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건수 : 37 건
No. | 서명 | 저자 | 발행처 | 발행년도 | 자료유형 |
---|---|---|---|---|---|
1 | (죽음 意識을 通해 본) 素月과 萬海 | 李仁福 著 | 淑明女子大學校出版部 | 1979 | ![]() |
2 | (하느님을 체험한)성서의 여인들 | 李仁福 著 | 友新社 | 1994 | ![]() |
3 |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재생 모티프: 화수분을 중심으로 | 이인복 | 1989 | ![]() |
|
4 | Joy Where There is Sadness | 이인복 | 우진출판사 | 1994 | ![]() |
5 | 文學과救援의 問題 | 李仁福 | 淑明女子大學校 出版部 | 1982 | ![]() |
6 | 文學의 理解 | 李仁福 著 | 淑明女子大學校 出版部 | 1993 | ![]() |
7 | 現代小說과 象徵의 機能 : 李仁福 評論集 | 李仁福 | 民音社 | 1976 | ![]() |
8 | 現代文學 特殊主題 硏究 | 李仁福 著 | 우진 | 1995 | ![]() |
9 | 韓國 文學에 나타난 죽음 意識의 史的 硏究 | 李仁福 | 悅話堂 | 1979 | ![]() |
10 | 韓國文學思想史 | 이인복 | 淑明女子大學校出版部 | 1987 | ![]() |
11 | 韓國文學과 基督敎思想 | 李仁福 著 | 又新社 | 1987 | ![]() |
12 | 韓國文學과 基督敎思想 | 李仁福 著 | 우진출판사 | 1995 | ![]() |
13 | 韓國現代詩硏究 | 李仁福 ; 姜信珠 共著 | 宇眞出版社 | 1993 | ![]() |
14 | 갈등의 미학-노천명론 | 이인복 | 월간문학 | 1976 | ![]() |
15 | 고통이 있는 곳에 행복을 | 이인복 지음 | 우진출판사 | 1993 | ![]() |
16 | 나도향론 | 이인복 | 현대문학 | 1969 | ![]() |
17 | 막내딸의 혼인날 : 심재기?이인복 부부수상집 | 심재기 ; 이인복 [공]저 | 우진 | 1998 | ![]() |
18 | 사랑과 은총의 세월 :沈在箕 李仁福 夫婦敎授隨想集 | 이인복 | 우신사 | 1986 | ![]() |
19 |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 李仁福 隨想集 | 李仁福 [저] | 우진출판사 | 1989 | ![]() |
20 | 어머니의 발등에 입맞추고 | 이인복 | 2004 | ![]() |
|
21 | 우리 詩人의 彷徨과 探索 | 이인복 저 | 국학자료원 | 2002 | ![]() |
22 | 우리 작가들의 煩惱와 解脫 | 이인복 지음 | 국학자료원 | 2002 | ![]() |
23 | 위대한 단순성의 미학 | 이인복 | 1992 | ![]() |
|
24 | 작가의 이상과 현실 | 이인복 편 | 태학사 | 1999 | ![]() |
25 | 전환기의 한국문학과 비평상황 | 이인복 ...[등]지음 | 사계절 | 1999 | ![]() |
26 | 죽음과 救援의 文學的 省察 | 李仁福 著 | 우진사 | 1989 | ![]() |
27 | 채우론 | 이인복 | 1971 | ![]() |
|
28 | 치유를 위한 복음의 열쇠 | 이인복 지음 | 우진 | 1995 | ![]() |
29 | 한 나무의 두 잎이 만나지 못할때 | 이인복 | 1974 | ![]() |
|
30 | 한국 문학 속에 나타난 죽음 | 이인복 | 월간문학 | 1978 | ![]() |
31 | 한국 소설에 수용된 기독교사상 연구 | 이인복 | 1987 | ![]() |
|
32 | 한국문학과 가톨릭시즘 | 우진출판사 | 1990 | ![]() |
|
33 | 한국문학에 나타난 죽음 | 이인복 외저 | 예림기획 | 2002 | ![]() |
34 | 한국문학에 나타난 죽음의식-죽음과 자살 어떻게 이해할까? | 이인복 | 현대종교 | 1985 | ![]() |
35 | 한국여류시의 전통 | 이인복 | 시문학 | 1972 | ![]() |
36 | 현대소설의 상징의 기능 | 이인복 | 월간문학 | 1972 | ![]() |
37 | 희곡의 이해 | 이인복...[등]저 | 우진출판사 | 199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