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Chapter 01 서론 = 15
목표 = 15
대상 독자 = 16
이 책의 차별화된 장점 = 17
단원 요약 = 21
접근 방법 = 23
코칭, 멘터링, 학습이 왜 중요한가 = 23
Chapter 02 새로운 시대의 도래: 코칭, 멘터링 그리고 긍정심리학 = 27
들어가기 = 27
코칭, 멘토링, 트...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Chapter 01 서론 = 15
목표 = 15
대상 독자 = 16
이 책의 차별화된 장점 = 17
단원 요약 = 21
접근 방법 = 23
코칭, 멘터링, 학습이 왜 중요한가 = 23
Chapter 02 새로운 시대의 도래: 코칭, 멘터링 그리고 긍정심리학 = 27
들어가기 = 27
코칭, 멘토링, 트레이닝 시장 = 28
코칭 관련 보고서 = 34
멘토링 관련 보고서 = 34
E-코칭 및 멘토링 = 35
코치와 학습자 그리고 멘토와 멘티 간의 다양한 매칭 = 40
코칭, 멘토링 그리고 심리학 = 45
긍정심리학 = 52
단원 요약 = 60
Chapter 03 코칭과 멘토링에 적용 가능한 심리학의 철학 및 이론: 학습 과정/이론 = 65
들어가기 = 65
학습심리학 = 68
학습 이론 되돌아보기 = 77
단원 요약 = 98
Chapter 04 코칭심리학, 코칭, 멘토링 그리고 학습 = 101
들어가기 = 101
멘토링의 의미 = 102
코칭의 정의 = 103
학습의 정의 = 106
코칭심리학의 정의 = 108
초문화적 코칭심리학의 정의 = 110
단원 요약 = 111
Chapter 05 코칭과 멘토링을 통한 학습조직 = 113
들어가기 = 113
학습조직은 유능한 조직이다 = 118
코칭심리와 조직의 기억 = 122
학습조직과 학습심리 = 126
관리역량과 코칭 프로그램 소개 = 130
응용 = 138
코칭과 멘토링을 위한 사회적 지원 = 139
개인학습과 조직학습 간의 관계 = 141
학습 공동체의 필요성 = 142
학습을 위한 협력적, 동반자적 접근 방법들 = 144
단원 요약 = 144
Chapter 06 다양성, 코칭 및 멘토링을 위한 보편통합모형의 개발 = 149
들어가기 = 149
보편통합모형 = 150
학습 사이클, 슈퍼비전 및 지속적 전문성 개발 = 151
문화 환경에 대한 이해 = 154
코칭과 멘토링의 다양성 = 158
코치/멘토/멘티 간의 유동성 = 165
통합적 연속성 = 166
비교문화 정서지능 = 167
비교문화 코칭/멘토링 지능의 보편모형 통합 = 169
의사소통 방법 및 피드백 기제 = 186
피드백 기제: 동료 평가, 360도 피드백 = 188
단원 요약 = 192
Chapter 07 기법과 도구 = 195
들어가기 = 195
능력배양심리학의 원리 = 197
인지행동기법 = 200
게슈탈트 접근 = 207
이야기 접근 = 225
수정된 GROW 모델 = 240
보편통합모형의 도구 = 242
단원 요약 = 252
Chapter 08 지속적인 성장, 학습 자원 및 실습 = 255
들어가기 = 255
보편통합모형의 훈련과 지속적인 발전 = 256
학습에서의 연습 = 264
게슈탈트 연습 = 266
이야기 접근의 연습 = 277
이야기 사이코 드라마: 신체적 연습 = 287
단원 요약 = 295
Chapter 09 사례 연구 = 297
들어가기 = 297
사례 연구 1: 보건과 사회복지관리 코칭/멘토링 프로그램 = 300
사례 연구 2: E-코칭(장거리 코칭 파일럿 프로젝트) = 308
사례 연구 3: 다양한 지역사회에서의 이야기 코칭 = 315
사례 연구 4: 코칭/멘토링을 넘어서 코디네이팅으로 = 329
단원 요약 = 335
Chapter 10 평가 = 337
들어가기 = 337
평가 방법론 = 338
보편통합모형의 평가 = 351
단원 요약 = 360
Chapter 11 결론, 토론 그리고 미래의 작업 = 363
들어가기 = 363
코치/멘토와 피코치자/멘티의 매칭 = 364
정서지능과 비교문화적 유능성 = 371
증거 기반 연구와 효과 평가 = 374
슈퍼비전 = 375
훈련 = 376
코칭과 멘토링의 기준 = 376
윤리와 수행의 규범 = 381
비교문화적 현상들을 통한 윤리 = 389
미래의 작업/연구 = 391
단원 요약 = 392
참고문헌 = 397
찾아보기 = 41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