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그대 정동진에 가면 : 이순원 장편소설 |
이순원 지음 |
민음사 |
1999 |
 |
| 2 |
무덤 속의 한국 문학 |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
2000 |
 |
| 3 |
문학의 신비와 우울 : 문학동네 평론집 |
박혜경 지음 |
문학동네 |
2002 |
 |
| 4 |
문학의 위기, 위기의 문학 |
채호석 |
새미 |
2000 |
 |
| 5 |
사에구사 교수의 한국문학연구 |
사에구사 도시카쓰 |
베틀북 |
2000 |
 |
| 6 |
우리시대의 여성작가 |
황도경 |
문학과지성사 |
1999 |
 |
| 7 |
80년대 우리 문학을 결산한다;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
구모룡 |
|
1989 |
 |
| 8 |
「숨은 꽃」의 서정성 |
방민화 |
|
1994 |
 |
| 9 |
「양귀자 문학 연구」 |
정상균 |
|
1995 |
 |
| 10 |
내가 본 한국소설에 대하여 : 90년대 여류 소설가들의 소설 작품을 중심으로 |
허련순 |
|
2003 |
 |
| 11 |
리얼리즘이 있던 자리; 현길언·양귀자의 소설 |
이광호 |
|
1993 |
 |
| 12 |
모색과 모반의 도정에서; 90년대 초 소설의 전반적 성격 |
우찬제 |
|
1993 |
 |
| 13 |
불협화음의 부조리 서사담론 미학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양귀자)과 「붉은 방」(임철우)을 중심으로 |
김병로 |
|
2000 |
 |
| 14 |
사랑의 이야기와 모순의 이야기 : 「사랑아 길을 묻는다」, 김원일 저/『모순』, 양귀자 저[서평] |
이동하 |
|
1998 |
 |
| 15 |
소설·시간·운명 : 「늪」, 양귀자 저/「그대 정동진에 가면」, 이순원 저 |
강상희 |
|
1999 |
 |
| 16 |
소설쓰기의 기원에 대하여; 김원일과 양귀자의 경우 |
김윤식 |
|
1992 |
 |
| 17 |
숨은 꽃을 찾아 그리기, 그것의 어려움과 아름다움; 양귀자론 |
장경렬 |
|
1995 |
 |
| 18 |
슬픔을 힘으로 바꾸는 작가정신의 연금술; 양귀자의 변모와 90년대 리얼리즘 소설에의 기대 |
김명인 |
|
1990 |
 |
| 19 |
아우라의 상실, 그 움울한 우물 |
우찬제 |
|
1994 |
 |
| 20 |
양귀자와 배수아의 사랑 나무; 『천년의 사랑』과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
서범석 |
|
1995 |
 |
| 21 |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이르는 길 |
김양선·김은하 |
|
1993 |
 |
| 22 |
여성작가들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새경향; 「떠나가는 노래」, 김향숙 저·『희망』,양귀자 저 |
김양선 |
|
1992 |
 |
| 23 |
연민과 죄의식을 넘어서; 임철우·양귀자의 소설에 대해 |
오길영 |
|
1991 |
 |
| 24 |
유활불의 경험과 리얼리즘의 깊이; 양귀자론 |
류철균 |
|
1988 |
 |
| 25 |
중성·지방성·소시민성; 「식구들의 세월」, 최학 저·「이상의날개」, 김석희 저·「지구를 색칠하는 페인트공」, 양귀자 저 |
한기평 |
|
1990 |
 |
| 26 |
지금, 이곳의 우리 삶을 찾아서-소설가 양귀자편 |
홍정선 |
|
1988 |
 |
| 27 |
현실의 무게와 자기 성찰의 빛과 그늘 |
한수연 |
|
1996 |
 |
| 28 |
황량한 거리는 어떻게 함께 넘는 고개가 되는가 |
정과리 |
|
1988 |
 |
| 29 |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연구 |
김해진 |
한양대대학원 |
2002 |
 |
| 30 |
한국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
김병덕 |
중앙대 대학원 |
2002 |
 |
| 31 |
'문학 증발 시기'소설의 길찾기 |
김재석 |
批評文學 = Literary Criticism |
1994 |
 |
| 32 |
1990년대 페미니즘 소설에 대한 연구 : 양귀자·공지영·공선옥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
박태상 |
한국방송통신대 |
1995 |
 |
| 33 |
90년대 여성소설의 특성연구-양귀자, 공지영을 중심으로 |
정영자 |
한국비평문학회 |
2001 |
 |
| 34 |
닮음과 다름의 서사구조: 양귀자의 『모순』론 : 양귀자의 『모순』론 |
정문권·허유미 |
|
1998 |
 |
| 35 |
양귀자 소설의 현실인식에 대한 연구 |
진희경 |
|
2005 |
 |
| 36 |
양귀자의 「숨은 꽃」연구 : 여로 구조를 중심으로 |
김경숙 |
|
2000 |
 |
| 37 |
학습자 중심 소설교육 방안연구 :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강지영 |
|
2005 |
 |
| 38 |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 지도방안 연구 :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방지영 |
|
20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