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正名의 美學 |
金容稷 지음 |
志學社 |
1986 |
 |
2 |
말의 매혹: 일상의 빛을 찾다 |
고인환 |
문학과경계 |
2005 |
 |
3 |
문학의 귀환 |
최원식 |
창비 |
2001 |
 |
4 |
부르고 싶은 이름으로 |
|
자유문학사 |
1993 |
 |
5 |
불과 얼음 또는 허무의 불꽃 |
김재홍 |
동학사 |
1999 |
 |
6 |
사랑진 그 자리에 |
|
백만문학사 |
1996 |
 |
7 |
서정시의 힘과 아름다움 |
李崇源 지음 |
새미 |
1997 |
 |
8 |
시가 있는 풍경 : 이기와 여행산문집 |
이기와 |
가교출판 |
2005 |
 |
9 |
시의 언어와 삶의 언어 : 김영무 평론집 |
김영무 |
창작과비평사 |
1990 |
 |
10 |
신달자·유안진·이향아 신작시집 |
|
혜원출판사 |
1988 |
 |
11 |
아니무스를 위한 변명 |
진순애 |
새미 |
2001 |
 |
12 |
영원한 느낌표 |
|
현재문학사 |
|
 |
13 |
유안진ㆍ이향아ㆍ신달자 신작시집 |
|
민족과 문학사 |
1992 |
 |
14 |
유안진의 마흔 살 |
김재홍 |
이우 |
1984 |
 |
15 |
절망시편 |
|
노벨문학사 |
1972 |
 |
16 |
지는 꽃은 보며 |
|
어문각 |
1985 |
 |
17 |
찾기와 맨발의식 또는 자유에의 길 |
김재홍 |
시와시학사 |
1993 |
 |
18 |
한국 문학비평의 혁명 : 낙천주의를 위하여 |
반경환 |
국학자료원 |
1997 |
 |
19 |
한국수상록 편찬위원회 |
|
금성출판사 |
1990 |
 |
20 |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
김현자 |
문학과지성사 |
1997 |
 |
21 |
한국시의 넓이와 깊이 |
조창환 |
국학자료원 |
1998 |
 |
22 |
한국현대시의 의식탐구 |
한영옥 |
새미 |
1999 |
 |
23 |
향기여 사랑의 향기여 |
|
자유문학사 |
1991 |
 |
24 |
21세기, 현대시의 현황과 과제 |
이은봉 |
시와사람사 |
2003 |
 |
25 |
6-70년대 여성시의 전개와 그 양상 |
박철희 |
문화공간 |
1996 |
 |
26 |
8-90년대 여성시의 전개와 그 양상 |
박철희 |
문화공간 |
1996 |
 |
27 |
구심력으로서의 나 자아의 응축세계와 원심력으로서의 나 자아의 확산세계 |
윤호병 |
시와사상 |
2005 |
 |
28 |
그때 나는 노자의 골짜기의 신을 읽고 있었네 |
이성우 |
종려나무 |
2003 |
 |
29 |
기다림의 시학 |
김종태 |
시평사 |
2005 |
 |
30 |
긴 시와 짧은 시 |
박재삼 |
현대문학사 |
1984 |
 |
31 |
다시 쓰고 싶은 유안진 해설 |
최원규 |
문예운동사 |
2001 |
 |
32 |
단아한 시 한편의 배부름 |
한영옥 |
현대시학사 |
2000 |
 |
33 |
도착과 관조 |
강웅식 |
문학사상사 |
2000 |
 |
34 |
독야청청한 불길의 고독한 견인력 |
진순애 |
서정시학 |
2005 |
 |
35 |
따뜻한 긍정의 시학 |
정한용 |
시와시학사 |
1997 |
 |
36 |
따뜻한 노래를 위한 차가운 걸음 |
박영호 |
문학아카데미 |
2000 |
 |
37 |
마음의 형식 |
이창민 |
시와정신사 |
2004 |
 |
38 |
말과 글 그리고 자부심 획득한 한국의 여성시 |
정효구 |
시와시학사 |
1999 |
 |
39 |
말의 진정성에 대한 성찰과 고백으로서의 시 쓰기 |
이재무 |
현대시학사 |
2002 |
 |
40 |
무지에의 의지 |
반경환 |
현대시학사 |
1996 |
 |
41 |
문학의 종말, 시의 길 |
소래섭 |
|
2005 |
 |
42 |
문학적 동행과 서로 다른 시선 |
고형진 |
천년의시작 |
2005 |
 |
43 |
뭇 생명에 대한 예찬과 내면세계 |
이승하 |
현대문학사 |
2000 |
 |
44 |
미완의 세계에 기대되는 정서의 덧밭 |
김선학 |
문학사상사 |
2001 |
 |
45 |
바람의 연인인 누이 |
이근배 |
시와시학사 |
1998 |
 |
46 |
방짜징의 황홀한 고통, 그리운 비명 |
조영복 |
시와시학사 |
2004 |
 |
47 |
상상력의 빛깔과 질 |
김용직 |
시와시학사 |
1998 |
 |
48 |
상처가 활짝 피었다 |
김미정 |
예맥 |
2005 |
 |
49 |
상황과 종교시 서설 |
김영수 |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1987 |
 |
50 |
생성과 소멸, 혹은 몰입과 관조 |
장만호 |
한국문연 |
2005 |
 |
51 |
서정의 심화와 확장, 그 길항의 원리들 |
유성호 |
만해사상실천선양회 |
2004 |
 |
52 |
세계의 경계너머를 보여주는 시 |
장무령 |
시와사상 |
2004 |
 |
53 |
세한도 가는 길 |
박정남 |
생각과느낌 |
2003 |
 |
54 |
슬픔을 긍정하기까지 |
김점룡 |
한국문연 |
2004 |
 |
55 |
시간성과 시간의식 |
하현식 |
심상사 |
1997 |
 |
56 |
시를 왜 쓰는가 |
김재홍 |
시와정신사 |
2003 |
 |
57 |
시의 길 또는 진실과 자유의 길 |
김재홍 |
문학사상사 |
2001 |
 |
58 |
시인의 길 얼음장 녹여가는 |
이상숙 |
시와시학사 |
1998 |
 |
59 |
시적 감동의 비밀을 찾아서 |
이승원 |
문학사상사 |
1997 |
 |
60 |
신발이 맞으면 발을 잊는다 |
반칠환 |
현대시학사 |
2004 |
 |
61 |
아무것도 아닌 여자가 되고싶다 |
한명희 |
혜화당 |
2004 |
 |
62 |
여류시의 세계 |
강신주 |
앞선문학사 |
1995 |
 |
63 |
염세주의의 토양을 넘어서 |
반경환 |
시와사상 |
1996 |
 |
64 |
우리들의 누이의 초상 |
반경환 |
고운(불교문예출판부) |
2000 |
 |
65 |
우주보다 크고 무거운 나를 찾아서 |
김동철 |
한국문연 |
2004 |
 |
66 |
유안진, 그 서정의 비극성 |
윤재근 |
대한민국예술원 |
1985 |
 |
67 |
유안진, 치열하게 시를 쓰는 젊은 시인들의 누이 |
김유중 |
글나무 |
2004 |
 |
68 |
유안진의 시 |
이형우 |
한국문연 |
1995 |
 |
69 |
유안진의 시 「지는 꽃을 보며」 |
윤태수 |
|
1989 |
 |
70 |
유안진의 시세계 |
임영조 |
문학아카데미 |
1996 |
 |
71 |
유안진의 시세계 |
한영옥 |
만해사상실천선양회 |
2004 |
 |
72 |
유안진의 시와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
리헌석 |
오늘의문학사 |
1995 |
 |
73 |
응시와 소멸 그리고 생성의 무늬 |
고인환 |
종려나무 |
2005 |
 |
74 |
이달의 시 |
김용직 |
문학사상사 |
1984 |
 |
75 |
이탄 월평 |
|
월간문학사 |
1986 |
 |
76 |
인식의 새로움과 모성적인 것의 의미 |
손진은 |
현암사 |
2005 |
 |
77 |
자연에 대한 시적 성찰 |
김인섭 |
시와사상 |
2003 |
 |
78 |
자연의 사색자 일상의 성찰자 |
이상숙 |
시와시학사 |
2000 |
 |
79 |
저무는 20세기 봄 그리고 시집들 |
이희중 |
세계사 |
1997 |
 |
80 |
전방위 탈주의 자유로움, 그 쾌거 |
박선영 |
현대시학사 |
2004 |
 |
81 |
전통가락의 아름다운 변형 |
오세영 |
한국문학사 |
1984 |
 |
82 |
절제와 표현의 묘미 |
박이도 |
월간문학사 |
1996 |
 |
83 |
존재에 대한 엄숙한 감수성 |
이동백 |
|
2000 |
 |
84 |
주어진 운명에 부응하는 순종의 언어 |
문혜원 |
문학사상사 |
2005 |
 |
85 |
진솔한 시의 미학 |
이유경 |
심상사 |
1976 |
 |
86 |
창조적 승천 |
진순애 |
현대시학사 |
2003 |
 |
87 |
축제의 일상과 역사, 그 다른 생의 얼굴들, 생의 복합성과 시간의 비의, “멋지다 눈부시다 황홀하다” |
유성호 |
문학사상사 |
2002 |
 |
88 |
출판물 안타의 연금술사 유안진 |
김열규 |
경향신문사 |
1988 |
 |
89 |
투명한 열정, 유안진의 신작시 |
권혁웅 |
한국문연 |
2002 |
 |
90 |
한국시와 소재 전통 |
박철희 |
현대문학사 |
1979 |
 |
91 |
한국시의 모험과 반란 |
김선학 |
서정시학 |
2005 |
 |
92 |
한국시의 혁명 |
반경환 |
현대시학사 |
1996 |
 |
93 |
혼침속에 언뜻언뜻 얼비치는 유심사상 |
고봉준 |
시와시학사 |
2005 |
 |
94 |
[시가 있는 아침] 유안진 '떡잎' |
|
|
|
 |
95 |
[시가 있는 아침] 유안진 '세한도 가는 길' |
|
|
|
 |
96 |
유안진 11번째 시집 「누이」출간: “영원한 젊은 누이로 남고파” |
|
|
|
 |
97 |
“읽혀지지 않는 글은 무의미”(다작가 열전) |
최보식 |
|
1920 |
 |
98 |
내면의 비극 한아름,뜨거운 갈망 한 줌 : 유안진 새로 읽기 |
김강태 |
한국문연 |
1997 |
 |
99 |
여류시를 읽는 아픔 |
김영무 |
창작과비평사 |
1977 |
 |
100 |
유안진씨의 「누이」 등 봄시집 5권 눈길 |
박해현 |
|
1920 |
 |
101 |
잠재울 수 없는 바람꽃 : 「누이」,유안진 저 |
임헌영 |
동서문학사 |
1997 |
 |
102 |
전통지향성과 삶의 포용력 : 「누이」,유안진 저 |
이승원 |
한국문연 |
199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