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세계여성문학관

링크메뉴

  • 로그인
  • 홈
  • sitemap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체메뉴펼침

  • 세계여성문학관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부가기능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작가명
이름(한글) 허영자
이름(한자) 許英子
생몰년
출생년 1938
국적 한국
시대 한국 대한민국, 1945-
문학장르
관련정보
표지이미지

작가정보

약력

검색목록
연도 내용
1938 경상남도 함양 출생
1961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수료
1962 『현대문학』으로 등단
2000 한국시인협회 심의위원장
2000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비상임이사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시인협회 제32대 회장, 문예진흥원 이사

상훈정보

검색목록
상훈수상연도 상훈명 수상작
1972 제4회 한국시인협회상
1985 제20회 월탄문학상 그 어둠과 빛의 사랑
1992 제2회 편운문학상
1998 제3회 민족문학상 본상 목마른 꿈으로써

작품활동

1963년 한국문단사상 최초의 여성동인 ‘청미(靑眉)’ 결성에 참여, 이후 1998년까지 김선영, 김숙자, 김혜숙, 김후란, 박영숙, 이경희, 임성숙, 추영수 제씨와 동인활동을 하였다. 허영자의 시풍은 추천 당시부터 연가풍의 경향을 유지하면서 동양적이며, 섬세한 정적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풍은 대부분의 한국 여성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전통적인 시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에 드러나는 사물이나 情恨 역시 전통적이다. 그러나 그의 시에는 전통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면들 즉 강렬하고 대담하며 힘찬 분위기가 느껴지는데, 이는 ‘가을’에서처럼 남성적인 자유분방함이나 ‘복숭아’에서처럼 관능적인 것으로 드러난다. “허영자의 시적 전개와 언어의 절제, 은유의 발견은 그가 뛰어난 직관과 이지(理智)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으로는 그의 시가 단순한 정서의 표현에 그치지 않고 영혼과 육체의 깊은 곳으로부터의 울림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 김종길
140-742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청파동2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세계여성문학관 문의전화: 02-710-9710 팩스번호: 02-710-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