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세계여성문학관

링크메뉴

  • 로그인
  • 홈
  • sitemap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체메뉴펼침

  • 세계여성문학관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부가기능

김정란 : 金正蘭. Kim, Jeong-Ran

http://wowlic.sookmyung.ac.kr/search/detail/WAC000000004069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작가명
이름(한글) 김정란
이름(한자) 金正蘭
이름(영문) Kim, Jeong-Ran
생몰년
출생년 1953
국적 한국
시대 한국 대한민국, 1945-
문학장르
관련정보
표지이미지

작가정보

약력

검색목록
연도 내용
1953 서울 출생
1976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1976 CBS 보도국 아나운서실 근무
1976 『현대문학』으로 등단
1977 동서문화사 편집부
1978 프랑스 에어프랑스 발권과
1987 강원대학교 불문과 강사
1987 프랑스 그르노블제3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상지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한국불어불문학회, 한국영상문화학회 회원
〈시운동〉 동인

상훈정보

검색목록
상훈수상연도 상훈명 수상작
1998 백상출판문화상 대상(번역부문)
2000 제14회 소월시문학상 대상 사랑으로 나는

작품활동

김정란은 이 땅의 여성시인으로서의 시적 한계를 돌파하고 있다. 김정란의 시가 의미를 갖는 것은 한국시의 여성주의적 전통을 따르는 척하면서 그것을 뒤집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녀를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는"정체성, 존재론, 전망"이 될 것이다.『다시 시작하는 나비』로부터 시작되는 김정란의 시들은 낯선 서구의 이미지, 지나친 생략법, 난해한 의미 등에서 비롯되는 불유쾌함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외관과 다르게 그 이미지들은 복잡하지 않으며, 오히려 단순하다. 김정란 시의 근간을 이루는 두 이미지의 대립은 결국 이상과 현실의 대립으로 치환되는데 김현은 그 대립을 "딱딱함과 가벼움"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하였다. 김정란은 '긍정적인 것은 가벼운 것으로, 부정적인 것은 딱딱한 것으로 상상'한다. 김정란 시의 특징은 이러한 상상력을 통한 여성의 정체성 발견에 있다. 여성의 상처로부터 흐르는 눈물은 억압된 생을 지워낼 뿐만 아니라, 그 안에 침범해 있는 억압의 도구들도 함께 녹인다. 그래서 여자의 삶의 "맑은 생"(「멀리서 온 발자국」)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140-742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청파동2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세계여성문학관 문의전화: 02-710-9710 팩스번호: 02-710-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