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김현 예술 기행 ; 반고비 나그네 길에』에 대하여 = ⅲ
김현 예술 기행
머리말 = 15
Ⅰ. 광대의 옷을 빌어 입고
인간과 종교와 문화 = 19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 25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 29
Ⅱ. 미술 기행
가우디 = 49
피카소 = 51
고야 = 53
브뤼겔 = 55
고흐 = 57
드가 = 5...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김현 예술 기행 ; 반고비 나그네 길에』에 대하여 = ⅲ
김현 예술 기행
머리말 = 15
Ⅰ. 광대의 옷을 빌어 입고
인간과 종교와 문화 = 19
서구의 축제와 동양인 = 25
아르파공의 절망과 탄식 = 29
Ⅱ. 미술 기행
가우디 = 49
피카소 = 51
고야 = 53
브뤼겔 = 55
고흐 = 57
드가 = 59
앙리루소 = 62
자코메티 = 65
로댕 = 68
만화도 예술인가 = 70
Ⅲ. 문학 기행
가스통 바슐라르를 찾아서 = 81
인간의 고향을 찾아서 = 98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그 싸움 = 109
프랑스의 정신적 풍토 = 116
반고비 나그네 길에
Ⅰ
촉각이 도해(圖解)한 정경 = 127
묘지 순례 = 134
이솝의 신 포도 = 138
브뤼셀 = 138
암스테르담 = 139
동전 = 140
동 키호테에 대한 몇 개의 단상 = 141
문장 수업 = 146
사과 다섯 알 = 148
시 외우기 = 150
즐거운 고통 = 152
헤르만 헤세 = 154
앙드레 말로의 죽음 = 155
작가 = 157
작가와 질병 = 157
작가와 여인 = 159
작가와 오류 = 161
작가와 각성 = 163
여유 있는 생존 = 165
Ⅱ
한글 논의에 대하여 = 175
문화인과 통일 = 178
프랑스의 우체국 파업 = 181
환상과 현실 = 185
문화의 코미디 = 188
끝나지 않은 싸움 = 191
공해소설의 문제 = 195
작가와 작품과 상 = 199
도시인의 상상력 = 203
상업주의를 막는 둑 = 207
Ⅲ
고은의 전설 = 215
최인훈 전집에 대하여 = 217
최인훈의 연극에 대하여 = 221
루오의 광대 / 황동규 = 224
박상륭이란 놈 = 226
내부의 간극 / 오승재 = 228
아픔 그리고 아픔 / 오규원 = 231
대립과 지양 / 김형영 = 235
말의 몽상가 / 강호무 = 238
못다 핀 문학적 재질 / 백승룡 = 243
Ⅳ
한국 문학의 이해와 반성 = 247
개화기 문학의 두 측면 = 259
그 자신이 상처가 되지 아니하면 = 262
젊은 세대의 문학 = 265
『제7병동』과 자유 = 269
월평에 대해 말한다 = 277
비평은 심판인가 대화인가 = 280
시는 과연 죽었는가 = 283
시는 회생할 수 있을까 = 287
Ⅴ
대중 문화 속의 문학 = 293
만화는 문학이다 = 298
시사 만화에 대한 단상 = 311
우리 사회의 건강한 에로티시즘 / 박수동 = 318
대중 문화의 새로운 인식 = 322
책 뒤에 = 332
산문 모음 1
Ⅰ
이상(李箱)에 나타난 만남의 문제 = 339
중세 지성과 권력 = 358
Ⅱ
만남 혹은 시인의 환상 = 373
기대와 죽음 = 384
마르그리트 뒤라스 = 390
르 클레지오 = 392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396
몇 개의 시 읽기 = 398
바리에테 = 405
1974년의 프랑스 문학상 = 405
몰락인가 변모인가 = 407
성은 어디까지 해방될 수 있는가 = 413
현대 사회와 새로운 예술의 대두 = 418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422
대중 예술은 존재하는가 = 424
Ⅲ
무엇을 위한 예륜(藝倫)이냐 = 431
토속성과 세계성 = 433
보편적 윤리감의 탐구 = 437
창작 활동의 침체에 대히여 = 441
젊은 지성의 축전을 근내고 = 444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 447
어문 정책에 대하여 = 451
한글 전용 문제의 진정한 의미 = 454
Ⅳ
연애 연습사 = 459
앙드레 브르통이 서정주에게 주는 편지 = 462
불빛이 말하는 이유 = 468
나에게 되살아오는 것은 = 470
파산당한 사람의 하얀 눈물 = 474
새로운 한국의 여상(女像) = 476
홍윤숙 시인과의 데이트 = 478
단장들 = 480
주간지 시비 = 480
발레리의 단장 = 481
디노 부자티의 흑 = 482
지리학자들 = 483
번역과 우리말 = 484
언어 매장과 엄살 = 485
이오네스코의 무소 = 486
문체 연습 = 487
풍자 = 488
원문출처 = 49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