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1. 구비문학의 세계 = 9
설화 : 단군신화/에밀레종 이야기/우렁이색시 이야기/해와 달이 된 오누이 = 11
민요 : 논매기 노래/시집살이 노래/상여소리/강강술래/정선 아리랑 = 27
무가 : 바리공주 = 44
판소리 : 적벽가 = 65
가면극 : 봉산탈춤 = 71
인형극 : 꼭두각시 놀음 = 76
2. 서정의 노래 = 85
상고의 노래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1. 구비문학의 세계 = 9
설화 : 단군신화/에밀레종 이야기/우렁이색시 이야기/해와 달이 된 오누이 = 11
민요 : 논매기 노래/시집살이 노래/상여소리/강강술래/정선 아리랑 = 27
무가 : 바리공주 = 44
판소리 : 적벽가 = 65
가면극 : 봉산탈춤 = 71
인형극 : 꼭두각시 놀음 = 76
2. 서정의 노래 = 85
상고의 노래 : 공무도하가/황조가 = 87
향가 : 헌화가/처용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 = 89
고려시대의 노래 : 가시리/정읍사/청산별곡/서경별곡 = 94
악장 : 용비어천가 = 102
가사 : 속미인곡/누항사/북천가/용부가/규중행실가 = 106
시조 = 128
이화에 월백하고 = 128
청산은 어찌 하여 = 128
북천이 맑다커늘 = 129
이화우 흩뿌릴 제 = 130
노래 삼긴 사람 = 131
뫼흔 길고 길고 = 132
흰 구름 푸른 내는 = 133
검으면 희다 하고 = 133
님 그린 상사몽이 = 134
그려 걸고 보니 = 135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 = 135
사랑 사랑 고고이 맺힌 사랑 = 136
창 내고자 창을 내고자 = 137
3. 소설의 세계 = 139
이생규장전 = 141
원생몽유록 = 150
홍길동전 = 158
운영전 = 166
구운몽 = 175
홍계월전 = 186
방한림전 = 195
창선감의록 = 206
양산백전 = 220
서동지전 = 227
춘향전 = 232
심청전 = 257
흥부전 = 272
허생전 = 279
4. 세상을 바라보는 눈 = 297
경포에서 박신이 기생 홍장과 재회하다 = 299
문학은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하다 = 302
오직 나만은 지켜야 한다 = 303
우리말로 된 우리글이 좋은 것이야 = 307
통곡할 만한 자리 = 310
혜경궁 홍씨와 사도세자의 마지막 만남 = 314
시골 양반의 서울 양반 골려주기 = 32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