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개정 증보판 서문 = 3
역자 해설 = 7
원저자 서문 = 31
제1장 삶의 필연성으로서의 교육 = 39
1. 전수에 의한 삶의 갱신 = 39
2. 교육과 의사소통 = 43
3. 학교교육의 위치 = 46
요약 = 49
제2장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 = 51
1. 환경의 성격과 의미 = 51
2. 사회적 환경 = 53
3. 사회환경의 교육...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개정 증보판 서문 = 3
역자 해설 = 7
원저자 서문 = 31
제1장 삶의 필연성으로서의 교육 = 39
1. 전수에 의한 삶의 갱신 = 39
2. 교육과 의사소통 = 43
3. 학교교육의 위치 = 46
요약 = 49
제2장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 = 51
1. 환경의 성격과 의미 = 51
2. 사회적 환경 = 53
3. 사회환경의 교육적 영향 = 59
4. 학교라는 특별한 환경 = 62
요약 = 66
제3장 지도로서의 교육 = 67
1. 환경의 지도적 영향 = 67
2. 사회적 지도의 방식 = 71
3. 모방과 사회심리 = 82
4. 교육에의 적용 = 86
요약 = 90
제4장 성장으로서의 교육 = 93
1. 성장의 조건 = 93
2. 성장의 표현으로서의 습관 = 99
3. 발달이론의 교육적 의의 = 104
요약 = 108
제5장 준비설, 발현설 및 형식도야 이론 = 111
1. 장래의 준비로서의 교육 = 111
2. 발현으로서의 교육 = 113
3. 부소능력의 훈련으로서의 교육 = 120
요약 = 129
제6장 보수적 교육과 진보적 교육 = 131
1. 형성으로서의 교육 = 131
2. 반복설 및 과거지향 교육 = 135
3. 재구성으로서의 교육 = 140
요약 = 144
제7장 민주주의 교육의 개념 = 147
1. 인간의 단체생활에 내포된 의미 = 147
2. 민주주의의 이상 = 154
3. 플라톤의 교육철학 = 156
4. 18세기의 '개인주의' 이상 = 161
5. 국가적 교육과 사회적 교육 = 163
요약 = 170
제8장 교육의 목적 = 171
1. 목적의 성격 = 171
2. '좋은 목적'의 기준 = 177
3. 교육에의 적용 = 181
요약 = 186
제9장 교육목적으로서의 자연적 발달과 사회적 효율성 = 187
1. 교육목적의 원천으로서의 자연 = 187
2. 교육목적으로서의 사회적 효율성 = 197
3. 교육목적으로서의 교양 = 201
요약 = 203
제10장 흥미와 도야 = 205
1. 용어의 의미 = 205
2. 교육에 있어서의 흥미의 중요성 = 213
3. 흥미의 사회적 측면 = 220
요약 = 224
제11장 경험과 사고 = 227
1. 경험의 성격 = 227
2. 경험에서의 사고의 위치 = 234
요약 = 244
제12장 교육에 있어서의 사고 = 247
1. 방법의 요건 = 247
요약 = 261
제13장 방법의 성격 = 263
1. 교과와 방법의 동일성 = 263
2. 일반적 방법과 개인적 방법 = 271
3. 개인적 방법의 특성 = 275
요약 = 284
제14장 교과의 성격 = 285
1. 교육자의 교과와 학습자의 교과 = 285
2. 학습자에 있어서의 교과의 발달 = 290
3. 과학적 또는 합리적 지식 = 296
4. 교과의 사회적 성격 = 300
요약 = 302
제15장 교육과정에서의 놀이와 일 = 303
1. 교육에서의 능동적 활동의 위치 = 303
2. 학생이 할 수 있는 일거리 = 306
3. 일과 놀이 = 314
요약 = 318
제16장 지리와 역사의 의의 = 319
1. 원초적 활동의 의미 확장 = 319
2. 역사와 지리의 상보성 = 322
3. 역사와 현재의 사회생활 = 326
요약 = 331
제17장 교과로서의 과학 = 333
1. 논리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 333
2. 과학과 사회진보 = 338
3. 교육에서의 자연주의와 인문주의 = 344
요약 = 347
제18장 교육적 가치 = 349
1. 실감과 직접적 인식 = 350
2. 교과의 가치 = 359
3. 가치의 분리와 조직 = 366
요약 = 373
제19장 노동과 여가 = 375
1. 대립의 기원 = 375
2. 현재의 상황 = 381
요약 = 388
제20장 이론적 교과와 실제적 교과 = 389
1. 경험과 참된 지식의 대립 = 389
2. 경험과 지식에 관한 현대 이론 = 394
3. 실험으로서의 경험 = 400
요약 = 405
제21장 자연과와 사회과 : 자연주의와 인문주의 = 407
1. 인문과학의 역사적 배경 = 407
2. 자연에 대한 현대 과학의 관심 = 412
3. 현재의 교육문제 = 416
요약 = 422
제22장 개인과 세계 = 423
1. 순전히 개인적인 것으로서의 마음 = 423
2. 재조직 주체로서의 개인의 마음 = 426
3. 교육에의 적용 = 436
요약 = 441
제23장 교육의 직업적 측면 = 443
1. 직업의 의미 = 443
2. 교육의 목적에서의 직업교육의 위치 = 446
3. 현재의 가능성과 위험 = 450
요약 = 459
제24장 교육철학 = 461
1. 비판적 개관 = 461
2. 철학의 성격 = 464
요약 = 473
제25장 지식의 이론 = 475
1. 계속성 대 이원론 = 475
2. 방법론의 학파들 = 483
요약 = 489
제26장 도덕의 이론 = 491
1. 안과 밖 = 491
2. 의무와 이해의 대립 = 497
3. 지력과 인격 = 501
4. 사회적인 것과 도덕적인 것 = 504
요약 = 508
〈부록〉 나의 교육 신조 = 511
〈증보 자료〉 주희와 듀이 : 교육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 527
색인 = 551
역자 후기(초판) = 58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