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PART 01 통역ㆍ번역이란 무엇인가?
제1장 통역ㆍ번역과 커뮤니케이션 = 1
1.1. 통역ㆍ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1
1.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통역ㆍ번역 = 3
1.3. 커뮤니케이션이란? = 4
1.4. 커뮤니케이션의 4대 요소 = 5
1.5.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 11
1.6. 소통 중심의 통역ㆍ번역 ...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PART 01 통역ㆍ번역이란 무엇인가?
제1장 통역ㆍ번역과 커뮤니케이션 = 1
1.1. 통역ㆍ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1
1.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통역ㆍ번역 = 3
1.3. 커뮤니케이션이란? = 4
1.4. 커뮤니케이션의 4대 요소 = 5
1.5.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 11
1.6. 소통 중심의 통역ㆍ번역 = 17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22
2.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과 경제성의 원리 = 22
2.2. 함축 및 추론과 경제성의 원칙 = 25
2.3. 적합성 이론의 비용-효용 모델 = 26
2.4. 협동의 원칙과 대화의 4대 격률 = 27
2.5. 대화의 격률의 의도적 위반과 추론 = 32
2.6. 명시의 비(非)명시의/외연의-내포의 = 34
2.7. 추론의와 집단공유지식 = 35
2.8.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공유배경지식 = 38
제3장 전문직으로서의 통역사/번역사 = 40
3.1. 메시지의 문화특수성 = 40
3.2. 언어장벽과 문화장벽의 중개 = 44
3.3. 통역사/번역사의 자질 = 46
3.4. 통역사/번역사의 언어 분류 = 51
3.5. 특수언어와 한영 통역ㆍ번역 = 53
3.6. 삼자간 대화와 통역사/번역사의 역할 = 54
3.7. 전문통역사/번역사단체 = 56
3.7.1.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 = 56
3.7.2. 세계번역사연맹(FIT) = 57
3.8. 용어의 표준화: 번역자-번역사-번역가 = 58
3.9. 제반분야전문가 대 특수분야전문가 = 61
3.10. 통역사/번역사의 전문성 = 63
PART 02 통역ㆍ번역의 핵심 개념
제4장 번역가능성 = 69
4.1. 직역 대 의역 논쟁 = 69
4.2. 번역가능성의 정의 = 72
4.3. 순수언어와 번역가능성 = 72
4.4. 의미: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 76
4.5. 어휘ㆍ문화적 공백과 번역가능성 = 77
제5장 메시지와 의미 = 81
5.1. 의미의 정의 및 분류 = 82
5.2. 적합성 이론의 설명 = 87
5.3. 언어장 이론 = 89
5.4. 틀과 스크립트 이론의 '학습되는 프레임' = 91
제6장 등가와 대응 = 98
6.1. 의미의 형태와 내용 = 98
6.2. 등가와 대응 = 99
6.3. 등가의 양적(量的) 관계 중심의 분류 = 101
6.4. 다양한 층위에서의 등가 = 102
6.5. 텍스트적 등가 = 104
6.6. 기능적 등가 = 104
6.7. 해석이론의 '등가'와 '대응' = 105
6.8. 등가에서 대응으로 = 110
제7장 텍스트 규범과 수용가능성 = 111
7.1. 번역학에의 접근법 = 112
7.2. 기술적(記述的) 접근법 = 113
7.3. 번역규범 = 115
7.4. 번역보편소 = 117
7.5. Chesterman의 번역 규범 분류 = 120
PART 03 통역ㆍ번역 이론
제8장 통역ㆍ번역모델 = 127
8.1. 커뮤니케이션 모델 = 128
8.2. 삼단계 전이 모델 및 채널 모델 = 130
8.3. 해석이론의 삼각형 모델 = 133
8.4. 기능주의적 접근 = 137
제9장 번역과 번역학의 분류 = 143
9.1. 번역학의 구성 = 144
9.1.1. Holmes의 번역학 세부 분야 도해(圖解) = 144
9.1.2. Toury의 번역학 세부분야 도해 = 146
9.2. 번역의 분류 = 147
9.2.1. Jakobson의 번역 분류 = 147
9.2.2. Newmark의 번역 분류 = 148
9.2.3. Nida의 번역방식의 분류 = 149
9.2.4. Gutt의 번역 분류 = 150
9.2.5. House의 번역 분류 = 151
9.2.6. Nord의 번역 분류 = 151
9.3. 적절한 번역 유형의 선택 = 155
제10장 번역사의 결정 = 157
10.1. 결정과 문제해결 = 157
10.2. 번역을 둘러싼 결정의 어려움 = 158
10.3. 번역사 결정의 두 가지 층위 = 159
10.4. 번역과정의 계획 = 161
10.5. 번역 브리프 = 162
10.6. 상향식 번역 과정 = 163
10.7. 하향식 번역 과정 = 164
제11장 번역사의 중재 기재 = 167
11.1. 번역 전환의 정의 = 168
11.2. 선택적 번역 전환과 의무적 번역 전환 = 169
11.3. Catford의 번역 전환 = 169
11.4. Vinay & Darbelnet의 번역 전환 = 172
11.4.1. 직접 번역 전략 = 173
11.4.2. 간접번역전략 = 174
11.5. 이국화 전략 대 자국화 전략 = 176
11.6. 번역사의 불가시성과 번역의 투명성 = 177
PART 04 통역ㆍ번역의 실제
제12장 통역ㆍ기억력ㆍ노트테이킹 = 181
12.1. 통역의 분류 = 182
12.1.1. 통역 상황별 분류 = 182
12.1.2. 통역방식별 분류 = 183
12.1.3. 통역언어 중개 방향별 분류 = 185
12.1.4. 통역사-연사 간 물리적 거리별 분류 = 187
12.2. 통역과 기억 = 187
12.2.1. 통역과 기억의 관계 = 187
12.2.2. 축어적 기억과 실질적 기억 = 188
12.2.3. 인간의 단기 정보처리용량: 7±2단위 = 189
12.2.4. 기억 도우미로서의 노트테이킹 = 191
12.2.5. 통역에 있어서 노트테이킹의 중요성 = 191
12.2.6. 노트테이킹을 어떻게 할 것인가? = 194
12.2.7. 노트테이킹 기호의 예 = 197
제13장 번역 종류별 접근법 = 199
13.1. 번역분류 = 200
13.1.1. 문어텍스트 대상의 번역 유형 분류 = 200
13.1.2. 텍스트 모드 중심의 번역 유형 분류 = 202
13.2. 실용전문번역 = 203
13.3. 문학출판 번역 및 일반출판 번역 = 206
13.3.1. 인바운드 번역 시장 = 206
13.3.2. 아웃바운드 번역 시장 = 208
13.3.3. 인바운드 일반 출판 번역 = 211
13.4. 영상번역 = 213
13.4.1. 영상번역의 중요성 = 213
13.4.2. 영상번역의 정의 = 214
13.4.3. 영상번역의 종류 = 215
13.4.4. 영상번역의 특징 = 216
13.4.5. 영상번역의 원칙 = 2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