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문학) 최승자, 이문재 6년만에 나란히 새 시집 |
하종오 |
|
1954 |
 |
| 2 |
「어떤 나무들은」, 최승자 지음 (구효서가 권하는 한권의 책) |
구효서 |
|
1946 |
 |
| 3 |
길이 끝난 곳에서 시작되는 길 : 최승자, 백무산의 시집 |
김진수 |
문학과지성사 |
1999 |
 |
| 4 |
몸과 자궁의 언어 : 최승자 論 |
이재복 |
현대시학사 |
2000 |
 |
| 5 |
미 아이오와대 유학 5개월 : 일기 모음집 펴낸 시인 최승자 씨(인터뷰) |
한만수 |
|
1946 |
 |
| 6 |
사랑과 죽음의 전문가 ; 최승자 |
이상희 |
청하 |
1991 |
 |
| 7 |
살아 달이고 우려낸 즙의 시학 : 최승자 시집, 『연인들』, 최승자 著 〈書評〉 |
박주택 |
현대시학사 |
1999 |
 |
| 8 |
시가있는아침 최승자 돌아와 이제 |
. |
|
1965 |
 |
| 9 |
시인 최승자, 이문재 씨 6년만에 시집 펴내 |
이후남 |
|
1965 |
 |
| 10 |
언어와 여자의 집 ; 『기억의 집』, 최승자 저 |
김수경 |
열음사 |
1989 |
 |
| 11 |
여성시에 대한 기대지평의 전환 ; 최승자 시를 중심으로 |
엄경희 |
이화여자대학교한국어문학연구소 |
1994 |
 |
| 12 |
우리 모두 함께 가야할 길 ; 최승자 시집 『기억의 집』 |
이승원 |
현대시학 |
1989 |
 |
| 13 |
위반의 시학, 그리고 신체적 사유; 최승자를 찾아서 |
이광호 |
청하 |
1991 |
 |
| 14 |
죽음, 아버지, 자궁, 그리고 시쓰기 ; 최승자론 |
장석주 |
문학과지성사 |
1994 |
 |
| 15 |
죽음에 대한 시적 승리에 관하여 : 말의 공간, 죽음의 공간, 최승자의 시 읽기 |
김용희 |
평택대학교 |
1999 |
 |
| 16 |
최승자 論 ; 죽음과 상처의 시 |
정효구 |
현대시학사 |
1991 |
 |
| 17 |
최승자 시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경향성 |
박순희 |
성신어문학연구회 |
1995 |
 |
| 18 |
최승자의 「우라누스를 위하여」등 : 황현산 문학평론가(시평) |
황현산 |
|
195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