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4
1부 디아스포라와 국민주의
1. 재일 조선인은 누구인가?
‘국민’과‘주민’ ... 19
1910년, 모든 조선 사람은 일본 국적이 되었다 ... 22
식민지 지배와 조선인의 국적 ... 25
다수자의 등식, 조국=고국=모국 ... 33
타자를 배제하는 틀, 국민 .... 39
‘국민’바같에서 살아가기 ... 4...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4
1부 디아스포라와 국민주의
1. 재일 조선인은 누구인가?
‘국민’과‘주민’ ... 19
1910년, 모든 조선 사람은 일본 국적이 되었다 ... 22
식민지 지배와 조선인의 국적 ... 25
다수자의 등식, 조국=고국=모국 ... 33
타자를 배제하는 틀, 국민 .... 39
‘국민’바같에서 살아가기 ... 41
국가의 이익에 포섭되는 다문화주의 ... 46
‘우리’는 누구인가? ... 51
2. 국민주의를 비판한다
부활하는 일장기와 기미가요 ... 56
근대 국가의 국민이 져야 할 책임 ... 59
한국은 일본과 다른가? ... 63
비국민에 대한 폭력, 귀화 ... 65
국민주의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72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에 담긴 진실 ... 76
국민주의에 갇힌 사회주의 ... 81
베트남전쟁에 대한 우리의 책임 ... 83
3. 누가 그 기억을 이야기하는가?
유대인은 누구인가? ... 88
유대인, 시오니스트 그리고 이스라엘 ... 95
시오니즘과 디아스포라 - 유대인 역사의 두 가지 전통 ... 97
피해자는 누구이고 가해자는 누구인가? ... 99
‘유일한 피폭국 일본’ 이라는 신화 ... 103
2부 당연한 것을 다시 묻는다
4. 디아스포라에게 ‘고향’은 어디인가?
디아스포라로 살아온 윤동주 ... 112
조선이라는 기호로 사는 사람들 ... 114
‘고향은 어디인가?’라는 난처한 질문 ... 119
고향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감수성 ... 126
5. 생명이 선이고 죽음이 악이다?
개인=가족=국가 라는 위험한 등식 ... 137
신의 의지로 살아온 중세인 ... 142
착취를 위해 자살을 금지한 산업사회 ... 147
한국과 일본의 현실- 그래도 희망이 있다? ... 150
삶과 죽음을 스스로 결정한 이들 ... 153
누구의 도덕, 누구의 이데올로기인지를 따져야 한다 ... 157
6. 희망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희망이라는 말의 뜻 ... 162
루쉰, 근대의 과제들과 맞서 싸운 동아시의 지식인 ... 164
환등 사건과 후지노 선생 ... 166
희망을 보고 걷는 것이 아니다 ... 170
깊은 어둠을 누비는 루쉰의 글쓰기 ... 176
루쉰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183
희망, 다수자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 188
3부 저항하는 예술 증언하는 예술
7. 당신의 미의식은 당신 것인가?
전쟁을 겪은 20세기 독일 미술 ... 192
근대 국가가 만들어 낸 ‘국민의 미’ ... 195
자기의 미의식을 지키고자 한 투사, 반 고흐 ... 198
테오, 너는 코로의 화상이 아니다 ... 207
8. 예술은 전쟁에 저항할 수 있는가?
전쟁의 기억을 그려 낸 오토 딕스 ... 212
계몽주의 사상의 패배를 그린 펠릭스 누스바움 ... 219
난민의 자화상으로 남겨진 디아스포라 ... 224
80년대 독일, 기억의 전장 ... 227
과테말라 저항 미술의 상징, 다니엘 살라사르 ... 229
기억의 투쟁에 우리는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 232
4부 ‘솔직한 비관주의자’ 서경식과 나눈 대화
9. 한국판 시라케 시대가 열리고 있다
‘솔직한 비관주의자’ 서경식을 만나다 ... 238
한국판 ‘시라케 시대’가 열리고 있다 ... 239
낙관할 수만은 없는 미래 ... 241
빠르게 일본을 닮아 가는 한국 사회 ... 245
‘지식인’이 사라진 시대 ... 249
판단을 포기한 지식 노동자, 스페셜리스트 ... 254
컴퓨터 첨단 기술과 노예화 ... 258
언어의 감옥을 넘어서 ... 260
디아스포라의 눈에 비친 한일 양국 ... 264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역할 ... 269
자료
소논문 : 일본 ‘국민주의’의 어제와 오늘 ... 274
연 표 : 재일 조선인의 역사 ... 301
연 표 : 팔레스타인 분쟁사 ... 3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