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권호명 : 1
책을 펴내며 / 김시업 = 5
총론: 민족문학의 개념과 그 사적 전개 / 임형택 = 19
1. 민족문학의 개념과 민족문학사의 인식 = 20
2. 문학사의 체계: 국문학과 한문학의 이원구조와 통일적 인식의 과제 = 26
3. 신문학의 전개과정에서의 민족문학 = 35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민족신화의 형성 / 조현설 = 42
...
더보기
목차 전체
권호명 : 1
책을 펴내며 / 김시업 = 5
총론: 민족문학의 개념과 그 사적 전개 / 임형택 = 19
1. 민족문학의 개념과 민족문학사의 인식 = 20
2. 문학사의 체계: 국문학과 한문학의 이원구조와 통일적 인식의 과제 = 26
3. 신문학의 전개과정에서의 민족문학 = 35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민족신화의 형성 / 조현설 = 42
1.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신화의 기록 = 42
2. 고대국가의 건국신화들 = 45
3. 건국신화의 재인식과 민족신화의 가능성 = 49
4. 근대 민족신화로 재탄생한 단군신화 = 53
고대가요의 전통과 향가 / 김창원 = 58
1. 고대가요와 삼국속악 그리고 향가 = 58
2. 향가의 명칭과 내포 = 60
3. 향가의 형식과 구조 = 62
4. 향가의 주요 담당층 = 64
5. 향가의 내용과 작품세계 = 66
6. 연구사적 반성 = 71
삼국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의 한문학 / 정우봉 = 75
1. 한자의 수용과 활용, 그리고 중세문학의 형성 = 75
2. 삼국시대의 한문학 = 77
3. 남북국시대의 한문학 = 81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 / 정출헌 = 88
1. 나말여초 문학사의 새 지평 = 88
2.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교류와『수이전』 = 90
3.『수이전』에 실린 지괴의 서사적 지향 = 93
4.『수이전』에 실린「최치원」의 문학적 성취 = 97
5. 나말여초 서사문학의 층위와 과제 = 101
나말여초의 문학사적 전환과 최치원 / 정환국 = 104
1. 전환기로서의 '나말여초' = 104
2. 나말여초 문인지식층의 성향과 한문학 = 106
3. 최치원 시문학의 세계 = 109
4. 최치원의 문학사적 위치 = 116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 / 김수경 = 121
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 121
2. 진솔함ㆍ다양성ㆍ개방성: 속요의 세계 = 122
3. 반복과 변화, 풍류와 낙관: 경기체가의 세계 = 129
4. 고려가요 이해의 새로운 방향 = 135
고려중기 민족현실과 이규보의 모색 / 김승룡 = 138
1. 고려중기와 지식인들, 그리고 이규보 = 138
2.「동명왕편」: 중국과 견주어지는 고려의 문화전통 = 141
3.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 144
4.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의 욕망 = 149
여말선초 사대부문학과 현실주의 경향 / 이성호 = 155
1. 여말선초라는 문학의 전환기 = 155
2. 여말 사대부문학의 채시관풍론과 현실주의 = 158
3. 애민의식으로 담아낸 민생실태 = 161
4. 이민족의 침입과 전란의 고통 = 165
5. 신흥사대부 현실주의의 성과와 한계 = 169
『금오신화』의 출현과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 / 신상필 = 173
1.『금오신화』의 저술과 그 배경 = 173
2. 기이로 빚어낸 만남과 이별의 미학,「만복사저포기」와「이생규장전」 = 176
3. 인간사회를 논의한 사상소설「남염부주지」 = 178
4. 이상사회에 대한 회고와 희망,「취유부벽정기」와「용궁부연록」 = 181
5. 김시습의 의식세계와『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 184
조선전기 필기ㆍ패설의 전개양상 / 김준형 = 187
1. 잡록과 필기ㆍ패설 = 187
2. 필기ㆍ패설의 연원과 전개 = 189
3. 필기ㆍ패설의 일탈과 변모 = 195
조선 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1 - 악장ㆍ서사시ㆍ경기체가 / 김용찬 = 200
1.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개관 = 200
2. 예악의 정비와 악장의 효용 = 203
3. 훈민정음의 창제와 서사시의 등장 = 206
4. 경기체가의 지속과 쇠퇴 = 210
5. 시가 갈래의 단절 혹은 지속 = 212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2 - 시조ㆍ가사 / 이상원 = 215
1.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기본적 성격 = 215
2. 처사적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 = 217
3. 관인의 책무와 관계된 작품들 = 224
4. 주체의 내적 궁핍을 토로한 작품들 = 226
5. 여류문학의 성취: 기녀시조와 규방가사 = 229
6.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변모양상 = 261
16세기말∼17세기 전반기 한문학의 새 경향 / 송혁기 = 237
1. 문화교류 양상의 변모와 문학사적 전변 = 237
2. 당시풍의 확신과 시적 아름다움에 대한 모색 = 239
3. 문학적 전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산문의 문예미 추구 = 243
4. 쟁점과 전망 = 247
16, 17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면모 / 김현양 = 251
1. 주목해야 할 변모양상 = 251
2. 16세기: 변모의 단초 혹은 징후 = 252
3. 17세기 국문소설: '욕망'과 '이념'의 사이 = 257
4. 17세기의 한문소설: 전기소설이 이룩한 성취 = 261
5. 주시해야 할 그밖의 면모 = 265
조선후기 한시의 안과 밖, 현실주의 경향 / 진재교 = 268
1. 조선후기 한시 이해를 위한 몇가지 단상 = 268
2. 문예미의 창신과 표현수법 = 270
3. '민'의 삶과 현실문제의 여러 형상 = 276
4. 다기한 인물의 형상과 서사한시 = 282
조선후기 시가문학의 분화 / 박애경 = 289
1. 조선후기 시가사에 접근하는 방식 = 289
2. 시정담론의 동향과 시조의 통속화 = 291
3. 가사문학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 = 297
4. 도시유흥의 성장과 잡가의 부상 = 300
5. 조선후기 시가 연구의 쟁점 = 302
장편소설의 형성과 조선후기 소설의 전개 / 장시광 = 305
1. 17세기와 장편소설의 대두 = 305
2. 유교이념의 표출: 18세기 국문대하소설 = 309
3. 다양한 양식의 표출: 19세기 한문장편소설 = 317
4. 장편소설의 통속화 경향 = 320
조선후기 한문단편의 세계 / 윤세순 = 325
1. 한문단편의 기원과 형성경로 = 325
2. 한문단편의 작가들 = 327
3. 한문단편의 작품세계 = 329
4. 문학사적 위상 = 336
조선후기의 여항문학ㆍ한영규 = 339
1. 여항문학과 여항의 한시 = 339
2. 여항인의 문학론, 천기와 성령 = 344
3. 여항의 전기문학 = 347
조선후기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 / 김영 = 354
1. 실학파 문인의 사상적 지향 = 354
2. 현실주의적 문예관과 주체적 미의식 = 356
3. 『열하일기』의 문학적 성취 = 361
4. 실학파 문학의 의의와 영향 = 367
조선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 장경남 = 371
1. 연행사와 통신사 = 371
2. 조선후기 사행문학, 연행록과 통신사행록 = 373
3.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 377
4. 문학사적 의의 = 387
조선후기의 시정과 문학 속의 풍속 / 이지양 = 390
1. 시정, 시정인, 시정 풍속 = 390
2. 시정인의 생활과 정감에 가치를 부여한 문예논리 = 393
3. 한문학 속에 그려진 시정인과 시정 풍속 = 397
4. 풍속적 관점으로 문학을 연구하는 이유 = 400
여성문학의 전개와 여성의 목소리 / 김동준 = 405
1. 여성문학의 범위와 대상 = 405
2. 여성문학의 개괄적 흐름 = 409
3. 여성의 표정과 목소리를 찾는 문학사 = 416
판소리의 성립과 판소리계 소설의 확산 / 신동흔 = 425
1. 판소리문학의 자리 = 425
2. 판소리의 성립과 그 문화사적 의미 = 426
3. 판소리계 소설의 충격 = 430
4. 시대현실과 이상 사이 = 433
5. 근대성 논란을 넘어서서 = 437
연행예술의 전통과 가면극 / 김영희 = 440
1. 한국 가면극의 '탈': 존재론적 전환과 역설의 미학 = 440
2. 가면극 형성의 다양한 원류: 외래와 내전의 만남과 창조 = 443
3. 내외ㆍ상하의 소통과 시정 유흥문화로의 성장: 상업화와 세속화 = 446
4. 무대양식적 특질과 판의 역동: 수직적 '산대'와 수평적 '마당' = 449
5. 변방인들의 탈주와 경계 넘기: 패러디와 아이러니 = 454
19세기 문학사의 여러 양상과 근대문학의 접점 / 이형대 = 462
1. 19세기 문학사의 문제의식 = 462
2. 도시적 감수성과 소통영역의 확대 = 464
3. 체제모순의 심화와 민중문예의 부상 = 469
4. 근대문학과의 접점, 그 비연속의 연속 = 473
찾아보기 = 479
글쓴이 소개 = 490
권호명: 2
책을 펴내며 / 김시업 = 5
민족문학의 근대적 전환 - 근대문학기점론을 중심으로 / 최원식 = 19
1. 왜 기점론인가 = 19
2. 갑오경장설 = 21
3. 18세기설 = 29
4. 북의 1866년설 = 32
5. 다시 1894년으로 = 34
계몽기 번역론과 근대적 소설 문체의 발견 / 정선태 = 39
1. 번역 또는 '문명세계'와 만나는 방법 = 39
2. 번역의 전제, '국문'의 정립과 문법의 통일 = 41
3.『소년』의 번역과 근대적 소설 문체의 발견 = 45
4.「헌신자」와 근대적 소설 문체의 형성 = 51
근대문학제도의 성립 / 차혜영 = 57
1. 문제제기 = 57
2. 제도로서의 문학의 다양한 측면들 = 61
3. 결론을 대신하여 = 72
근대계몽기의 서사문학 / 김영민 = 74
1. 서사적 논설의 등장과 지식인의 한글 사용 = 74
2. 비실명 단형소설과 계몽의식의 강화 = 77
3. 역사ㆍ전기소설과 신채호의 소설들 = 79
4. 신소설의 대두와 서사성의 강화 = 82
3ㆍ1운동 전후의 현실과 문학적 대응 / 유문선 = 89
1. 신소설의 종언과『무정』의 출현: 식민지 계몽주의의 성과와 한계 = 89
2. 식민지 계몽주의의 또다른 모습: 우울한 배회와 암담한 현실 = 97
3. 3ㆍ1운동과 1920년대 작가들의 등장: 현실 - 정신의 괴리와『만세전』의 이상하고도 놀라운 성취 = 100
4. 현실과의 조우와 소설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경향의 출현과 근대문학의 분화 = 104
1920년대 소설의 등장과 전개 / 박현수 = 110
1. 1920년대 소설의 형성기반 = 110
2. 유미주의의 두 가지 성격 = 111
3. 개성과 식민지현실의 낙차 = 116
4. 사실성의 획득과 시선의 문제 = 120
한국 근대시 형성과정의 쟁점과 그 향방 / 정우택 = 126
1. 한국 근대시 형성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26
2. 상징주의와 자유시운동의 경과와 의미 = 128
3. '신시 논쟁'의 쟁점과 의의 = 131
4. 주요한의 국민시가론과 언어민족주의 = 136
5. '근대시인' 이상화 = 141
근대극의 모색과 전개 / 이승희 = 146
1. 근대극의 존재방식 = 146
2. 신파극의 시대와 희곡의 출현 = 148
3. 신극운동의 성립과 사회주의의 파장 = 152
4. 대중극의 번성과 신극의 연극주의 = 155
카프의 성과와 문학사적 위상 / 이현식 = 161
1. 여는 글 = 161
2. 카프의 탄생과 해산 = 162
3. 카프의 문학논쟁 = 167
4. 카프와 리얼리즘 소설의 발전 = 171
5. 카프의 문학사적 성과 = 175
1930년대 장편소설과 리얼리즘 / 채호석 = 180
1. 들어가기 = 180
2. 농민문학과 노동자문학: 이기영의『고향』과 한설야의『황혼』, 그리고 강경애의『인간문제』 = 182
3. 자본주의 근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염상섭의『삼대』 = 187
4. 근대의 부정성에 대한 풍자: 채만식의『태평천하』와『탁류』 = 189
5. 역사적 과거로의 회귀: 가족사 연대기 소설과 김남천의『대하』 = 191
6. 글을 맺으며: 1930년대의 또다른 경향, 리얼리즘의 통속화 = 192
식민지근대성과 모더니즘 문학 / 김종욱 = 195
1. 새로운 '현실'의 발견 = 195
2. 절망적인 세계 앞에 선 개인의 내면 풍경 = 198
3. 식민지근대성의 상징, 경성의 발견 = 204
4. 현재성의 미학 = 208
파시즘시대 한국시의 자유와 부자유 / 최현식 = 211
1. 식민지근대와 시 현실의 이중성 = 211
2. 계급혁명의 신념과 주체의 성찰: 임화 = 212
3. 언어의 정련과 파괴, 혹은 현실의 견딤과 교란: 정지용과 이상 = 215
4. '실향'과 '귀향'의 변증법: 이용악과 백석 = 219
5. 생명 충동과 '고향'의 발견: 서정주와 오장환 = 223
6. 양심적 영혼의 품격과 저항의 진정성: 이육사와 윤동주 = 228
7. 1930년대 시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 = 231
근대의 위기와 한국문학의 새로운 대응 / 하정일 = 234
1. 1930년대 후반: 순환의 끝, 새로운 시작 = 234
2. 자기성찰과 저항의 내항화 = 239
3. 탈식민 저항의 세 유형 = 244
1940년대 '국민문학' / 윤대석 = 249
1. 친일문학, 파시즘문학, '국민문학' = 249
2. '국민문학'의 사상 = 253
3. '국민문학'의 언어 = 255
4. '국민문학'과 민족 = 257
5. '국민문학'과 젠더 = 259
6. '국민문학'과 써발턴 = 261
국민국가 수립과 문학적 대응 - 해방 직후 / 임규찬 = 265
1. 해방 직후의 역사적 성격: '해방'과 '분단' = 265
2. 정치의 시대와 문학의 정치화: '조직'과 '운동' = 270
3. 민족문학론의 의의와 한계: '민족'과 '문학' = 276
4. 해방 직후의 창작성과와 성격: '시'와 '단편소설' = 281
식민지, 전쟁 그리고 혁명의 도상에 선 문학 / 한수영 = 289
1.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1950년대 문학의 형성 = 289
2. 반공 이데올로기와 보편적 휴머니즘, 그리고 새로운 문학의 지평 = 294
3. 1950년대 문학의 더 깊은 이해를 위한 몇가지 논점들 = 298
한국 현대희곡사 개관 / 박명진 = 306
1. 전후 희곡의 지형도: 반공주의와 실존주의의 풍경 = 306
2. 1960년대, 혁명과 일상의 근대성 = 309
3. 1970년대, 직설법과 암유(暗喩)의 사이 = 312
4. 1980년대, 통제와 해금의 분열 = 316
1960년대 문학 / 서은주 ; 허윤희 = 321
1. 개관 = 321
2. 1960년대의 시: 새로운 언어질서의 추구 = 325
3. 1960년대의 소설: 근대적 개인의 성찰과 비판적 현실 인식 = 336
민중ㆍ민족문학의 양상 / 김명인 ; 박지영 = 350
1970, 80년대의 문학
1. 개관 = 350
2. 민중 주체의 형성화와 이상주의적 열정: 1970, 80년대 민중시 = 354
3. 민중ㆍ민족문학적 전통의 부활과 급진적 전망: 1970, 80년대 소설 = 361
1970, 80년대 자유주의 문학 / 류보선 ; 이기성 = 371
1. 1970, 80년대 자유주의 문학의 위상 = 371
2. '끔찍한 모더니티'와 지배언어의 해체: 1970, 80년대 자유주의 시들 = 374
3. '순종하는 신체'와 실재의 윤리: 1970, 80년대 자유주의 소설들 = 387
현대희곡의 전통 수용과 마당극 / 배선애 = 402
1. 현대희곡이 불러온 '전통'이라는 대상 = 402
2. 보존과 실험: 전통을 호출하는 기성 연극계의 시선 = 404
3. 전통의 변증법적 재창조: 마당극의 형성과 전개 = 410
4. 현대희곡의 전통 수용이 남긴 과제 = 415
1990년대와 탈이념시대의 문학 - 소설을 중심으로 / 진정석 = 418
1. 90년대 문학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 418
2. '후일담'적 상상력과 내성의 글쓰기 = 420
3. 대중소비사회의 대두와 문학적 대응 = 424
4. 여성적 체험의 형상화와 일상의 발견 = 427
5. 맺음말 = 430
민족문학론의 역사적 전개 / 신두원 = 434
1. 머리말 = 434
2. 20세기 전반기 민족문학론의 역사 = 436
3. 민족문학론의 패러다임 = 441
4. 20세기 후반기 민족문학론의 역사 = 445
5. 마무리 = 449
북한문학사의 쟁점 / 유임하 ; 오창은 ; 김성수 = 453
1. 우리 문학사에서 북한문학의 위상 = 453
2. 건설기ㆍ전쟁기(1945∼53) 북한문학의 쟁점 = 459
3.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건설기 북한문학의 쟁점 = 471
4. 주체문학시대(1967∼현재) 북한문학의 쟁점 = 482
5. 남는 문제들: 선군문학의 현실과 문학사 통합의 이상 = 489
여성의 관점에서 본 근ㆍ현대문학사의 (재)구성 / 김양선 = 495
1. 여성문학 연구의 현재 = 495
2. 민족ㆍ젠더ㆍ문학 = 497
3. 여성문학사 서술의 과제: 여성문학 장(場)의 형성원리 규명 = 500
4.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 여성주의 시학 정립 = 505
5. 결론 = 510
아동과 문학 - 아동문학, 무엇이 문제인가 / 원종찬 = 513
1. 잘못된 통념: 동심천사주의와 교훈주의 = 513
2. 성립과 전개: '일하는 아이들'과 현실적인 작품경향 = 516
3. 장르 구분: 동요ㆍ동시ㆍ어린이시와 동화ㆍ소년소설ㆍ판타지 = 520
4. 연구과제: 실증적 기초와 고유이론의 확립 = 525
대중문학의 이해 / 조성면 = 528
1.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범주와 개념 = 528
2. 대중, 독자, 그리고 대중문학 = 533
3. 대중문학의 전개 = 536
4. 대중문학의 의미와 가능성 = 542
찾아보기 = 546
글쓴이 소개 = 56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