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김춘수 / 문자의 천형을 짊어진 반역자 = 8
구상 / 근현대사를 조준한 연민 = 14
김종길 / 오언절구로 알파벳을 읊는 선비 = 20
홍윤숙 / 시보다 더 아름다운 생 = 26
고은 / 저주받은 무기수의 황홀 = 32
김남조 / 모딜리아니의 그림처럼 = 38
성찬경 / 우주를 수집하는 넝마주이 = 44
박희진 / 시의 지아비 = 50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김춘수 / 문자의 천형을 짊어진 반역자 = 8
구상 / 근현대사를 조준한 연민 = 14
김종길 / 오언절구로 알파벳을 읊는 선비 = 20
홍윤숙 / 시보다 더 아름다운 생 = 26
고은 / 저주받은 무기수의 황홀 = 32
김남조 / 모딜리아니의 그림처럼 = 38
성찬경 / 우주를 수집하는 넝마주이 = 44
박희진 / 시의 지아비 = 50
마종기 / 모국어로 노래하는 이방인 = 56
이근배 / 글쓰기의 시시포스 = 62
신경림 / 세상에서 시인이 가장 어울리는 사람 = 68
김종해 / 별의 길을 양보하는 텃새 = 74
이수익 / 달에 오르는 알피니스트 = 80
유안진 / 딸, 아내, 며느리의 극락 = 86
정현종 / 안개의 언어를 알아듣는 별 아저씨 = 92
정진규 / 몸과 알의 궁극 = 98
천양희 / 수수밭을 질러온 관음소심란 = 104
허영자 / 너무 차고 맑은 물살 = 110
오탁번 / 잃어버린 소리를 되찾아주는 순수 = 116
오규원 / 자본의 백일몽을 산책하는 소년 = 122
고창수 / 시로 밥을 짓는 코즈모폴리턴 = 128
신달자 / 생명을 창조한 보리수나무꽃 = 134
이승훈 / 물기 없는 식물성 = 140
최하림 / 굴참나무 숲길 위의 탄탈로스 = 146
김지하 / 우주의 싹, 화엄의 바다 = 152
문정희 / 달의 문을 지키는 어머니 = 158
허만하 / 전설 바다의 항로로 날아가는 물새 = 164
강은교 / 바람의 딸, 허무의 채집꾼 = 170
이시영 / 조용한 야인 = 176
정희성 / 모국어를 가르치는 답청 = 182
조정권 / 산정묘지의 독승 = 188
김명인 / 동두천과 스와니강의 아코디언 = 194
김승희 / 유목민의 속도로 가는 마녀 = 200
김광규 / 사람의 뜰에서 만난 시인 = 206
송수권 / 피리와 죽창으로 둔갑하는 개망쇠 대나무 = 212
장석주 / 호수와 집과 문자의 독신 아비 = 218
최승호 / 문명을 불사르는 자코메티 수도승 = 224
황지우 / 게 눈 속을 헤엄치는 세떼 = 230
최승자 / 그녀의 몸은 장전된 총이다 = 236
김혜순 / 통금시대를 해금하는 사이렌 = 242
이성복 / 마지막 다음에 오는 사랑 = 248
곽재구 / 검문소가 있는 나라의 소리꾼 =254
고재종 / 시를 상전으로 모신 양산보 = 260
고형렬 / 병든 시어머니맡의 고승 = 266
정일근 / 찻빛 구름 위로 유배한 귀신고래 = 272
문인수 / 달빛 마을의 북 치는 소년 = 278
이문재 / 그리움을 잣는 산책자 = 284
남진우 / 비밀을 살다가는 바람 = 290
황인숙 / 가볍고 조금은 슬픈, 팅커벨 = 296
송재학 / 소래 포구에 피는 푸른꽃 = 302
송찬호 / 붉은 언어로 짓는 천상의 집 = 305
고진하 / 회색 승복에 바랑을 걸머진 예수 = 314
장석남 / 맨발로 물 속을 걷는 진흙별 = 320
나희덕 / 삶이라는 고아원의 모성 = 326
함민복 / 소금밭에 머무는 맨발의 우울씨 = 332
김기택 / 사무실로 출근하는 관음보살 = 338
김언희 / 트렁크 세상의 돌올한 못 한 자루 = 344
최정례 / 세월을 먹으며 벼려지는 독 = 35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