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朴婉緖 長篇 小說 硏究 |
李慶植 |
경희대학교 대학원 |
1986 |
 |
| 2 |
박완서 |
이태동 편 |
서강대학교출판부 |
1998 |
 |
| 3 |
박완서 문학 길찾기 : 박완서 문학 30년 기념비평집 |
이경호 ; 권명아 [공엮음] |
세계사 |
2000 |
 |
| 4 |
박완서 문학 앨범 |
박완서 , 권영민 , 호원숙 |
웅진출판 |
1992 |
 |
| 5 |
박완서 소설 연구 |
이선미 지음 |
깊은샘 |
2004 |
 |
| 6 |
박완서 소설어사전 |
민충환 편저 |
백산 |
2003 |
 |
| 7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
강인숙 著 |
둥지 |
1997 |
 |
| 8 |
박완서論 |
[三人行] 편집부 엮음 |
三人行 |
1991 |
 |
| 9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을 읽는다 |
박혜경 |
열림원 |
2003 |
 |
| 10 |
번역문학이란 무엇인가 |
유영란 |
태학사 |
1991 |
 |
| 11 |
시사인물사전. 1-6 |
인물과사상사 편집부 [편] ; 강준만 외 [지음] |
인물과사상사 |
1999 |
 |
| 12 |
오정희·박완서 소설의 두 가지 풍경 : 한국 소설에 나타난 근대와 여성 |
이정희 지음 |
청동거울 |
2003 |
 |
| 13 |
우리시대의 소설가 박완서를 찾아서 |
박완서 ...[등] 지음 |
웅진닷컴 |
2002 |
 |
| 14 |
고단한 세월 속의 젊음과 중년 |
유종호 |
창작과비평사 |
1977 |
 |
| 15 |
꿈과 좌절 |
원윤수 |
일조각 |
1976 |
 |
| 16 |
민족문제의 개인주의적 굴절 |
황광수 |
창작과비평사 |
1985 |
 |
| 17 |
박완서와 박수근 |
김윤식 |
현대문학사 |
1983 |
 |
| 18 |
박완서의 소설세계 |
김영무 |
민음사 |
1977 |
 |
| 19 |
사회비평 이상의 것 |
백낙청 |
창작과비평사 |
1979 |
 |
| 20 |
사회적 허위에 대한 인생론적 출발 |
염무웅 |
민음사 |
1977 |
 |
| 21 |
삶의 실체와 작가의 통찰력 |
이상옥 |
민음사 |
1983 |
 |
| 22 |
생리적 감각적 정서 형태의 소설 : 박완서의 작품세계 |
김교선 |
표현문학 |
1989 |
 |
| 23 |
세파 속의 생명주의와 비판의식 : 박완서의 작품세계 |
이선영 |
현대문학사 |
1985 |
 |
| 24 |
소시민적 삶과 일상의 덫 |
이광훈 |
현대문학사 |
1980 |
 |
| 25 |
순응과 탈출 : 박완서의 근작 2편 |
김주연 |
일조각 |
1973 |
 |
| 26 |
중년여성의 위기의식 :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
송명희 |
표현문학 |
1989 |
 |
| 27 |
중편적 미학 : 「굶주린 혼」과 「엄마의 말뚝」 경우 |
신상성 |
현대문학사 |
1981 |
 |
| 28 |
집없는 시대의 문학 |
이동하 |
민음사 |
1982 |
 |
| 29 |
천의무봉과 대중성의 근거 : 박완서론 |
김윤식 |
문학사상사 |
1988 |
 |
| 30 |
호소력의 문제 |
김교선 |
일조각 |
1976 |
 |
| 31 |
박완서 가족소설 연구 |
편혜영 |
한양대대학원 |
2000 |
 |
| 32 |
박완서 단편 소설 연구 : A study on the short stories of Park, Wan-seo |
송병호 |
성균관대교육대학원 |
2000 |
 |
| 33 |
박완서 소설 『未忘』연구 : '집'의 의미를 중심으로 |
박민숙 |
서강대대학원 |
1997 |
 |
| 34 |
박완서 소설 연구 : 현실반영을 중심으로 한 작가의식 고찰 |
김기숙 |
연세대교육대학원 |
1994 |
 |
| 35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어머니상' 연구 : A study on the image of mother appeared in fictions by Park Wanseo |
박희숙 |
인하대교욱대학원 |
2001 |
 |
| 36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남성상 연구 |
조주희 |
한양대대학원 |
2001 |
 |
| 37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 연구 |
윤송아 |
경희대대학원 |
1999 |
 |
| 38 |
박완서 소설연구 |
신영지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2005 |
 |
| 39 |
박완서 소설의 서술성 연구 |
이선미 |
연세대 대학원 |
2001 |
 |
| 40 |
박완서 소설의 성장소설적 양상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그 산이 정말 거기에 있었을까」를 중심으로 |
권향숙 |
서강대교육대학원 |
1998 |
 |
| 41 |
박완서 소설의 작중인물 연구 |
한상희 |
경희대교육대학원 |
1999 |
 |
| 42 |
박완서 초기장편소설 연구 |
이홍진 |
계명대 |
1996 |
 |
| 43 |
오정희, 박완서 소설의 근대성과 젠더 의식 비교 연구 |
이정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2001 |
 |
| 44 |
한국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
김병덕 |
중앙대 대학원 |
2002 |
 |
| 45 |
고통의 현상학 |
강영안 |
문학과지성사 |
1997 |
 |
| 46 |
박완서 단편에 나타난 여성의 '성' |
이인숙 |
서경대학교 출판부 |
2000 |
 |
| 47 |
박완서 소설의 공간에 나타난 여성의식 |
강금숙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1989 |
 |
| 48 |
박완서 소설의 여성성 |
안남연 |
양문각 |
1998 |
 |
| 49 |
박완서론 |
강인숙 |
건국대학교 출판부 |
1994 |
 |
| 50 |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도시의 양상 (Ⅰ) |
강인숙 |
靑坡文學 |
1984 |
 |
| 51 |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도시의 양상 : 「도시의 흉년」에 나타난 70년대의 서울 |
강인숙 |
건국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
1984 |
 |
| 52 |
반공주의와 자전소설의 형식 |
강진호 |
|
2003 |
 |
| 53 |
생존의 말, 교신의 꿈 |
황도경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1996 |
 |
| 54 |
시점과 젠더공간 |
정미숙 |
한국문학회 |
2000 |
 |
| 55 |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탐구 |
이태동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1997 |
 |
| 56 |
풍자와 연민의 이중성 |
유남옥 |
(淑明女大)語文論集 |
1995 |
 |
| 57 |
한국여성소설과 자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
박영혜;이봉지 |
아시아여성연구 = The Journal of Asian Woman |
2001 |
 |
| 58 |
한국여성소설과 자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 나혜석, 박완서, 서영은, 신경숙을 중심으로 |
박영혜,이봉지 |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
2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