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편 한국의 떡 = 11
제1장 떡의 어원 = 12
제2장 떡의 역사 = 14
1. 삼국시대 이전 = 14
2.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 15
3. 고려시대 = 17
4. 조선시대 = 19
5. 근대 이후 = 23
제3장 떡 문화의 특징 = 26
1. 정을 나누는 떡 = 26
2. 재료 배합에서 합리적인 떡 = 28...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편 한국의 떡 = 11
제1장 떡의 어원 = 12
제2장 떡의 역사 = 14
1. 삼국시대 이전 = 14
2.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 15
3. 고려시대 = 17
4. 조선시대 = 19
5. 근대 이후 = 23
제3장 떡 문화의 특징 = 26
1. 정을 나누는 떡 = 26
2. 재료 배합에서 합리적인 떡 = 28
3. 약이 되는 떡 = 29
제4장 떡에 얽힌 풍속 = 32
1. 일반 풍속 = 32
2. 통과 의례와 떡의 풍속 = 33
(1) 삼칠일 = 33
(2) 백일 = 34
(3) 돌 = 35
(4) 책례 = 36
(5) 혼례 = 36
(6) 회갑 = 38
(7) 제례 = 38
3. 무속행의와 떡의 풍속 = 39
4. 절일과 떡의 풍속 = 40
(1) 설날 = 40
(2) 상원 = 42
(3) 중화절·하리아드랫날 = 42
(4) 삼짇날 = 43
(5) 한식 = 44
(6) 초파일 = 44
(7) 단오 = 44
(8) 유두 = 46
(9) 삼복 = 46
(10) 추석 = 46
(11) 중양 = 47
(12) 상달 = 48
(13) 동지 = 48
(14) 납월 = 49
제5장 떡의 조리 도구 = 50
(1) 절구와 절굿공이 = 50
(2) 맷돌 = 51
(3) 안반과 떡메 = 51
(4) 시루와 시룻밑 = 54
(5) 솥과 겅그레 = 54
(6) 번철 = 56
(7) 체와 쳇다리 = 56
(8) 채반 = 56
(9) 키 = 57
(10) 이남박 = 57
(11) 옹배기와 자배기 = 57
(12) 떡살 = 58
(13) 목판 = 58
제6장 떡 만들기의 기초 = 60
(1) 가루 만들기 = 60
(2) 고물 만들기 = 62
(3) 덕 찌는 법 = 67
제7장 떡의 종류와 만들기 = 70
1. 일반떡 = 70
(1) 찌는 떡 = 70
(2) 치는 떡 = 124
(3) 빚는 떡 = 135
(4) 지지는 떡 = 159
2. 향토떡 = 182
(1) 경기도 지방의 떡 = 182
(2) 강원도 지방의 떡 = 198
(3) 충청도 지방의 떡 = 214
(4) 전라도 지방의 떡 = 227
(5) 경상도 지방의 떡 = 241
(6) 제주도 지방의 떡 = 257
(7) 황해도 지방의 떡 = 269
(8) 평안도 지방의 떡 = 278
(9) 함경도 지방의 떡 = 286
제2편 한국의 과줄 = 295
제1장 과줄의 어원 = 296
제2장 과줄의 역사 = 300
제3장 과줄 문화의 특징 = 304
1. 잘 상하지 않는다 = 304
2. 영양면에서 우수하다 = 304
3. 모양이 아름답다 = 305
제4장 과줄에 얽힌 풍속 = 306
1. 일반 풍속 = 306
2. 통과 의례와 과줄의 풍속 = 306
(1) 혼례·회갑 = 307
(2) 제례 = 308
제5장 과줄의 조리 도구 = 310
(1) 밀판과 밀방망이 = 310
(2) 다식판 = 310
(3) 약과판 = 311
제6장 과줄 만들기의 기초 = 314
(1) 강정고물만들기 = 314
(2) 엿기름 기르기 = 315
제7장 과줄의 종류 및 만들기 = 316
1. 일반 과줄 = 316
(1) 기름에 지지는 과줄 : 유밀과류 = 317
(2) 기름에 튀기는 과줄 : 강정류·산자류 = 324
(3) 판에 찍어 내는 과줄 : 다식류 = 329
(4) 조리는 과줄 : 정과류·숙실과류·과편류 = 334
(5) 엿에 버무리는 과줄 : 엿강정류 = 354
(6) 고는 과줄 : 엿 = 358
2. 향토 과줄 = 360
(1) 경기도 지방의 과줄 = 360
(2) 강원도 지방의 과줄 = 363
(3) 충청도 지방의 과줄 = 365
(4) 전라도 지방의 과줄 = 368
(5) 경상도 지방의 과줄 = 371
(6) 제주도 지방의 과줄 = 374
(7) 황해도 지방의 과줄 = 376
(8) 평안도 지방의 과줄 = 377
(9) 함경도 지방의 과줄 = 378
부록 = 381
1. 민담·속담 속의 떡과 과줄 = 382
2. 맛과 냄새에 대한 형용사 = 399
참고 문헌 = 404
찾아보기 = 40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