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vol.1
목차
〈통일독일을 말한다〉 3부작을 펴내며 = 5
머리말 = 11
총론 : 독일 통일과 사회문화 갈등
제1장 정치경제적 통합과 사회문화적 분열 / 김누리 = 19
제2장 동ㆍ서독 사회문화 갈등의 원인 / 김누리 = 28
제1부 생활세계의 변화와 사회문화 갈등
제3장 노동환경의 변화와 일상의 갈등 / 박희경 = 65
제4장 동독인의 상대적...
더보기
목차 전체
vol.1
목차
〈통일독일을 말한다〉 3부작을 펴내며 = 5
머리말 = 11
총론 : 독일 통일과 사회문화 갈등
제1장 정치경제적 통합과 사회문화적 분열 / 김누리 = 19
제2장 동ㆍ서독 사회문화 갈등의 원인 / 김누리 = 28
제1부 생활세계의 변화와 사회문화 갈등
제3장 노동환경의 변화와 일상의 갈등 / 박희경 = 65
제4장 동독인의 상대적 박탈감 / 이영란 = 96
제5장 위기의 동독 여성 / 도기숙 = 123
제6장 동독 여성의 세대별 갈등 양상 / 도기숙 ; 노영돈 = 142
제7장 동독 청소년의 집단적 정체성과 고정관념 / 이영란 ; 오성균 = 168
제2부 공론장의 지각변동과 갈등의 담론화
제8장 통일독일의 문화사적 정체성 - 동ㆍ서독 과거 청산 과정을 중심으로 / 안성찬 = 191
제9장 독일 통일과 동독 지식인 - 잃은 것과 남은 것 / 안성찬 = 215
제10장 통일 이후 동독 언론의 변화 / 배기정 = 238
제11장 독일 통일과 서독 TV의 역할 / 배기정 = 259
제3부 갈등 치유를 위한 실천적 노력
제12장 동독 혁명과 시민운동 / 김대권 = 285
제13장 통일 이후 동독 시민운동의 지형 변화 / 이노은 = 304
제14장 통일 이후 동독 교회의 사회적 기능 변화 / 김동훈 = 326
찾아보기 = 358
vol.2
목차
〈통일독일을 말한다〉 3부작을 펴내며 = 5
머리말 = 11
인터뷰 준비에서 이 책을 내기까지 = 17
제1부 정치인
01 에곤 바 : 동방정책의 설계자 = 43
02 볼프강 티어제 : 동독 출신 국회의장 = 66
03 만프레트 슈톨페 : 동독 민권운동의 대부 = 92
제2부 작가ㆍ지식인
04 볼프 비어만 : 독일 분단사의 상징 = 115
05 폴커 브라운 : 사회주의를 불신하는 사회주의자 = 163
06 다니엘라 단 : 동독인의 목소리 = 188
07 리타 쿠친스키 : 동독 속의 자유인 = 223
제3부 시민운동가
08 요아힘 가욱 : 동독 과거 청산의 주역 = 257
09 토마스 클라인 : 마지막 공산주의자 = 291
10 옌스 라이히 : 동독의 사하로프 = 319
11 에르하르트 노이베르트 : 동독 시민운동의 역사적 증인 = 352
제4부 종교인
12 크리스티안 퓌러 : 동독 혁명의 횃불 = 387
13 프리드리히 쇼를렘머 : 동독 평화운동의 주역 = 411
14 악셀 노악 : 동ㆍ서독 교회의 가교 = 433
제5부 언론인
15 우도 라이터 : 동독 지역 공영방송의 개척자 = 455
16 한네로레 슈테어 : 동ㆍ서 방송 통합의 산증인 = 477
17 디트마 바르취 : 동독 좌파 언론의 기수 = 501
18 토마스 라인카우프 : 동독 언론 통합의 증인 = 523
주요 용어 설명 = 548
vol.3
목차
〈통일독일을 말한다〉 3부작을 펴내며 = 5
머리말 = 11
인터뷰를 시작하며 = 17
제1부 생활세계의 지각변동
01 위기의 동독 여성 = 23
02 방황하는 통일 1세대 = 63
03 적응과 불안 사이의 일상 = 111
제2부 나의 동독, 나의 통일
04 또 직장을 잃었어요 = 171
05 통일되고 사는 게 더 힘들어졌어요 = 189
06 마누라 떠나고, 일자리 잃고, 집도 없고 = 200
07 이럴 줄 알았다면 통일했을까요? = 219
08 동독 사람이냐고요? 저 독일 사람입니다 = 236
09 나에게는 동ㆍ서독의 장벽이 없어요 = 253
인터뷰를 마치며 = 267
부록: 인터뷰 관련 자료 = 27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