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탈영자들」의 기념비 : 한국사회의 성과 속 - 주류라는 신화 |
박노자...[등 저] |
생각의 나무 |
2003 |
 |
| 2 |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권명아 지음 |
책세상 |
2000 |
 |
| 3 |
맞장뜨는 여자들 : 오늘의 여성문학 |
권명아 지음 |
소명출판 |
2002 |
 |
| 4 |
문학의 광기 : 권명아 평론집 |
권명아 지음 |
세계사 |
2002 |
 |
| 5 |
박완서 문학 길찾기 : 박완서 문학 30년 기념비평집 |
이경호 ; 권명아 [공엮음] |
세계사 |
2000 |
 |
| 6 |
역사적 파시즘 : 제국의 판타지와 젠더 정치 |
권명아 지음 |
책세상 |
2005 |
 |
| 7 |
'네이티브'의 위치와 대역본의 세계 : 남방 종족지와 피식민자의 주체성 |
권명아 |
문학과학사 |
2004 |
 |
| 8 |
'여성'이라는 경계를 넘어 : 여성문학과 '젠더화전략'의 문제 |
권명아 |
문학사상사 |
2000 |
 |
| 9 |
'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 |
권명아 |
문학수첩사 |
2003 |
 |
| 10 |
'청년'담론의 역사화와 파시즘적 주체화의 문제 : 전시동원체제 하의 청년담론을 중심으로 |
권명아 |
세종출판사 |
2004 |
 |
| 11 |
가족이야기, 그 역사적 형식에 관하여-김원일의 『가족』을 중심으로 |
권명아 |
동서문학사 |
2000 |
 |
| 12 |
가치의 무차별화와 아름다움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투쟁들 |
권명아 |
중앙일보사 |
1998 |
 |
| 13 |
나와 세계에 대한 자기 분석을 넘어 |
권명아 |
현대문학사 |
2001 |
 |
| 14 |
눈 먼 물고기의 노래-심휘재의 시, 이렇게 읽었다 |
권명아 |
현대시학사 |
1999 |
 |
| 15 |
동상이몽의 로맨스 |
권명아 |
현대문학사 |
2001 |
 |
| 16 |
박완서-자기상실의 '근대사'와 여성들의 자기 찾기 |
권명아 |
역사비평사 |
1998 |
 |
| 17 |
변경과 제국의 전위와 오리엔탈리즘 : 임권택과 김기덕의 상이함 혹은 동일함 |
권명아 |
생각의나무 |
2004 |
 |
| 18 |
오 자매여, 어디 있는가? : 네 여성 작가의 신작 소설집에 대하여 |
권명아 |
열림원 |
2002 |
 |
| 19 |
유미리 문학의 시발점 '가족해체'와 '인간' : 『가족시네마』,『타일』을 중심으로 |
권명아 |
문학사상사 |
2000 |
 |
| 20 |
젠더와 파워 엘리트 |
권명아 |
문학과경계사 |
2003 |
 |
| 21 |
차이의 마케팅 시대, '여성'이 취급되는 방식 |
권명아 |
현대문학사 |
2002 |
 |
| 22 |
탈신화화의 모호한 효과와 자기 방어적 '문학주의'로의 회귀 |
권명아 |
중앙일보사 |
2005 |
 |
| 23 |
한국 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
권명아 |
연세대 박사논문 |
2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