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프롤로그 = 9
제1부 파시즘, 제국의 판타지, 젠더 정치 - 논쟁과 논점들 = 25
제1장 역사상을 둘러싼 투쟁 - 젠더사의 시각과 파시즘 이론 = 27
1. 일제 말기, 파시즘, 젠더 정치를 둘러싼 논란들 = 27
2. 파시즘의 정치학과 젠더 - 1930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구 경향 = 34
3. 한국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문제제기 - ...
더보기
목차 전체
프롤로그 = 9
제1부 파시즘, 제국의 판타지, 젠더 정치 - 논쟁과 논점들 = 25
제1장 역사상을 둘러싼 투쟁 - 젠더사의 시각과 파시즘 이론 = 27
1. 일제 말기, 파시즘, 젠더 정치를 둘러싼 논란들 = 27
2. 파시즘의 정치학과 젠더 - 1930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구 경향 = 34
3. 한국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문제제기 - 젠더사의 시각과 질문 = 58
제2장 파시즘 경험과 유산을 둘러싼 논쟁 비판 = 73
1. '일상'은 동의의 공간인가 = 74
2. 사회의 준내전 체제화 - 일제 말기와 해방 후의 연속성 = 92
3. 파시즘의 유산과 '골칫덩어리들' - 난센스의 의미 = 97
4.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의 의미 - 파시즘의 마지노선, 자본주의와 근대적 규율화 = 121
5. 대중은 누구인가 - 주체 개념의 한계와 파시즘적 주체화의 문제 = 125
제3장 이론적 실천과 소비의 경계 - '문학 속의 파시즘' 연구와 대중독재론의 문제 = 128
1. 임지현은 누구와 싸우는가 - 탈신화화와 이론의 경계 = 128
2. 이론의 소비와 알리바이들 = 132
(1) 이론의 소비와 제도화 = 132
(2) 돌림병, 유행병, 제도화된 주체들의 자기 방어 기제들 = 136
3. 제도화된 민중주의의 담론적 무능력과 자기 정당화 = 143
4. 다문화주의, 차이의 정치학과 차이의 마케팅의 경계에서 = 148
5. 탈신화화의 모호함과 제도화의 명확함 = 153
제2부 제국의 판타지와 젠더 정치 - 역사적 파시즘 체제의 경험과 유산 = 157
제1장 총후 부인, 신여성, 그리고 스파이 - 황민화와 여성 정체성 집단 간의 위계적 차이화의 과정 = 159
1. 한국 사회의 젠더 정치의 기원을 고찰하기 위해 = 159
2. 전선과 가정, 그리고 '국민'의 안과 밖 = 163
3. 총력전 체제와 모성 이데올로기 = 179
4. 가족국가주의의 확대와 정치 단위로서의 가정의 구성 = 190
5. 총후 부인과 스파이 - 무능력자와 '정치적 주체' 사이의 균열 = 197
제2장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 되기' - 인종주의와 젠더 공포 = 205
1. '좋은 일본인 되기'의 엔진으로서의 스파이 담론 = 205
2.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 - '대동아'의 신체와 여성 = 210
3. 국민방첩과 스파이 담론 - 잠재된 적과 현실의 가상화 = 222
4. 스파이 담론과 '좋은 일본인 되기' - 가상의 현실화 = 234
5. 좋은 일본인 되기 - 좋은 일본인으로 죽거나 나쁜 일본인으로 죽거나 = 245
제3장 황민화와 여성 정체성 집단 간의 지역적ㆍ계급적 차이화의 역사 - 엘리트 여성과 비엘리트 여성의 파시즘 체제 경험의 차이 = 249
1. 파시즘 체제와 문학, 여성, 국가 = 249
2. 파시즘적 주체화와 젠더 정치 - 조직, 교육, 경험과 여성 정체성 = 256
3. 식민지 경험과 여성 정체성 = 285
제3부 모던보이 비판과 애국 청년의 구성 - 전위와 퇴폐 분자 사이에서 = 291
제1장 입신출세와 '일본인 되기' 사이의 간극과 딜레마 = 293
1. 청년 담론의 역사화와 파시즘적 주체화의 문제 = 293
2. 입신출세와 '일본인 되기' 사이에서 = 299
3. 청년이 되는 것과 '일본인' 이 되는 것 : 선택과 신분, 황민화 기획과 자발성의 문제 = 312
제2장 남성 정체성 집단 간의 차이화 - 모던보이 비판과 '애국 청년'의 구성 = 318
1. 혁신의 이념과 전위로서의 청년 = 318
2. 청년의 정체성과 모던보이 비판 = 327
제4부 남방 종족지와 제국의 판타지 - 경쟁, 살아남기라는 '도덕'으로 남겨진 파시즘의 유산 = 345
제1장 '네이티브'의 위치와 대역본의 세계 - 제국들의 사이에서, 식민지들의 사이에서 = 347
1. 영일 대역본을 보는 조선인 학생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 = 347
2. 재현의 권력, 재현의 정치 = 352
3. "깜둥이 나의 여인아" - 인종주의의 시학화와 제국의 판타지 = 355
4. 확장되는 영토, 포섭ㆍ배제되는 주민들 - 남방의 자원과 원주민, 그리고 '화교 경제' = 369
5. 남방 관심의 개관 - 관심의 복합성, 제국의 판타지에서 일상적 이해관계까지 = 372
6. '땅의 아들'로서의 '원주민'과 피식민 주체성의 문제 = 373
제2장 '남방', 중국, 화교와의 경쟁, 식민지 '사이'의 경쟁이 남긴 것 = 377
1. 대동아공영의 이념과 가족국가주의 - 인종과 젠더, 그리고 민족 = 377
2. 신생 식민지의 출현과 피식민 주체의 불안 - 제국의 시선과 식민지의 시선 사이에서 = 387
(1) 대동아 기획과 아시아의 위치 변화 = 387
(2) '전선'과 '시장'으로서의 남방과 개척자로서의 조선 = 393
(3) 식민지 토인으로서의 남방과 문명 기획자로서의 조선 = 404
3. 피식민 주체의 불안과 인종 공포 = 418
제3장 남방 종족지와 제국의 판타지 - 다시 '최소한의 도덕'을 위하여 = 420
1. 재현의 스펙터클, 관객과 연기자 - 파시즘과 '최소한의 도덕' = 420
2. 잉여로서의 남방 담론과 과잉된 응답의 역설 = 427
3. 남방이 주는 실감의 두 차원 = 434
4. 남방 선전의 특성과 식민 지(知)로서의 종족지(種族誌) = 447
5. 남방 종족지와 제국의 판타지 = 459
6. 다시 최소한의 도덕에 대해 = 468
참고문헌 = 470
찾아보기 : 인명 = 507
찾아보기 : 용어 = 5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