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세계여성문학관

링크메뉴

  • 로그인
  • 홈
  • sitemap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전체메뉴펼침

  • 세계여성문학관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부가기능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작가명
이름(한글) 금춘
이름(한자) 今春
국적 한국
시대 한국 조선, 1392-1896
문학장르 시조
표지이미지

작가정보

약력

검색목록
연도 내용

상훈정보

검색목록
상훈수상연도 상훈명 수상작

작품활동

17세기 초에 함경도 지방에서 기생으로 활동하였다. 작가는 1605년 함경도 회령으로 부임하는 길이었던 선전관 박계숙(朴繼叔:1569-1646)을 만나 화답하는 시조 2수를 지었다. 화답시 4수 가운데 작가의 시조 2수 〈당우(唐虞)도 친히 본 듯〉과 〈아녀(兒女) 희중사(戱中辭)〉는 15세기 함경도 영흥의 기생 소춘풍(笑春風)의 시조를 변형한 것이다. 이전 시기 기녀의 시조가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것을 전고(典故)로 삼아 변형하는 수법이 나타났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140-742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청파동2가)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세계여성문학관 문의전화: 02-710-9710 팩스번호: 02-710-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