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Ⅰ부 과학과 교육과정
제1장 우리나라 과학(물리) 교육과정 = 15
가. 우리나라 근대학교의 설립과 과학교육 = 15
나. 우리나라 과학(물리) 교육과정의 변천 = 16
(1) 교수요목기(1946-1954) = 16
(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18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Ⅰ부 과학과 교육과정
제1장 우리나라 과학(물리) 교육과정 = 15
가. 우리나라 근대학교의 설립과 과학교육 = 15
나. 우리나라 과학(물리) 교육과정의 변천 = 16
(1) 교수요목기(1946-1954) = 16
(2)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18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22
(4)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26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 28
(6)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 32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 35
다. 제7차 교육과정(1998-): 현행 교육과정 = 42
(1) 제7차 교육과정의 일반적 특징 = 42
(2) 수준별 교육과정 형태 = 43
(3) 과학(물리) 교과목의 설정 = 43
라.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 편제 및 내용의 변천 경향 = 56
제2장 외국의 과학 교육과정 동향 = 59
가. 일본의 과학 교육과정 = 59
(1) 일본의 초ㆍ중등학교 교육제도 및 교육과정 운영체제 = 59
(2) 일본의 교육과정 변천 = 60
(3) 일본의 과학 교육과정 변천 = 64
(4) 일본의 새로운 과학 교육과정 = 65
(5) 일본 중등학교에서의 과학 교육과정 편성의 예 = 73
나. 영국의 과학 교육과정 = 76
(1) 영국의 일반적인 학제 및 교육과정 변천 = 76
(2) 과학과의 편제 및 시간 배당 = 80
(3)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 = 82
(4) 과학과의 목표 = 83
(5) 과학 내용 = 84
(6) 과학과의 교수ㆍ학습 방법 = 87
(7) 과학과의 평가 = 87
다. 미국의 과학 교육과정 = 88
(1) 미국의 일반적인 교육개혁 동향 = 88
(2) 과학과의 편제 및 시간 배당 = 91
(3)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체제 = 92
(4) 과학과의 목표 = 95
(5) 과학 내용 = 96
(6) 과학과의 교수ㆍ학습 방법 = 99
(7) 과학과의 평가 = 99
제Ⅱ부 물리 교재 연구
제3장 물리 학습 교재의 유형 = 103
가. 개념 설명 중심의 물리 학습 교재 = 103
나. 탐구 활동 중심의 물리 학습 교재 = 108
다. STS 학습 교재 = 116
(1) STS 학습 교재의 특징 = 116
(2) STS 학습 교재의 예 = 126
제4장 물리 교재의 개발 과정 = 157
가. 최근의 미국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157
(1) 개발 준거 = 157
(2) 준거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 Active Physics = 160
나. 영국의 SATIS 교재의 개발 절차와 방법 = 162
(1) SATIS 프로그램의 개요와 목표 = 162
(2) SATIS 프로그램의 구성 = 162
(3) SATIS 프로그램 개발과정 = 164
다. PSSC와 HPP 교재의 개발 과정 = 164
(1) PSSC 교재의 개발 절차와 방법 = 164
(2) HPP 교재의 개발 절차와 방법 = 166
제5장 물리 교재의 평가와 선정 = 177
가. 과학 교재 평가 준거에 대한 외국의 예 = 177
(1) 과학 내용과 그 구성 = 177
(2) 프로그램 조직 = 178
(3) 평가 = 178
(4) 개연적 접근성 = 178
(5) 수업 계획과 지원 = 179
나. 물리 교재 평가의 준거 = 179
(1) 물리 교과서 평가의 준거 = 179
(2) 물리 지도서 평가의 준거 = 181
(3) 물리 교육용 ICT 평가의 준거 = 182
다. 물리 교재의 선정과 활용 = 184
(1) 물리 교과서 선정의 원칙 = 184
(2) 물리 교재의 활용 방법 = 187
제Ⅲ부 물리 교수학습 이론
제6장 물리 수업 모형 = 193
가. 발견학습 모형 = 193
(1) 발견학습의 배경 = 194
(2) 발견학습의 조건 = 194
(3) 발견학습의 특징 = 195
제9장 물리학습지도와 교육공학 = 319
가. 물리 학습과 ICT 활용 = 319
(1) 디지털 비디오의 활용 = 319
(2)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활용 = 324
(3) MBL의 활용 = 329
(4)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의 활용 = 337
나. 물리 학습과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 = 355
(1)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 355
(2)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제작 과정 = 358
(3) 교육용 컨텐츠 개발 가이드 = 363
(4) 물리학습 멀티미디어 자료의 현황 = 368
(5) 물리학습 멀티미디어 자료의 평가 = 371
제10장 물리 수업 방략의 적용 = 377
가. 개념도 수업 적용 방략 = 377
(1) 개념도의 작성 기법 = 377
(2) 개념도의 채점 기준 = 381
나. Vee 다이아그램 수업 적용 방략 = 383
(1) Vee 다이아그램 수업 적용 = 383
(2) Vee 다이아그램 평가 방법 = 385
다. 시범 적용 수업방략 = 387
(1) 시범의 활용방법 = 387
(2) 시범 수업안 = 390
(3) 시범의 평가 = 396
부록 : '7. 전기' 단원에 사용된 시범활동 = 398
라. ICT 활용 수업 = 401
(1) 발견학습 모형에서의 적용 = 401
(2) 인지갈등 모형에의 적용 = 406
(3) 가설검증 모형에의 적용 = 411
(4) STS 학습 모형에서의 적용 = 414
마.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 = 420
(1) 발견학습 모형에서의 활용 = 421
(2) 인지갈등 모형에서의 활용 = 427
(3) 가설검증 모형에서의 활용 = 429
바. 웹기반 수업(WBI) = 432
(1)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과정 = 432
(2) 웹기반 수업의 예 = 434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5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