논묵(論墨) = 259
논품격(論品格) = 259
논기운(論氣韻) = 262
논성정(論性) = 263
논공부(論工夫) = 267
논입문(論人門) = 268
논취자(論取資) = 269
산정거화론(山靜居畵論) / 方薰 撰[淸] = 277
이원화학(履園畵學) / 錢泳 撰[淸] = 338
산남론화(山南論畵) / 王學浩 撰[淸] = 345
양소거화학구심(養素居畵學鉤深) / 菫棨 撰[淸] = 356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 = 375
3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17
제5장 淸 계산와유록(谿山臥遊錄) / 盛大士 撰[淸] = 11
소봉래각화감(小蓬萊閣畵鑑) / 李修易 撰[淸] = 69
학화잡론(學畵雜論) / 蔣和 撰[淸] = 118
입의(立意) = 118
장법(章法) = 118
전재(剪裁) = 120
수방(收放) = 121
의도리도(意到理到) = 121
분별토석(分別土石) = 122
용고(用稿) = 122
일영(日影) = 123
운(雲) = 124
석(石) = 125
취승(取勝) = 125
수석허실(樹石虛實) = 126
명목(名目) = 127
수촌도(水村圖) = 128
화유불가용의자(畵有不可用意者) = 129
임목과석(林木과石) = 129
화경우록론화(畵耕偶錄論畵) / 邵梅臣 撰[淸] = 135
남종결비(南宗抉비) / 華琳 撰[淸] = 151
화담(畵譚) / 張式 撰[淸] = 196
화설(畵設) / 華翼綸 撰[淸] = 216
독화기문(讀畵紀聞) / 蔣驥 撰[淸] = 271
용필용묵(用筆用墨) = 272
준법(준法) = 272
장법(章法) = 275
포치수죽(佈置樹竹) = 276
농담(濃淡) = 277
송(松) = 277
고수(枯樹) = 278
인물옥우(人物屋宇) = 278
풍우(風雨) = 280
설월(雪月) = 281
태(苔) = 282
신녀론(神女論) = 283
품격론(品格論) = 284
의문(衣紋) = 285
사조포경(寫照佈景) = 285
이원론화(이園論畵) / 松年 撰[淸] = 288
지두화설(指頭畵說) / 高秉 撰[淸] = 341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71
<3권> 일반론 하
목차
1권
중국역대화론을 번역하며 = 3
일러두기 = 5
출판설명 = 13
서문 = 15
권두언 = 17
유검화 소전 = 23
제1장 戰國·漢·魏晉南北朝 논어론화(論語論畵) 春秋 『論語』 = 27
고공기기화(考工記記畵) 春秋 『考工記』 = 29
장자론화(莊子論畵) 戰國 莊周 撰 = 31
한비자론화(韓非子論畵) 戰國 韓非 撰 = 33
회남자론화(淮南子論畵) 前漢 劉安 撰 = 36
복파론화(伏波論畵) 後漢 馬援 撰 = 40
논형론화(論衡論畵) 後漢 王充 撰 = 41
평자론화(平子論畵) 後漢 張衡 撰 = 43
문고부화(文考賦畵) 後漢 王延壽 撰 = 44
위장론화(偉長論畵) 魏 徐幹 撰 = 47
화찬서(畵贊序) 魏 曹植 撰 = 48
사형론화(士衡論畵) 西晉 陸機 撰 = 50
평남론화(平南論畵) 東晉 王이 撰 = 52
안씨가훈론화(顔氏家訓論畵) 北齊 顔之推 撰 = 54
제2장 唐·宋 정관공사화록서(貞觀公私畵錄序) 唐 裵孝源 撰 = 59
평사십칠소화벽(評四十七所畵壁) = 61
문통론화(文通論畵) 唐 張璪 撰 = 66
관장원외화송석서(觀張員外畵松石序) 唐 符載 撰 = 68
당조명화록서(唐朝名畵錄序) 唐 朱景玄 撰 = 72
화기(畵記) 唐 白居易 撰 = 78
화송시(畵松詩) 唐 元진 撰 = 81
역대명화기서론(歷代名畵記敍論) 唐 張彦遠 撰 = 83
서화지원류(書畵之源流) = 83
서화지흥폐(敍畵之興廢) = 94
논화육법(論畵六法) = 112
서사자전수(敍師資傳授) = 117
논고육장오용필(論顧陸張吳用筆) = 123
논화체(論畵體) = 128
치규론화(稚圭論畵) 宋 韓琦 撰 = 135
육일발화(六一跋畵) 宋 歐陽修 撰 = 137
제발(題跋) = 137
시필(試筆) = 138
몽계필담론화(夢溪筆談論畵) 宋 沈括 撰 = 139
도화가(圖畵歌) 宋 沈括 撰 = 142
동파론화(東坡論畵) 宋 蘇載 撰 = 148
정인원화기(淨因院畵記) = 148
보회당기(寶繪堂記) = 150
서주상선화후(書朱象先畵後) = 153
서황노직화발후삼수(書黃魯直畵跋後三首) = 155
논화시(論畵詩) = 158
도화견문지서론(圖畵見聞志敍論) 宋 郭若虛 撰 = 161
서(序) = 161
서제가문자(敍諸家文字) = 164
서국조구방(敍國朝求訪) = 165
서자고규감(敍自古規鑒) = 168
논제작해모(論製作楷模) = 173
논기운비사(論氣韻非師) = 178
논용필삼병(論用筆三病) = 180
논조오체법(論曹吳體法) = 181
논오생설색(論吳生設色) = 183
논고금우열(論古今優劣) = 183
후산담총론화(後山談叢論畵) 宋 陳師道 撰 = 189
논형의(論形意) 宋 晁說之 撰 = 193
논정간(論精簡) 宋 葛守昌 撰 = 195
논화공용(論畵功用) 宋 張敦禮 撰 = 196
논정건염립본우열(論鄭虔閻立本優劣) 宋 鄭剛中 撰 = 197
논형신(論形神) 宋 袁文 撰 = 199
기은사화벽(記隱士畵壁) 宋 康與之 撰 = 201
방시한거사소고론화(方是閒居士小稿論畵) 宋 劉學箕 撰 = 205
화계잡설(畵繼雜說) 宋 鄧椿 撰 = 208
논원(論遠) = 208
논근(論近) = 221
자언론화(子言論畵) 宋 錢聞詩 撰 = 223
문슬신화론화(문蝨新話論畵) 宋 陳善 撰 = 234
동천청록집고화변(洞天淸祿集古畵辨) 宋 趙希鵠 撰 = 236
논척화(論滌畵) 宋 何원 撰 = 243
논화품(論畵品) 宋 趙孟濚 撰 = 245
제3장 元·明·淸 삽천옹론화(삽川翁論畵) 元 錢選 撰 = 249
송설론화(松雪論畵) 元 趙孟부 撰 = 251
도회보감서(圖繪寶鑑序) 元 楊維禎 撰 = 254
화원(畵原) 明 宋濂 撰 = 258
부부집론화(覆부集論畵) 明 朱同 撰 = 263
자녕론화(子寧論畵) 明 練安 撰 = 266
서화전습록론화(書畵傳習錄論畵) 明 王불 撰(傳) = 268
증류초창화(贈劉草窓畵) 明 杜瓊 撰 = 277
포옹론화(匏翁論畵) 明 吳寬 撰 = 281
육여론화(六如論畵) 明 唐寅 撰 = 286
사우재화론(四友齋畵論) 明 何良俊 撰 = 288
승암론화(升庵論畵) 明 楊愼 撰 = 303
예원치언론화(藝苑치言論畵) 明 王世貞 撰 = 305
화인(畵引) 明 顧凝遠 撰 = 315
논흥치(論興致) = 315
논기운(論氣韻) = 315
논필묵(論筆墨) = 316
논생졸(論生拙) = 317
논고윤(論枯潤) = 318
논취세(論取勢) = 319
논화수(論畵水) = 320
연한청상전론화(燕閒淸賞箋論畵) 明 高濂 撰 = 321
홍교론화(虹橋論畵) 明 蔣乾 撰 = 334
수료관론화(輸蓼館論畵) 明 范允臨 撰 = 335
오잡조론화(五雜俎論畵) 明 謝肇제 撰 = 338
병화재론화(甁花齋論畵) 明 袁宏道 撰 = 342
죽란론화(竹란論畵) 明 李日華 撰 = 346
적독론화(赤牘論畵) 明 李式玉 撰 = 360
논화(論畵) 明 文震亨 撰 = 362
노련론화(老蓮論畵) 明 陳洪綬 撰 = 365
자제무주장사화(自題撫周長史畵) = 365
논화(論畵) = 366
대풍론화(大風論畵) 明 張風 撰 = 370
산호망론화(珊瑚網論畵) 明 汪珂玉 撰 = 373
회사명목(繪事名目) = 373
화칙(畵則) = 373
고금묘법(古今描法) = 374
준수법(준樹法) = 379
수지사등(樹枝四等) = 379
수엽이십칠등(樹葉二十七等) = 380
준석법(준石法) = 380
사석이십육종(寫石二十六種) = 381
소촌론화(邵村論畵) 淸 方咸亨 撰 = 383
고과화상화어록(苦瓜和尙畵語錄) 明遺民 釋原濟 撰 = 387
일획장 제일(一劃章弟一) = 387
요법장 제이(了法章弟二) = 390
변화장 제삼(變化章弟三) = 392
존수장 제사(尊受章弟四) = 395
필묵장 제오(筆墨章弟五) = 396
운완장 제육(運腕章弟六) = 399
인온장 제칠(絪縕章弟七) = 402
산천장 제팔(山川章弟八) = 404
준법장 제구(준法章弟九) = 408
경계장 제십(境界章弟十) = 414
혜경장 제십일(蹊徑章第十一) = 417
임목장 제십이(林木章弟十二) = 419
해도장 제십삼(海濤章弟十三) = 422
사시장 제십사(四時章弟十四) = 424
원진장 제십오(遠塵章弟十五) = 426
탈속장 제십육(脫俗章弟十六) = 427
겸자장 제십칠(兼字章弟十七) = 428
자임장 제십팔(資任章弟十八) = 430
석도론화(石濤論畵) 明遺民 釋原濟 撰 = 447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67
2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7
제4장 淸 우창만필(雨창漫筆) / 王原祁 撰[淸] = 13
논화십칙(論畵十則) = 13
학화천설(學畵淺說) / 王慨 撰 ; 王蓍 撰 ; 王얼 撰[淸] = 55
육법(六法) = 59
육요육장(六要六長) = 60
삼병(三病) = 61
12기(十二忌) = 62
삼품(三品) = 63
분종(分宗) = 64
중품(重品) = 70
성가(成家) = 74
능변(能變) = 79
계준(計준) = 81
석명(釋名) = 83
용필(用筆) = 85
용묵(用墨) = 94
중윤선염(重潤渲染) = 96
천지위치(天地位置) = 101
파사(破邪) = 104
거속(去俗) = 109
동장론화(東莊論畵) / 王昱 撰[淸] = 118
화학심법문답(畵學心法問答) / 布顔圖 撰[淸] = 133
문답소인(問答小引) = 133
문인시승문산수화가남북이종(門人時乘問山水畵家南北二宗) = 137
문포치지법(問佈置之法) = 153
문묵유흑백농담건습육채(問墨有黑白濃淡乾濕六彩) = 155
문필유근골피육사세(問筆有筋骨皮肉四勢) = 157
문무묵구염일법(問無墨求染一法) = 158
문육법중지경영위치(問六法中之經營位置) = 159
문부자상교문인숙련피마준(問夫子嘗敎門人熟練波麻준) = 162
문필법(問筆法) = 164
문용묵지법(問用墨之法) = 166
문연필법(問練筆法) = 167
문화수법(問畵樹法) = 168
문생지법병생근법(問生枝法竝生根法) = 172
문화엽법(問畵葉法) = 175
문산수입묘재유법무법지간(問山水入妙在有法無法之間) = 175
문인문왈영부자지교순순이기운생동위주(門人問曰聆夫子之敎諄諄以氣韻生動爲主) = 179
문용의법(問用意法) = 182
문주산환포법(問主山環抱法) = 184
문화중필묵정경하자위선(問畵中筆墨情景何者爲先) = 187
문정경하능입묘(問情景何能入妙) = 187
문화중경계무궁(問畵中境界無窮) = 188
문화학오득칭선(問畵學烏得稱禪) = 194
문소위화선자기지도도상전이이호(問所謂畵禪者豈止道道相傳而已乎) = 195
문화가기유의발(問畵家旣有衣鉢) = 196
문관동사형호화법유이이호(問關仝師荊浩畵法有以異乎) = 196
문거연사북원화법유이이호(問巨然師北苑畵法有以異乎) = 199
문거연유도사화법유이이호(問巨然劉道士畵法有以異乎) = 199
문이성범관화법유이이호(問李成范寬畵法有以異乎) = 202
문연문귀허도녕화법유이이호(問燕文貴許道寧畵法有以異乎) = 205
문원대황왕예오사가화법유이이호(問元代黃王倪吳四家畵法有以異乎) = 207
문부자매교화성지후불가선염(問夫子每敎畵成之後不可渲染) = 211
문착색법(問著色法)= 214
문수착색사계동호이호(問樹著色四季同乎異乎) = 216
문벽삽구재법(問僻삽求才法) = 222
문부자상론화산수(問夫子常論畵山水) = 226
문당송화무관(問唐宋畵無款) = 233
문부자휘만상어흉회(問夫子彙萬象於胸懷) = 236
포산론화(浦山論畵) / 張庚 撰[淸] = 245
논필(論筆) = 257
논묵(論墨) = 259
논품격(論品格) = 259
논기운(論氣韻) = 262
논성정(論性) = 263
논공부(論工夫) = 267
논입문(論人門) = 268
논취자(論取資) = 269
산정거화론(山靜居畵論) / 方薰 撰[淸] = 277
이원화학(履園畵學) / 錢泳 撰[淸] = 338
산남론화(山南論畵) / 王學浩 撰[淸] = 345
양소거화학구심(養素居畵學鉤深) / 菫棨 撰[淸] = 356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 = 375
3 목차 일러두기 = 3
도판목록 = 17
제5장 淸 계산와유록(谿山臥遊錄) / 盛大士 撰[淸] = 11
소봉래각화감(小蓬萊閣畵鑑) / 李修易 撰[淸] = 69
학화잡론(學畵雜論) / 蔣和 撰[淸] = 118
입의(立意) = 118
장법(章法) = 118
전재(剪裁) = 120
수방(收放) = 121
의도리도(意到理到) = 121
분별토석(分別土石) = 122
용고(用稿) = 122
일영(日影) = 123
운(雲) = 124
석(石) = 125
취승(取勝) = 125
수석허실(樹石虛實) = 126
명목(名目) = 127
수촌도(水村圖) = 128
화유불가용의자(畵有不可用意者) = 129
임목과석(林木과石) = 129
화경우록론화(畵耕偶錄論畵) / 邵梅臣 撰[淸] = 135
남종결비(南宗抉비) / 華琳 撰[淸] = 151
화담(畵譚) / 張式 撰[淸] = 196
화설(畵設) / 華翼綸 撰[淸] = 216
독화기문(讀畵紀聞) / 蔣驥 撰[淸] = 271
용필용묵(用筆用墨) = 272
준법(준法) = 272
장법(章法) = 275
포치수죽(佈置樹竹) = 276
농담(濃淡) = 277
송(松) = 277
고수(枯樹) = 278
인물옥우(人物屋宇) = 278
풍우(風雨) = 280
설월(雪月) = 281
태(苔) = 282
신녀론(神女論) = 283
품격론(品格論) = 284
의문(衣紋) = 285
사조포경(寫照佈景) = 285
이원론화(이園論畵) / 松年 撰[淸] = 288
지두화설(指頭畵說) / 高秉 撰[淸] = 341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7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