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과 감사의 글 = 9
제1부 자기와 대상 및 자아
제1장 대상 = 21
제2장 자기 = 25
제3장 자기-대상 = 31
제4장 자아 = 43
제2부 대상관계의 발달
제5장 분리와 개별화 = 59
자폐(0~2개월) = 60
공생(2~6개월) = 63
분리와 개별화(6~24개월) = 67
대상항상성(24~...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과 감사의 글 = 9
제1부 자기와 대상 및 자아
제1장 대상 = 21
제2장 자기 = 25
제3장 자기-대상 = 31
제4장 자아 = 43
제2부 대상관계의 발달
제5장 분리와 개별화 = 59
자폐(0~2개월) = 60
공생(2~6개월) = 63
분리와 개별화(6~24개월) = 67
대상항상성(24~36개월과 이후) = 84
제6장 심리적 기제 = 91
통합과 분화 = 92
투사 = 96
함입, 내사, 동일시 = 102
분열 = 113
이상화와 평가 절하 = 122
투사적 동일시 = 129
중간 대상의 형성 = 146
온전한 대상관계의 발달 = 154
동일시 = 162
제3부 대상관계의 연속선
제7장 자폐증 = 177
제8장 정신분열증 = 185
제9장 조증 = 195
제10장 경계선 성격장애 = 205
제11장 자기애적 성격장애 = 219
제12장 신경증적 성격과 정상 성격 = 231
제4부 치료
제13장 기법 속의 치료관계 = 247
역사적 배경 = 248
기법 속의 치료관계: 임상사례 = 251
기술적 관점에서 본 관계 = 254
담아내는 것과 담기는 것 = 258
보듬어 주는 환경과 괜찮은 엄마 = 261
공감 = 263
적정한 친밀성 유지하기와 욕구-두려움 딜레마 = 267
긍정적 투사적 동일시 = 270
태도와 기법 = 274
제14장 치료관계 속의 기법 = 277
통찰과 성장 = 277
명료화, 직면, 해석 = 279
치료적 구조에서 벗어나는 행동 직면하기 = 282
한계 설정 = 286
부정적인 전이의 직면 = 293
행동화에 대한 직면 = 297
좋고 나쁜 대상관계단위 나란히 놓기 = 301
투사적 동일시에서 자기와 대상 명료화하기 = 306
과대한 자기를 직면하면서 자존감 지지하기 = 312
제15장 역전이 = 319
투사적 동일시와 역전이 = 322
담아내는 것과 담기는 것 = 324
지루함 = 326
평가 절하 = 327
치료적 열성 = 329
피해자-가해자 역할 = 331
분노와 죄책감 = 334
긍정적인 역전이 = 336
제16장 집단과 체제와 병렬적 과정 = 343
일반체제이론 = 344
경계의 명료화 = 345
기본 가정 집단 = 347
집단 내에서의 분열 = 354
슈퍼비전에서 병렬적 과정 = 356
가족과 경계선 성격장애 = 358
가족과 정신분열증 = 359
제5부 좀 더 넓은 맥락
제17장 민속과 신화와 자기의 변형 = 367
역사 = 369
분화 = 370
연습 = 374
재접근 = 378
오이디푸스기 발달 = 382
제18장 현실은 관계성이다 = 387
정신병과 비현실 = 387
정신병과 확신 = 392
신체 이탈 경험 = 395
문화 속에서의 현실 = 397
상대성과 현실 = 399
구체성으로의 회귀 = 401
제19장 대상관계이론의 발달 = 405
Sigmund Freud = 406
Melanie Klein과 Anna Freud의 논쟁 = 407
Fairbairn, Bion, Winnicott = 410
북미의 자아심리학 = 411
정신의학의 대인관계 학파 = 412
남미의 대상관계이론 = 414
Kernberg = 415
통합을 위한 다른 노력 = 417
Kernberg와 Kohut의 논쟁 = 417
가족치료와 대상관계이론 = 420
최면과 대상관계이론 = 422
참고문헌 = 425
찾아보기 = 44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