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저자 서문 = 5
서장 : 왜 문화재단을 연구하는가? = 14
테마 에세이: 재단연구의 현황 = 19
1장 재단
1 비영리기관과 재단 = 23
1) 비영리기관으로서의 재단의 역할과 위치 = 23
2) 민간재단의 성장 = 29
3) 재단의 정책과 운영: 일반적 경향과 과제 = 31
2 재단의 유형 = 36
3 재단 설립의 동기 = 39
1) 경제적 동기...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저자 서문 = 5
서장 : 왜 문화재단을 연구하는가? = 14
테마 에세이: 재단연구의 현황 = 19
1장 재단
1 비영리기관과 재단 = 23
1) 비영리기관으로서의 재단의 역할과 위치 = 23
2) 민간재단의 성장 = 29
3) 재단의 정책과 운영: 일반적 경향과 과제 = 31
2 재단의 유형 = 36
3 재단 설립의 동기 = 39
1) 경제적 동기 = 39
2) 사회적ㆍ정치적 동기 = 41
4 재단의 역사 = 46
1) 국내 재단의 역사 = 46
2) 미국과 영국 재단의 역사 = 49
5 각국의 문화재단 개괄 = 58
1) 영국: 틈새 영역의 예술 지원 = 58
2) 미국: 세계적 명성을 지닌 대형재단의 선구자적 역할 = 62
3) 한국: 기업재단의 자체 예술기관 운영 = 67
테마 에세이: 재단에서 일하기 = 74
2장 예술지원과 재단
1 예술을 위한 공공지원과 민간지원 = 79
1) 정부의 예술 지원의 정당성 = 79
2) 공공과 민간의 공동지원의 장단점 = 94
3) 공동지원 환경에서의 재단의 독특한 역할 = 99
2 새로운 모델의 예술 지원자로서의 재단 = 103
3 재단의 긍정적 특성 = 105
4 재단의 새로운 지원 전략 = 110
1) 벤처지원 = 110
2) 사회사업 = 116
5 재단의 한계 = 119
6 재단에 대한 규정과 세제 = 123
1) 영국: 단순한 규정과 호의적인 세제혜택 = 123
2) 미국: 엄격한 규정과 관대한 세제혜텍 = 124
3) 한국: 엄격한 규정과 제한된 세제혜택 = 126
테마 에세이: 공공 예술 지원의 정당성 논쟁과 예술의 가치 = 129
3장 각국의 문화지원 및 정책
1 영국: 민간지원 장려와 예술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조 = 138
2 미국: 매칭그란트 제도를 기반으로 한 연방정부 지원 = 150
3 한국: 정부의 지원과 책임 경영(자울 경영) 강조 = 154
테마 에세이: 팔길이 원칙의 허와 실 = 160
4장 사례 연구: 재단의 예술 지원
1 영국 = 171
1) 틈새분야의 지원: 칼로스테 굴벤키안재단 = 171
2)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술: 폴 햄린재단 = 175
3) 문화 리더십: 클래어 더필드재단 = 177
4) 자신의 작품 전시와 보존을 위한 재단: 핸리 무어재단 = 180
2 미국 = 182
1) 우량 경영의 귀감: 폴락 크래즈너재단 = 182
2) 전략적인 예술 지원의 개척자: 포드재단 = 186
3) 문화정책 개발 및 벤처 지원: 퓨 채리터블재단 = 190
3 한국 = 194
1) 예술 인프라 구축(시각예술 분야): 삼성문화재단 = 194
2) 예술 인프라 구축(공연예술 분야): LG연암문화재단 = 195
3) 문학에 대한 전문화된 집중지원: 대산문화재단 = 197
4) 지역문화재단의 대표주자: 서울문화재단 = 200
테마 에세이: 문화NGO와 서울문화재단 = 206
5장 재단이 지원해야 하는 분야들
1 예술교육 = 214
2 실험예술 = 220
3 논쟁적 예술 = 223
4 문화적 균등성과 다양성 = 227
5 예술가 = 233
6 문화정책 연구 = 238
테마 에세이: 문화정책의 싱크탱크로서의 문화재단을 위하여 = 243
6장 결론
1 재단의 특성과 예술 지원 = 248
2 미래 사회 변화와 재단의 역할 = 251
3 재단의 발전을 위한 과제들 = 254
4 맺는 글 = 258
테마 에세이: 지역문화재단의 미래 과제 = 263
인터뷰 1: 폴 햄린재단 예술분야 지원 책임자, 제인 어텐버로우 = 266
인터뷰 2: 핸리 무어재단 이사, 팀 르웰린 = 276
부록: 재단의 정책 만들기(Grant-giving: A guide to policy making) = 288
참고문헌 = 346
찾아보기 = 37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