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문학의 신비와 우울 : 문학동네 평론집 |
박혜경 지음 |
문학동네 |
2002 |
 |
| 2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을 읽는다 |
박혜경 |
열림원 |
2003 |
 |
| 3 |
비평속에서 꿈꾸기 |
|
문학과지성사 |
1991 |
 |
| 4 |
상처와 응시 : 박혜경 비평집 |
박혜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 |
 |
| 5 |
세기말의 서정성 : 90년대 시의 내면 풍경 |
박혜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 |
 |
| 6 |
황순원 문학의 설화성과 근대성 |
박혜경 지음 |
소명출판 |
2001 |
 |
| 7 |
「무정」의 계몽성과 근대성 재고 |
|
|
2001 |
 |
| 8 |
과거로의 침잠과 쾌락적 형상화 |
박혜경 |
문학정신사 |
1989 |
 |
| 9 |
김원일 특집 : 「어둠」에서 「제전」까지 작품론 III : 실존과 역사, 그 소설적 넘나듦의 세계 |
박혜경 |
세계사 |
1991 |
 |
| 10 |
남성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들 |
|
|
1997 |
 |
| 11 |
논문 고전문학의 현대적 수용양상 |
|
|
1993 |
 |
| 12 |
닫힌 현실에서 열린 '세계'로-이성복론 |
박혜경 |
문학정신사 |
1989 |
 |
| 13 |
미해금(未解禁) 작가들의 문학활동과 작품 세계 |
박혜경 |
현대공론사 |
1988 |
 |
| 14 |
민족 생명력의 개체화 |
박혜경 |
작가 |
1989 |
 |
| 15 |
민중적 통일의 문학적 가능성 |
박혜경 |
창작과 비평사 |
1988 |
 |
| 16 |
뿌리 뽑힌 삶과 웃음의 내면화 |
박혜경 |
문학과 지성사 |
1989 |
 |
| 17 |
세계사적 전환기에 민족문학론은 유효한가 : 주제토론과 질의응단 |
박혜경 |
창작과 비평사 |
1998 |
 |
| 18 |
오규원 특집 : 「분명한 사건」에서 「사랑의 감옥」까지 시인을 찾아서 : 무릉의 삶, 무릉의 시 |
박혜경 |
세계사 |
1994 |
 |
| 19 |
오정희 특집 :불모의 삶을 감싸안는 비의적 문체의 힘-「바람의 넋」이후의 오정희의 소설들 |
박혜경 |
세계사 |
1995 |
 |
| 20 |
이청준 특집 : 「병신과 머저리」에서 「인간인」까지 작품론 IV : 운명과 역사가 만나는 자리-이청춘의 「인간인」에 대하여 |
박혜경 |
세계사 |
1992 |
 |
| 21 |
체험의 형상화로서의 농민시 |
박혜경 |
실천문학사 |
1989 |
 |
| 22 |
폐쇄와 부정의 회로 |
박혜경 |
동아일보사 |
1987 |
 |
| 23 |
황순원 특집 : 「거리의 부사」에서 「신들의 주사위」까지 작가론 : 현세적 가치의 긍정과 미학적 결벽성의 세계 |
박혜경 |
세계사 |
199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