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Preface = 4
제1부 전통과 현대
Ⅰ. 서양과의 첫 만남: 1893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와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의 조선관 전시
1. 19세기 만국박람회 = 15
2.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 = 17
3. 시카고 박람회의 동아시아 전시 = 21
4. 시카고 박람회의 조선관과 파리 박람회의 대한제국관 전시 = 25
5...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Preface = 4
제1부 전통과 현대
Ⅰ. 서양과의 첫 만남: 1893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와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의 조선관 전시
1. 19세기 만국박람회 = 15
2.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 = 17
3. 시카고 박람회의 동아시아 전시 = 21
4. 시카고 박람회의 조선관과 파리 박람회의 대한제국관 전시 = 25
5. 근대화를 위한 의식의 변화 = 37
Ⅱ.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첫 번째 서양화가 고희동
1. 근대미술의 시작 = 51
2. 첫 번째 서양화가로서의 고희동 = 52
3. 서화협회의 활동 = 56
4. 동양화가로의 변신 = 57
5. 1945년에서 1950년까지의 고희동의 활동 = 61
6. 한국전쟁과 그 이후 = 63
Ⅲ. 한국미술사의 태두 고유섭: 그의 성과와 한계
1. 한국미술사학의 시작 = 67
2. 고유섭의 교육 배경과 시대적 배경 = 68
3. 고유섭의 연구성과와 한계 = 71
Ⅳ. 이인성의 향토색: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1. 조선미술전람회와 향토색 = 87
2. 조선적 회화와 향토색 미술에 관한 논의 = 89
3. 작품 속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여성 = 94
4. 향토색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와 식민주의의 유동적 경계 = 104
Ⅴ. 논란 속의 근대성: 한국 근대 시각미술에 재현된 '신여성'
1. 신여성과 여성운동 = 111
2. 신여성은 누구인가 = 113
3. 고급미술에서의 신여성 = 118
4. 대중매체에 재현된 신여성 = 128
5. 신여성을 통해 본 한국의 근대성 = 135
제2부 한국 근현대미술과 서양미
Ⅰ. 선망과 극복의 대상: 한국 근대미술과 서양미술
1. 한국 근대미술과 서양 미술사조의 관계 = 143
2. 한국 근대미술과 유럽미술 = 144
3. 해방 이후의 한국미술과 서양미술 = 155
4. 한국미술의 근대적 변화 = 162
Ⅱ. 서양화의 출발점: 한국의 인상주의
1. 인상주의의 유입 = 165
2.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 167
3. 근대적 관찰자로서의 화가 = 171
4. 한국의 인상주의 화가들 = 173
5. 일상성과 당대성 = 177
Ⅲ. 밀레의 농민상: 미국과 동아시아에서의 수용현상
1. 대중적인 농민화가 밀레 = 181
2. 밀레 신화의 허구 = 183
3. 밀레의 농민상 읽기 = 188
4. 미국에서의 밀레 신화 = 194
5. 동아시아에서의 밀레의 소개와 수용 = 199
6. 근대화가 불러온 신화적 농민상 = 209
Ⅳ. 한국 근대미술과 입체주의
1. 입체주의의 소개 = 215
2. 1950년대의 입체주의의 영향 = 218
3. 한국적 입체주의 미술의 특징 = 222
Ⅴ. 1950년대 아시아 문화와 미국: 일본과 미국, 한국과 미국
1. 미국 문화의 수용 = 225
2. 일본과 미국 = 227
3. 한국과 미국 = 231
4. 동서문화의 혼합 = 235
제3부 현대미술의 제 양상
Ⅰ. 장욱진 미술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
1. 인간과 자연의 화가 장욱진 = 241
2. 초ㆍ중기의 작품 세계 = 242
3. 후기 작품에서의 동양성 = 248
4. 자연 세계와의 대화 = 251
Ⅱ. 한국 조각계의 거목 김세중
1. 제2세대 조각가 김세중 = 253
2. 초기 작품들 = 254
3. 종교 조각들 = 255
4. 공공 조형물 = 258
Ⅲ. 신화의 형성과 해체: 4인의 한국 여성미술가들
1. 여성 화가의 신화 = 263
2. 천경자와 최욱경 = 264
3. 김수자와 니키 S. 리 = 268
Ⅳ. 현대미술에서의 전통의 선별과 계승: 1970년대의 모노크롬 미술과 1980년대의 민중미술
1. 한국 현대미술에서의 전통 = 273
2. 모노크롬 회화운동 = 274
3. 민중미술 = 282
4. 전통의 재창조 = 288
Ⅴ. 초국적 정체성 만들기: 백남준과 이우환
1. 디아스포라 미술가로서 백남준과 이우환 = 293
2. 초국적 유목민으로서의 백남준 = 295
3. 경계에 위치한 이우환 = 302
4. 초국적 정체성 = 309
제4부 한국전쟁과 분단의 미술
Ⅰ. 한국의 전쟁미술
1. 한국의 분단 = 317
2. 한국전쟁의 증언과 기억 = 318
3. 전후의 미술과 전쟁 조형물 = 325
4. 한국 전쟁미술의 특성 = 328
Ⅱ. 유토피아의 신기루: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사회주의 도시와 모뉴먼트
1. 공간 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평양 = 331
2. 도시와 통치자의 이미지 = 334
3. 정치적 우상으로서의 통치자상 = 346
4. 권력의 붕괴와 모뉴먼트 = 350
Ⅲ. 전쟁의 기억: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1. 내셔널 몰의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 355
2. 기념비의 선정 = 357
3. 기념물의 맥락에서 본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 = 363
4. 한국전쟁의 기억과 참전용사기념비 = 370
5. 한국전참전용사기념비와 전쟁의 기억 = 373
Index = 37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