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우리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을 찾아서 = 7
1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의 궤적
들어가는 말 = 20
근대화 여명기 1950~6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개인과 사회의 접점 = 23
박수근의 눈과 정신 = 25
무생명성과 고요한 단순성 = 28
이미지의 부동성과 익명성 = 30
근대화 전기 1960~7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우리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을 찾아서 = 7
1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의 궤적
들어가는 말 = 20
근대화 여명기 1950~6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개인과 사회의 접점 = 23
박수근의 눈과 정신 = 25
무생명성과 고요한 단순성 = 28
이미지의 부동성과 익명성 = 30
근대화 전기 1960~7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개인과 사회의 탈접점 = 36
1960~70년대 미술의 전개 = 41
1960년대 운동의 결산 = 42
1970년대의 시작 = 45
1970년대 미술의 눈과 정신 = 50
비물질주의 = 50
범자연주의 = 53
분극시대 1980년대
예술사회학적 배경: 집단 간의 탈접점 = 59
전환시대의 궤적 = 60
이념과 양식적 특징 = 65
이념적 국면 = 65
양식적 특징 = 69
표현의 새로운 감수성 = 71
이념 = 71
양식의 전개 = 74
1980년대 미술의 갈등과 이반 = 77
근대화 후기 1990년대 이후
예술사회학적 배경: 탈접점의 변증법적 증식 = 85
양상들의 특징 = 92
연원 = 92
1980년대의 유산과 신체 = 95
양식적 특징 1: 1~2세대의 열린 구조 = 96
양식적 특징 2: 3세대의 해체와 복원 = 101
새로운 지식사회의 등장과 해석경험 = 107
1부를 마치며 = 113
2 분화하는 눈: 장르론
들어가는 말 = 116
자연주의
등장배경 = 125
비표상주의 = 128
아비투스들의 눈과 정신 = 135
물성적 감성의 초기실험 = 135
곽인식의 선구적 실험과 영향 = 143
1970년대 모노크롬평면의 출현: 이우환과 박서보의 활동 = 149
물성탐구집단의 활동과 신체 = 157
자연주의의 예술사회학적 배경: 타자와 주체의 소멸 = 161
자연주의의 한국적 버전 = 165
표본작가: 박서보, 하종현, 권영우 = 165
신체와 중성구조: 박서보 「묘법」 = 165
사상적 배경: 행위와 무목적성 = 166
신체적 계기 = 170
중성구조로서의 평면 = 176
물성과 중성구조: 하종현 = 178
물성탐구의 배경 = 179
물성과 신체 = 181
물성의 현상학적 환원과 중성구조로서의 평면 = 186
물성과 행위의 전일성: 권영우 = 190
전일성의 징후들 = 190
전일성의 정신과 방법론 = 195
주지주의
주지주의의 분류학적 위치 = 201
주지주의의 징후들 = 205
원천들의 변별 = 205
환원 = 205
구조 = 209
장소 및 형상 = 210
분류학적 수준의 두 환원 = 212
환원적 분석 = 213
환원적 종합 = 216
환원적 분석의 한국적 버전 = 217
표본작가: 이승조, 김재관 = 217
이승조의 「핵」 = 217
개관 = 217
이승조의 환원적 분석과 한국적 버전 = 227
김재관의 「관계항」외 = 235
전기시대의 수리언어와 수사학 = 235
후기시대의 일탈과 비평형 = 240
김재관의 환원적 분석과 한국적 버전 = 244
환원적 종합과 한국적 버전 = 248
표본작가: 전국광, 박석원 = 248
전국광: 지각의 현상학 = 248
박석원: 절단과 적의 논리 = 261
다시 '주지주의' 라는 말 = 271
리얼리즘
표상의 중첩과 예술사회학적 배경 = 275
사회적 상상력의 대두 = 278
차대덕과 임옥상의 역할 = 279
리얼리즘의 주관주의적 경향들 = 286
서술과 표현의 의지 = 292
영향사의 원천들 = 295
미국 리얼리즘의 발흥과 비교적 관점 = 295
한국의 선구자들 = 301
고영훈과 동세대들의 활동 = 308
전개과정과 리얼리즘의 한국적 버전 = 318
전개 = 318
리얼리즘의 한국적 버전 = 324
표본작가 = 334
일루전과 실재의 전복: 고영훈 = 334
돌과 책으로부터 = 336
낡은 것에 대한 경의 = 340
솔거와 물신을 향한 몸짓 = 343
즉자와 타자의 변증법: 김영원 = 348
즉자의 정형화와 「중력ㆍ무중력」시대 = 348
해체와 복원의 시대 = 351
타자와 비존재에 대한 응시 = 354
2부를 마치며 = 356
3 하나의 정신: 정체성의 이론
들어가는 말 = 360
전일주의의 예술사회학적 배경과 방법론
1970년대의 사회적 성격과 '이중억압' = 365
이중억압의 패러다임 = 368
전일적 표면화 = 372
주체의 해체 = 372
물성의 해체와 곽인식의 선구적 시각 = 375
이우환의 '만남의 현상학' = 377
방법론으로서의 전일주의와 상징적 구조화 = 380
표본작가
물적 실존과 신체의 장 = 384
물아합일과 내적 울림: 정창섭 = 384
신체와 내재율: 신영상 = 391
빛의 생성과 각인 = 396
빛의 생성과 후광: 김형대 = 396
빛의 신체적 각안: 김기린 = 404
물성의 틈새와 안과 밖의 변증법 = 412
물성의 틈새: 한기주 = 412
안과 밖의 변증법: 김태호 = 417
전일주의의 분석논리 = 424
동시성의 논리: 서승원 = 424
신체와 장소의 논리: 이건용 = 431
전일주의의 신화비평적 해석
전일주의와 원형비평의 시각 = 439
한국적 원형의 신화단계와 역사-사회화 단계 = 442
전일주의의 현대적 개화와 한국적 버전 = 451
선구세대의 전일주의와 원형상의 재발현 = 452
전기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 461
후기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 474
현대 한국화 선구세대와 동세대들의 전일주의 = 480
전일주의적 표제들의 신화적 의의 = 493
3부를 마치며 = 512
맺는말 : '눈과 정신'에 부치는 유감 = 513
주(註) = 517
그림 목록 = 533
찾아보기 = 54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