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명 | |
|---|---|
| 이름(한글) | 박완서 |
| 이름(한자) | 朴婉緖 |
| 이름(영문) | Park, Wan Suh |
| 생몰년 | |
| 출생년 | 1931 |
| 사망년 | 2011 |
| 국적 | 한국 |
| 시대 | 한국 대한민국, 1945- |
| 문학장르 | 소설 |
| 관련정보 |
총 건수 : 14 건
| No. | 서명 | 저자 | 발행처 | 발행년도 | 자료유형 |
|---|---|---|---|---|---|
| 1 | 고통의 현상학 | 강영안 | 문학과지성사 | 1997 | |
| 2 | 박완서 단편에 나타난 여성의 '성' | 이인숙 | 서경대학교 출판부 | 2000 | |
| 3 | 박완서 소설의 공간에 나타난 여성의식 | 강금숙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1989 | |
| 4 | 박완서 소설의 여성성 | 안남연 | 양문각 | 1998 | |
| 5 | 박완서론 | 강인숙 | 건국대학교 출판부 | 1994 | |
| 6 |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도시의 양상 (Ⅰ) | 강인숙 | 靑坡文學 | 1984 | |
| 7 |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도시의 양상 : 「도시의 흉년」에 나타난 70년대의 서울 | 강인숙 | 건국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 1984 | |
| 8 | 반공주의와 자전소설의 형식 | 강진호 | 2003 | ||
| 9 | 생존의 말, 교신의 꿈 | 황도경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1996 | |
| 10 | 시점과 젠더공간 | 정미숙 | 한국문학회 | 2000 | |
| 11 |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탐구 | 이태동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1997 | |
| 12 | 풍자와 연민의 이중성 | 유남옥 | (淑明女大)語文論集 | 1995 | |
| 13 | 한국여성소설과 자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 박영혜;이봉지 | 아시아여성연구 = The Journal of Asian Woman | 2001 | |
| 14 | 한국여성소설과 자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 나혜석, 박완서, 서영은, 신경숙을 중심으로 | 박영혜,이봉지 |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 2001 |