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서설 국가 건설과 정치 발전 = 17
1. 전환기의 한국 정치 = 17
2. 추세: 민주화 = 21
3. 과정: 국가 건설 = 25
4. 목표: 국민국가 = 31
5. 토대: 국가의 권력 기반 = 36
6. 결론: 한민족 민주 공동체를 향하여 = 40
제1편 분단국가의 성립 = 43
제1장 이승만의 집권 과정과 정치적 성격 ...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서설 국가 건설과 정치 발전 = 17
1. 전환기의 한국 정치 = 17
2. 추세: 민주화 = 21
3. 과정: 국가 건설 = 25
4. 목표: 국민국가 = 31
5. 토대: 국가의 권력 기반 = 36
6. 결론: 한민족 민주 공동체를 향하여 = 40
제1편 분단국가의 성립 = 43
제1장 이승만의 집권 과정과 정치적 성격 = 45
1. 서론: 외세, 정치적 이기주의, 그리고 분단 = 45
2. 해방과 국민들의 기대 = 50
3. 정치 지도자들의 해방 인식과 정치적 위상 = 56
4. 미군정하의 정치적 경기 = 67
5. 결론: 이승만의 승리, 그 정치적 의미 = 74
제2장 제헌 과정과 대통령 선거 = 78
1. 서론 = 78
2. 해방 3년의 정치: 단정 세력으로의 세력 편중 = 85
3. 헌법의 탄생: 법률 전문가들에게 가려진 정치가들 = 96
4. 국회에서의 토의: 권력구조론에 파묻힌 헌법 = 112
5. 대통령 선거: 이승만을 위한 축제 = 121
6. 결론 = 127
제2편 근대화와 정치ㆍ경제적 역학 관계 = 131
1. 근대화의 정치ㆍ경제적 이해 = 133
2. 근대화와 한국 자본주의: 기본 성격 = 146
3. 근대화와 한국 자본주의: 효과와 비용 = 169
4. 산업화와 정치 변화 = 198
제3편 정치 이념 = 233
제1장 의사(疑似) 현실주의로서의 패권주의 = 235
1. 문제의 제기 = 235
2. 이승만의 집권과 의사 현실주의의 대두 = 238
3. 군사정권의 등장과 의사 현실주의의 정착 = 254
4. 결론: '보ㆍ혁 논쟁'의 비현실성 = 269
제2장 정치 이데올로기와 폭력 = 273
1. 문제의 제기 = 273
2. 이데올로기의 과잉과 상투성의 일상화 = 279
3. 이데올로기의 빈곤과 담론의 왜곡 = 288
4. 이데올로기의 폭력과 폭력의 구조화 = 295
5. 결론 = 302
제4편 정당과 정치 과정 = 305
제1장 한국 정당과 정치 이념 = 307
1. 문제의 제기 = 307
2. 민주주의와 정당 = 309
3. 무정견(無政見)의 정치와 정당 = 315
4. 보수주의와 정당 = 323
5. 결론 = 330
제2장 지방 정치와 정당 = 332
1. 문제의 제기 = 332
2. 지방자치의 정치적 의의 = 335
3. 지역공동체의 정치적 성격 = 340
4. 정당이라는 결사체와 정치 = 344
5. 정당 규제의 논리와 역논리 = 352
6. 결론 = 359
제5편 관료제 = 363
제1장 관료와 정치권력 = 365
1. 문제의 제기 = 365
2. 권위주의 통치와 관료ㆍ권력 관계: 정치권력에 의한 관료 지배 = 369
3. 국가권력의 민주화와 관료ㆍ권력 관계: 정치권력에 의한 관료 통제 = 377
4. 시민사회의 민주화와 관료ㆍ권력 관계: 시민사회에 의한 관료 통제 = 385
5. 결론 = 391
제2장 정부 개혁과 정부 규모 = 393
1. 문제의 제기 = 393
2. 왜 작은 정부론인가 = 395
3. 과연 작은 정부여야 하는가 = 399
4. 무엇을 할 것인가 = 403
5. 결론: 효율적 정부의 탄생을 위하여 = 410
제6편 민주화와 정치 발전 = 413
제1장 민주화 운동과 사회 세력의 변천 = 415
1. 문제의 제기 = 415
2. 민주화 운동은 왜, 누가 하는가 = 418
3. 누가 시민사회를 이끄는가 = 428
4. 다원적 사회를 향하여 = 439
5. 결론 = 447
제2장 광주 민주 항쟁과 민주화 = 449
1. 문제의 제기 = 449
2. '5ㆍ18'은 왜 일어났는가 = 451
3. 5ㆍ18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 463
4. 결론: 5ㆍ18은 무엇을 남겼는가 = 472
제7편 남북 관계와 통일 = 477
제1장 남북 대화의 새로운 모색 = 479
1. 사실과 인식 = 483
2. 상대방 인식의 현실: 실상인가 허상인가 = 489
3. 분단 기득권과 상대방 인식 = 495
4. 분단의 정치교육과 상대방 인식 = 503
5. 결론 = 511
제2장 통일 한국의 정치적 미래 = 514
1. 문제의 제기 = 514
2. 민족주의만이 통일을 향한 길이다 = 517
3. 통일은 과정이다 = 526
4. 민주와 자주가 민족 공동체의 선이다 = 533
5. 결론 = 537
결어 민주 공동체의 이념과 가치 = 541
1. 정치와 정치 이념 = 541
2. 민주 공동체의 기본 이념 = 547
3. 민주 공동체의 기본 가치 = 557
4. 결론: 탈냉전과 민주 공동체의 정치 이념 = 569
참고문헌 = 573
찾아보기 = 6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