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지도관과 학습 = 15
1.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과 스포츠와 체육에서의 지도 = 17
1) 스포츠 및 체육 철학에 관한 고찰 = 20
(1) 형이상학 = 22
A. 합리론적 이원론 = 22
B. 실재론적 유물론 = 23
C. 실용주의 = 24
D. 실존주의와 현상학 = 25
(2) 인식론 = 27
...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지도관과 학습 = 15
1.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과 스포츠와 체육에서의 지도 = 17
1) 스포츠 및 체육 철학에 관한 고찰 = 20
(1) 형이상학 = 22
A. 합리론적 이원론 = 22
B. 실재론적 유물론 = 23
C. 실용주의 = 24
D. 실존주의와 현상학 = 25
(2) 인식론 = 27
A. 전반성적 지식 = 27
B. 객관적, 분석적, 명시적 지식 = 28
C. 주관적, 개인적, 암묵적 지식 = 30
(3) 스포츠와 체육에의 의미 = 31
2) 행동주의와 모더니즘 = 35
3) 행동주의적 그리고 모더니즘적 체육교육-학습 = 43
4) 개인 경험의 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 49
5) 개인 경험의 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의 교수-학습 = 54
6) 참여, 스포츠와 체육의 궁극적 목적 = 59
7) 학습자 중심의 수업 = 69
제2장 경험의 구성 = 77
1. 체육학습의 목적 = 79
1) 적성과 숙련성 = 81
2) 개념과 원리 습득 = 84
3) 신체적으로 활발한 삶의 영위 = 85
4) 건강증진의 피트니스 = 86
5) 책임 있는 행동 = 88
6) 이해와 존중 = 89
7) 정서변화 및 사회적 교류 = 91
2. 신체활동에 관한 교육적인 경험 구성의 기준 = 93
1) 경험 구성의 원칙: 지적(Cognitive) 자극, 정서적(Affective) 변화, 심동적(Psychomotor)인 성장의 경험을 제공하는 지도안을 작성해야 한다 = 93
(1) 지적 경험 = 96
A. 지식 = 98
B. 이해 = 100
C. 응용 = 105
D. 분석 = 102
E. 종합 = 103
F. 평가 = 104
G. 인지/기억의 과정 = 105
H. 문제해결식/창조적 사고 = 109
(2) 정의적 경험 = 111
A. 정의적 경험의 중요성 = 111
B. 참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 117
(3) 심동적 경험 = 219
2) 경험 구성의 원칙: 연속적 경험을 구성하는 지도안의 작성이다 = 219
(1) 실질적 적용: 발달단계(Developmentally Appropriate)에 적합한 지도안 작성 = 220
(2) 실질적 적용: 순차적인(Sequenced) 지도안 작성 = 221
(3) 실질적 적용: 나선형(Spiral)의 지도안 작성 = 222
(4) 실질적 적용: 성공(Success-Oriented)적인 연습에 근거한 지도안 작성 = 223
3) 경험 구성의 원칙: 상호 작용적 연계성이 있는 경험을 구성하는 지도안의 작성이다 = 224
4) 경험 구성의 원칙: 개별적, 개인적 경험을 구성하는지도안의 작성이다 = 226
5) 경험 구성의 원칙: 실제적 경험을 구성하는 지도안의 작성이다 = 228
6) 경험 구성의 원칙: 효율성 있는 지도안의 작성 = 230
(1) ALT-PE의 구성 요인 = 230
(2) ALT-PE의 적용 = 231
A. 학습자 관련 = 231
B. 교사 관련 = 235
3. 요약 (제2장 경험의 구성) = 242
제3장 학습과 지도 = 247
1. 학습 = 248
1) 학습 단계 = 251
(1) 인식(Recognition/Sensation) = 252
A. 시각 = 253
B. 청각 = 253
C. 촉각 = 255
D. 후각과 미각 = 255
(2) 연상(Association): 수용/변형/결합(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Association) = 256
A. 수용 = 256
B. 변형과 결합 = 257
(3) 자동화(Automation) = 258
2) 학습내용 가치 유래(Value Orientation) = 259
(1) 학습내용의 숙지(Disciplinary Mastery)에 가치를 두는 관점 = 260
(2) 자아 활성화(Self-Actualization)에 가치를 두는 관점 = 261
(3) 사회 재구성(Social Reconstruction)에 가치를 두는 관점 = 261
(4) 교육과정(Learning Process)에 가치를 두는 관점 = 262
(5) 환경/상황과의 조화(Ecological Integration)에 가치를 두는 관점 = 263
3) 학습내용 = 264
(1) 움직임 교육 = 264
A. 조절 전 단계(Pre-control Level) = 266
B. 조절 단계(Control Level) = 268
C. 응용 단계(Utilization Level) = 268
D. 숙련 단계(Proficiency Level) = 269
(2) 스포츠 교육(Sport Education) = 269
A. 스포츠 교육의 목적 = 270
B. 스포츠 교육의 특징 = 272
(3) 피트니스(Fitness) 교육 = 276
A. 피트니스 교육의 목적 = 277
B. 피트니스 교육의 내용 = 277
C. 교사/지도자의 역할 = 278
(4) 문제해결식 교육(Problem Solving Education) = 278
A. 문제해결식 교육의 목적 = 280
B. 문제해결식 교육의 내용 = 283
C. 결론: 문제해결식 교육 = 317
2. 지도 = 317
1) 지도 시 유의사항 = 318
(1) 안전한 환경의 조성 = 318
(2) 지적으로 도전적인 환경과 과제의 선정과 지도 = 319
(3) 활동과제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지도 = 320
(4) 관련 있는 정보를 포함시킨 포괄적 지도 = 323
(5) 유도 학습 = 323
(6) 독립 훈련과 연습 = 324
(7) 게임 중에도 지속되는 지도 = 325
(8) 참가자의 운동 수행을 관찰하는 지도 = 325
2) 지도의 형식 = 326
(1) 적극적 지도(Active Teaching) = 326
(2) 과제 지도(Task Teaching) = 327
(3) 질문을 통한 지도(Teaching through Questions) = 328
(4) 동료 지도(Peer Teaching) = 329
(5) 협동 지도(Cooperative Learning) = 330
(6) 자가 지도(Self-Instruction) = 330
참고문헌 = 3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