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세계여성문학관

링크메뉴

  • 로그인
  • 홈
  • sitemap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체메뉴펼침

  • 세계여성문학관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부가기능

강은교 : 姜恩喬. Kang, Un-Kyo

http://wowlic.sookmyung.ac.kr/search/detail/WAC000000003721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작가명
이름(한글) 강은교
이름(한자) 姜恩喬
이름(영문) Kang, Un-Kyo
생몰년
출생년 1945
국적 한국
시대 한국 대한민국, 1945-
문학장르
관련정보
표지이미지

작가정보

약력

검색목록
연도 내용
1945 서울 출생
1964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
1968 연세대학교영어영문학과 졸업
1968 『사상계』에「순례자의 창」으로 등단
1970 샘터사 입사
1974 시집 「풀잎」발간
1948 시집 「빈자일기」발간
동아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계간 『라쁠륨』편집위원. 민족문학작가회 부이사장. 언론중재위원해 부산중재부 위원. 〈70년대〉 동인.

상훈정보

검색목록
상훈수상연도 상훈명 수상작
1975 제2회 한국문학작가상
1992 제37회 현대문학상 그대의 들 외
1996 연세대학교 남녀공학 50주년 특별상
1997 PSB 문화대상 문학부문 수상
제9회 소월시문학상 우수상
2006 제18회 정지용문학상

작품활동

강은교는 1960년대 시인들의 애매성과 난해성 경향을 배제하고 언어와 사물을 일치시키면서, 절제된 언어로써 리얼리티의 탐구에 충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의 새로운 시경향 구축에 선두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또한 당시 여류시인들이 보여주던 한계를 극복하여, 여성시인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한다. 많은 논자들이 그의 시적 특색으로 말하는 허무주의는 관념과 언어의 허무가 아니라, 투철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개인적 병고는 물론이려니와, 1960년대 후반의 4·19나 5·16, 월남파병, 독재적 정치 이데올로기, 모순이 내재된 현대문명 등, 부조리한 사회현상은 시적 대상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극적인 시각을 초래하게 되고, 더 확대되어 허무주의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그의 허무주의 이면에는 삶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끈질긴 생명력에의 애정이 형상화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140-742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청파동2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세계여성문학관 문의전화: 02-710-9710 팩스번호: 02-710-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