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건수 : 58 건
| No. | 서명 | 저자 | 발행처 | 발행년도 | 자료유형 |
|---|---|---|---|---|---|
| 1 | (송명희 문학평론집)문학과 성의 이데올로기 | 송명희 저 | 새미 | 1994 | |
| 2 | (페미니즘과)우리 시대의 성담론 | 송명희...[등]지음 | 새미 | 1998 | |
| 3 | 韓龍雲 時 硏究 | 宋明姬 | 高麗大學校 大學院 | 1976 | |
| 4 | 나는 이런 남자가 좋다 | 송명희 | 푸른사상사 | 2002 | |
| 5 | 섹슈얼리티·젠더·페미니즘 = Sexuality·Gender·Feminism : 송명희의 문화비평 | 송명희 지음 | 푸른사상 | 2000 | |
| 6 | 여성의 눈으로 읽는 문화 : TV드라마,수필,영화,연극,희곡,수필 | 송명희...[등]지음 | 새미 | 1997 | |
| 7 | 여성해방과 문학 | 송명희 | 지평 | 1988 | |
| 8 | 여자의 가슴에 부는 바람 | 송명희 지음 | 一念 | 1991 | |
| 9 | 우리 이혼 할까요 | 송명희 | 푸른사상 | 2003 | |
| 10 | 우리는 서로에게 가는 길을 잃어버렸다 | 송명희 | 푸른사상사 | 2002 | |
| 11 | 이광수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 宋明姬 지음 | 국학자료원 | 1997 | |
| 12 | 타자의 서사학 | 송명희 지음 | 푸른사상 | 2004 | |
| 13 | 탈중심의 시학 | 송명희 지음 | 새미 | 1998 | |
| 14 | 페미니스트, 남성을 말한다 | 송명희 ; 여성연구회 [공저] | 푸른사상 | 2000 | |
| 15 | 페미니즘 정전 읽기 : 근대소설편. 1-2 | 송명희 ; 이태숙 ; 안숙원 [공]편저 | 푸른사상 | 2001-2002 | |
| 16 | 1910년대의 대표적 비평가와 비평세계 | 송명희 | 현대문학사 | 1988 | |
| 17 | 1980년대 한국시의 위상 | 송명희 | 시시조와비평사 | 1989 | |
| 18 | 1991년도 한국여성운동의 흐름과 평가 | 송명희 |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1992 | |
| 19 | 「도요새에 관한 명상」과 에코페미니즘 | 송명희 | 한국비평문학회 | 1998 | |
| 20 | 「도요새에 관한 명상」과 에코페미니즘 1·2 | 송명희 | 시시조와비평사 | 1998 | |
| 21 | 「사하촌」과 「모래톱 이야기」의 거리 | 송명희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2001 | |
| 22 | 고정희의 페미니즘시 | 송명희 | 한국비평문학회 | 1995 | |
| 23 | 규한과 1910년대의 혼인관 | 송명희 |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 1990 | |
| 24 | 김성종의 추리소설과 섹슈얼리티 | 송명희 | 예림기획 | 2002 | |
| 25 | 김수영론-인간상실과 그 회복에 대하여 | 송명희 | 현대문학사 | 1980 | |
| 26 | 김정한 소설의 크로노토프 | 송명희 | 예림기획 | 2004 | |
| 27 | 나혜석의『어머니와 딸』과 대화주의 | 송명희 | 한신문화사 | 2004 | |
| 28 | 도시적 상상력과 일상시 | 송명희 | 시문학사 | 1998 | |
| 29 | 미 서부 지역의 재미작가 연구 | 송명희 | 한국비평문학회 | 2002 | |
| 30 | 박완서의 자전적 근대 체험과 토포필리아 | 송명희 | 예림기획 | 2003 | |
| 31 | 북한소설『피바다』의 공산주의 인간학과 성숙의 플롯 | 송명희 | 한국문학회 | 2005 | |
| 32 | 상업소설에 나타난 성의 이데올로기 | 송명희 | 현대문학사 | 1991 | |
| 33 | 소월시에의 반성 | 송명희 | 민음사 | 1979 | |
| 34 | 슬픔과 방황의 시학 | 송명희 | 한국문연 | 1990 | |
| 35 |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김동인의「감자」를 중심으로 | 송명희 | 민음사 | 1982 | |
| 36 | 역사소설『임꺽정』과『갑오농민전쟁』의 담론양식 연구 | 송명희 | 예림기획 | 2002 | |
| 37 | 윤정모의「고삐」에 나타난 제3세계 민족주의의 페미니즘 | 송명희 | 한국비평문학회 | 1994 | |
| 38 | 이광수의 문학평론 연구 : A Study Of Yi Kwang Soo's Criticism | 송명희 | 부경대학교 | 1982 | |
| 39 | 이광수의 소설에 대한 여성비평적 고찰 | 송명희 | 한국비교문학회 | 1992 | |
| 40 | 이범선 소설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공간성 | 송명희 | 새미 | 2002 | |
| 41 | 이상화의 시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와 시간의식 | 송명희 | 한국비교문학회 | 1981 | |
| 42 | 이태준 소설의 여성 이미지 연구 | 송명희 | 예림기획 | 2004 | |
| 43 | 인간적 성숙과 문학적 성취 | 송명희 | 문학사상사 | 2005 | |
| 44 | 재미동포문학과 민족 정체성 | 송명희 | 한국비교문학회 | 2004 | |
| 45 | 좌절과 극복의 형이상학-김광석론 | 송명희 | 현대문학사 | 1978 | |
| 46 | 중년여성의 위기의식 :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 송명희 | 표현문학 | 1989 | |
| 47 | 최근 여성해방소설의 흐름 | 송명희 | 문화공간 | 1989 | |
| 48 | 탈식민주의와 지역문학 연구 | 송명희 | 한국현대소설학회 | 2004 | |
| 49 | 페미니스트 성장소설과 자기발견의 체험 | 송명희 | 한국여성학회 | 1991 | |
| 50 | 페미니즘과 한국문학 | 송명희 | 불문화연구소 | 1996 | |
| 51 | 한국 여성문학의 방향성 | 송명희 | 문학과의식사 | 1988 | |
| 52 | 한국 페미니스트 문학비평의 현황과 전망 | 송명희 | 겨레문학사 | 1989 | |
| 53 | 한국 현대시의 회고와 전망 | 송명희 | 신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2001 | |
| 54 | 한국과 프랑스의 여성주의 문학의 비교 | 송명희 | 한국비평문학회 | 2000 | |
| 55 | 한국소설의 페미니즘 | 송명희 | 동양문학사 | 1991 | |
| 56 |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시의 미래 | 송명희 | 다트앤 | 1996 | |
| 57 | 이광수의 문학비평연구 | 송명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1985 | |
| 58 | 이광수의「개척자」와 나혜석「경희」에 대한 비교연구 | 송명희 | 한국비교문학회 | 1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